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혈액투석 환자의 불확실성과 불확실성 평가가 자기관리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Uncertainty and Uncertainty Appraisal on Self-management in Hemodialysis Patient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5 no.2, 2015년, pp.271 - 279  

장형숙 (단국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  이창숙 (단국대학교병원 혈액투석부) ,  양영희 (단국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examine the relation of uncertainty, uncertainty appraisal, and self-management in patients undergoing hemodialysis, an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self-management. Methods: A convenience sample of 92 patients receiving hemodialysis was selected. Data were colle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혈액투석 환자의 불확실성, 불확실성평가, 자기관리 정도를 파악하고 자기관리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하고자 시도하였다.
  • 본 연구는 혈액투석 환자들의 불확실성, 불확실성평가와 자기관리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 자기관리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하고자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혈액투석 환자의 불확실성, 불확실성평가와 자기관리 정도를 파악하고, 자기관리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연구 결과, 불확실성은 중정도 수준이었고 질병의 경험과 관련된 애매모호하고 예측할 수 없는 상황으로 인하여 질병에 대해 불확실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 본 연구는 혈액투석을 받고 있는 말기신부전 환자의 불확실성, 불확실성평가와 자기관리정도를 파악하고, 자기관리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한 상관성 연구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만성신장질환이란 무엇인가? 만성질환이 증가함에 따라 건강관리는 치유와 회복의 관점에서 질병의 예방 또는 만성상태의 악화에 대한 빠른 치료로까지 다양해지고 있다[1]. 만성질환의 하나인 만성신장질환은 사구체 여과율의 감소 여부와 상관없이 신장의 구조 또는 기능의 이상이 3개월 이상 지속된 경우와 신장의 손상이 없더라도 3개월 이상 사구체 여과율이 60 mL/min/1.73m2 미만인 경우로 정의된다. 신장의 기능이 15% 이하로 감소하게 되는 말기신부전에 이르면 투석이나 신장이식과 같은 신대체요법을 받아야만 생명을 연장할 수 있다[2].
혈액투석 환자들은 합병증을 최소화하기 위해 어떠한 자기관리를 해야 하는가? 인간은 스스로 자신을 돌볼 능력이 있고, 환경을 통제할 수 있으며, 의도적인 활동을 하는 책임감 있는 존재이기 때문에 스스로 치료에 참여함으로써 능동적 자기관리 능력을 기르는 것이 중요하다[14,15]. 혈액투석 환자들은 투석스케쥴의 이행 외에도 약물복용, 식사요법, 혈관통로 관리 등의 자기관리를 통해 합병증을 최소화할 수 있다[10]. 또한, 요독증이 악화되지 않고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평소 자신의 상태를 세심하게 관찰하는 것이 필요하다[16].
혈액투석 환자들은 요독증이 악화되지 않기 위해 어떠한 노력을 해야 하는가? 혈액투석 환자들은 투석스케쥴의 이행 외에도 약물복용, 식사요법, 혈관통로 관리 등의 자기관리를 통해 합병증을 최소화할 수 있다[10]. 또한, 요독증이 악화되지 않고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평소 자신의 상태를 세심하게 관찰하는 것이 필요하다[16]. 이러한 자기관리를 위해서 혈액투석 환자들은 질병과정에 관한 지식이나 증상관리 등을 지속적으로 배우고 실천한다[1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Smeltzer SC, Bare BG, Hinkle JL, Cheever KH. Brunner and Suddarth's textbook of medical surgical nursing. 12th ed. Kang IS, Kang JH, Kang JY, Kwon KN, Kwon BE, Kim KM, et al., translator. Philadelphia, P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9. 

  2. The National Kidney Foundation. KDOQI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chronic kidney disease: Evaluation, classification, and stratification. New York, NY: Author; 2002 [cited 2014 October 16]. Available from: http://www2.kidney.org/professionals/KDOQI/guidelines_ckd/p4_class_g1.htm. 

  3. ESRD Registry Committee, Korean Society of Nephrology. Current renal replacement therapy in Korea: Insan memorial dialysis registry, 2013 [Internet]. Seoul: The Korean Society of Nephrology; 2013 [cited 2014 October 16]. Available from: http://www.ksn.or.kr/journal/2014/index.html. 

  4. Chiou CP, Chung YC. Effectiveness of multimedia interactive patient education on knowledge, uncertainty and decision-making in patients with end-stage renal disease.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12;21(9-10):1223-1231. http://dx.doi.org/10.1111/j.1365-2702.2011.03793.x 

  5. Kaba E, Bellou P, Iordanou P, Andrea S, Kyritsi E, Gerogianni G, et al. Problems experienced by haemodialysis patients in Greece. British Journal of Nursing. 2007;16(14):868-872. http://dx.doi.org/10.12968/bjon.2007.16.14.24325 

  6. Hutchinson TA. Transitions in the lives of patients with end stage renal disease: A cause of suffering and an opportunity for healing. Palliative Medicine. 2005;19(4):270-277. 

  7. Mishel MH. Uncertainty in illness. Image the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1988;20(4):225-232. 

  8. Mishel MH. Reconceptualization of the uncertainty in illness theory. Image the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1990;22(4):256-262. 

  9. Kim YJ, Choi H. The influence of uncertainty and social support on general well-being among hemodialysis patients.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2012;15(1):20-29. 

  10. Yun SJ, Lee YH. Factors influencing uncertainty in dialysis patient by duration of dialysi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12;24(6):597-606. 

  11. Lee MJ. Uncertainty, appraisal of uncertainty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recovering clients discharged from hospital after CABG. Ewha Journal of Nursing Science. 2009;21(1):49-63. 

  12. Koo JY. Uncertainty and quality of life in ostomates with colorectal cancer patient [master's thesis]. Seoul: Yonsei University; 2008. 

  13. Cha KS, Kim KH. Impact of uncertainty on resilience in cancer patients. Asian Oncology Nursing. 2012;12(2):139-146. http://dx.doi.org/10.5388/aon.2012.12.2.139 

  14. Lee JH. The effect of self-efficacy promotion program on hemodialysis patients' self-efficacy, self-care practice and physiologic index [master's thesis]. Jinju: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2003. 

  15. Song MR, Kim MJ, Lee ME, Lee IB, Shu MR.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self-efficacy and self-care in hemodialysis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1999;29(3):563-575. 

  16. Curtin RB, Mapes DL. Health care management strategies of long-term dialysis survivors. Nephrology Nursing Journal. 2001;28(4):385-394. 

  17. Kim AY, Kim SJ. The effect of education program on early hemodialysis patients' knowledge, self-care practice and physiologic index. Chonnam Journal of Nursing Science. 2008;13(1):95-109. 

  18. Stiegelis HE, Hagedoorn M, Sanderman R, Bennenbroek FT, Buunk BP, van den Bergh AC, et al. The impact of an informational self-management intervention on the association between control and illness uncertainty before and psychological distress after radiotherapy. Psycho-Oncology. 2004;13(4):248-259. http://dx.doi.org/10.1002/pon.738 

  19. Bailey DE, Jr., Wallace M, Mishel MH. Watching, waiting and uncertainty in prostate cancer.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07;16(4):734-741. http://dx.doi.org/10.1111/j.1365-2702.2005.01545.x 

  20. Joe YJ, Shin YH. Depression, self care compliance and physiological indices of hemodialysis patients. Keimyung Journal of Nursing Science. 2011;15(1):115-122. 

  21. Mishel MH. The measurement of uncertainty in illness. Nursing Research. 1981;30(5):258-263. 

  22. Chung CW, Kim MJ, Rhee MH, Do HG. Functional status and psychosocial adjustment in gynecologic cancer patients receiving chemotherapy.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05;11(1):58-66. 

  23. Mishel MH, Sorenson DS. Uncertainty in gynecological cancer: A test of the mediating functions of mastery and coping. Nursing Research. 1991;40(3):167-171. 

  24. Kang YH. The relationships among uncertainty, appraisal of uncertainty, depression, anxiety and perceived health status in patients with atrial fibrill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2005;17(2):230-238. 

  25. Park MK, Kim IS. The comparative perceived family support, self-efficacy and quality of life between hemodialysis and peritoneal dialysis patients. The Medical Journal of Chosun University. 2006;31(3):54-63. 

  26. Jang YH, Oh HS, Jang GS. Self-care behaviors and physiological index according to cognitive function of hemodialysis patient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2012;6(2):57-69. 

  27. Na DM, Lee KO, Seo CS.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support and self-care performance of hemodialysis patients. The Medical Journal of Chosun University. 2002;27(2):231-239. 

  28. Kim HR. Relationship between uncertainty, sick role behaviors, and quality of life of rehospitalized patients underwent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4;20(3):279-289. 

  29. Lee JE, Kim SS, Kim SA, Han KH, Kim SH, Ji EJ, et al. Factors influencing health behavior of patients with chronic hepatitis B.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11;23(1):20-30. 

  30. Lee JM. A study on the subjectivity of cancer patients who have chemotherapy about uncertainty [master's thesis]. Seoul: Korea University;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