$\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혈액투석 환자가 지각하는 불확실성과 사회적 지지가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Uncertainty and Social Support on General Well-being among Hemodialysis Patients 원문보기

재활간호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v.15 no.1, 2012년, pp.20 - 29  

김연진 (건국대학교병원 장기이식) ,  최희정 (건국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factors affecting uncertainty and general well-being based on Uncertainty in Illness Theory.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125 outpatients who had received hemodialysis. The path model among four concepts, such as period of hemodialysis, social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불확실성 이론을 바탕으로 치료기간과 사회적 지지가 혈액투석 환자의 불확실성에 미치는 영향 및 불확실성과 사회적 지지가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혈액투석 환자의 적응 증진을 위한 효과적인 간호중재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되었다. 연구결과 불확실성 이론의 설명대로 대상자의 불확실성은 투석기간이 길고 사회적 지지를 높게 지각할 때 낮았다.
  • 본 연구는 혈액투석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Mishel (1988, 1990)이 제시한 불확실성 이론 중 불확실성 선행요인인 투석 기간과 사회적 지지가 불확실성에 미치는 영향을, 그리고 불확실성과 사회적 지지가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상관성 조사연구이다. 경로모형은 Figure 1과 같다.
  • 투석기간과 사회적 지지는 선행연구에서 다루었던 변수들 중 일관성 있게 유의한 관계가 검증된 것이었고, 결과 변수인 안녕감은 선행연구에서 다루었던, 불안, 우울뿐만 아니라 긍정적 감정, 자기통제력과 같은 긍정적 개념도 내포하고 있고 또한 활력과 전반적 건강상태 등의 신체적 상태와 관련된 개념을 포함하여 대상자의 적응을 포괄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개념이므로 본 연구의 결과변수로 선택하였다. 뿐만 아니라 선행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적 지지가 혈액투석 환자의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또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질병에 부적응하는 환자의 원인을 밝히거나 이들을 도울 수 있는 간호중재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 이에 본 연구는 혈액투석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Mishel(1988, 1990)이 제시한 불확실성 이론에 근거하여 불확실성의 선행요인과 불확실성이 대상자의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불확실성의 선행요인으로는 투석기간과 사회적 지지를, 그리고 안녕감을 불확실성의 결과인 적응으로 정의하였다.

가설 설정

  • x2은 연구모형과 현실자료가 완전히 일치하는 상태를 귀무가설(H0)로 설정하고 이를 검증하는 적합지수로서 x2통계량이 큰 것은 적합도가 나빠 연구모형이 통계적으로 기각될 가능성이 큼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의 x2=56.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만성신부전증이란 어떤 질환인가? 만성신부전증은 신장기능이 비가역적으로 손상되어 신대체요법에 의지해야만 생명을 유지할 수 있는 질환이다. 우리나라의 말기 신부전증 환자는 1986년에 2,534명이었지만 2010년에는 58,860명으로 20년 동안 20배 이상 급증하였다.
투석이 가져다 주는 효과의 한계는 무엇인가? 투석은 효과적이고 안정된 신대체요법으로 인정되어 왔으나 근본적인 문제해결을 가져다주는 치료법이 아니므로, 질병을 지닌 채 살아가야 하는 혈액투석 환자들은 치료과정에서 신체적 제한, 신체상 변화, 사회활동 제한, 불안, 우울 및 대인관계의 어려움 등을 지속적으로 경험할 뿐만 아니라 예측할 수 없는 질병과정과 치료 과정 및 합병증에 대한 공포에 직면하게 된다(Lim, 2004).
불확실성이 개인의 평가와 대처가 상호작용하면서 이뤄진다는 점을 뒷받침해주는 내용은 무엇이 있는가? 그리고 불확실성의 선행요인, 불확실성 평가 및 대처, 그리고 환자의 적응을 중심으로 이들의 관계를 설명하는 간호의 중간범위이론(Mid-range Nursing Theory)인 질병에 대한 불확실성 이론(Mishel Uncertainty in Illness Theory)을 제시하였다(Mishel, 1984, 1988, 1990; Mishel & Braden, 1988; Mishel, Padilla, Grant, & Sorenson, 1991). 불확실성에 직접,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으로 자극의 틀(stimuli frame), 인지 능력(cognitive capacity), 그리고 대상자를 둘러싼 구조적 특성(structure provider)이 제시되었는데 여기에는 증상패턴의 일관성 정도, 질병 및 치료와 관련하여 환자가 경험하는 사건의 친숙성과 일관성 정도, 개인의 인지 능력, 그리고 자신의 경험을 해석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자원에 해당하는 요인들이 포함되고 있다. 이러한 선행요인들에 의해 환자가 지각한 불확실성은 불확실성에 대한 개인의 평가와 대처가 상호작용함으로써 최종적으로 환자의 적응을 결정한다는 것이 불확실성이론의 주요 내용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aily, D. E., Landerman, L., Barroso, J., Bixby, P., Mishel, M. H., Muir, A., et al. (2009). Uncertainty, symptoms, and quality of life in persons with chronic hepatitis C. Psychosomatics, 50 (2), 137-146. 

  2. Chung, C., Kim, M. J., Rhee, M. H., & Do, H. G. (2005). Functional status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in gynecologic cancer patients receiving chemotherapy.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1 (1), 58-66. 

  3. Dupuy, H. J. (1978, October). Self-representations of general psychological well-being of American adults. Paper presented at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Meeting. Los Angeles, CA. 

  4. Fornell, C., & Larcker, D. F. (1981).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8, 39-50. 

  5. Go, A. (2004). The relations of meaning in life, uncertainty and anxiety in patient with chronic renal failure. Unpublished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of Pusan, Busan. 

  6. Giurgescu, C., Penckofer, S., Maurer, M. C., & Bryant, F. B. (2006). Impact of uncertainty, social support, and parental coping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high risk pregnant women. Nursing Research, 55, 356-365. 

  7. Hair, J. F. Jr., Black, W. C., Babin, B. J., Anderson, R. E., & Tatham, R. L. (2006). Multivariate data analysis (6th ed.). New Jersey: Prentice-Hall International. 

  8. Iacobucci, D. (2010). Structural equations modeling: Fit Indices, sample size, and advanced topics. Journal of Consumer Psychology, 20 (1), 90-98. 

  9. Kang, Y. H. (2003). Testing the mediating effect of appraisal in the model of uncertainty in illnes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3 (8), 1127-1134. 

  10. Kline, R. B. (2005).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2nd ed.). New York: The Guilford Press. 

  11. Lee, I. S. (2004). Uncertainty, appraisal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across treatment pha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2. Lee, Y. J., Ham, E. M., & Kim, K. S. (2001). A correlational study on uncertainty, coping and depression of cancer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1 (2), 244-256. 

  13. Lim, S. Y. (2004). Psychopathology, support system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chronic renal failure.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14. Mishel, M. H. (1981). The measurement of uncertainty concerning their hospitalized child. Nursing Research, 32, 324-330. 

  15. Mishel, M. H. (1984). Perceived uncertainty and stress in illness. Research in Nursing & Health, 7 (3), 163-171. 

  16. Mishel, M. H. (1988). Uncertainty in illness.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20 (4), 225-232. 

  17. Mishel, M. H. (1990). Reconceptualization of the uncertainty in illness theory.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22 (4), 256-262. 

  18. Mishel, M. H. (1997). Uncertainty in illness scale manual.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Chapel Hill. 

  19. Mishel, M. H., Germino, B. B., Lin, L., Pruthi, R. S., Wallen, E. M., Crandell, J., et al. (2009). Managing uncertainty about treatment decision making in early stage prostate cancer: A randomized clinical trial. Patient Education and Counseling, 77, 349-359. 

  20. Mishel, M. H., & Braden, C. J. (1987). Uncertainty: A mediator between support and adjustment. Western Journal of Nursing Research, 9 (1), 43-57. 

  21. Mishel, M. H., & Braden, C. J. (1988). Finding meaning: Antecedents of uncertainty in illness. Nursing Research, 37, 98-103, 127. 

  22. Mishel, M. H., Padilla, G., Grant, M., & Sorenson, D. S. (1991). Uncertainty in illness theory: a replication of the mediating effects of mastery and coping. Nursing Research, 40, 236-240. 

  23. Owens, B. (2007). A test of the Self-Help Model and use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among Hispanic women during treatment for breast cancer. Oncology Nursing Forum, 34 (4), E42-E50. 

  24. Park, Y. H. (1999). The Effects of support group intervention for spouses of stroke patients on caregiver burden and wellbe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5. Sammarco, A. (2001). Perceived social support, uncertainty, and quality of life of younger breast cancer survivors. Cancer Nursing, 24 (3), 212-219. 

  26. Sammarco, A., & Konecny, L. M. (2008). Quality of life, social support, and uncertainty among Latina breast cancer survivors. Oncology Nursing Forum, 35 (5), 844-849. 

  27. Sherbourne, C. D., & Stewart, A. L. (1991). The MOS social support survey. Social Science & Medicine, 32, 705-714. 

  28. The Korean Society of Nephrology. (2011). Current Renal Replacement Therapy. Retrieved May 12, 2011, from http://www.ksn.or.kr/journal/2011/index.html 

  29. Wineman, N. M., Durand, E. J., & Steiner, R. P. (1994). A comparative analysis of coping behaviors in persons with multiple sclerosis or a spinal cord injury. Research in Nursing & Health, 17 (3), 185-194. 

  30. Yoo, K. H. (1997).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the appraisal of uncertainty in patients having rheumatoid arthritis. The Journal of Rheumatology Health, 4 (2), 277-296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