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다리꼴 상부 단면을 갖는 구리기둥 범프의 신뢰성 향상에 대한 연구
Studies on Copper Pillar Bump with Trapezoidal Cross Section on the Top Surface for Reliability Improvement 원문보기

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v.25 no.7, 2012년, pp.496 - 499  

조일환 (명지대학교 전자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odified structure of copper pillar bump which has trapezoidal cross section on the top region is suggested with simulation results and concept of fabrication process. Due to the large surface area of joint region between bump and solder in suggested structure, electro-migration effect can be reduc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고집적 패키징 기술에 사용되는 구리기둥 범프의 신뢰성 개선을 위하여 사다리꼴 상부 단면을 갖는 구리기둥 범프 기술을 소개하였다. 제안된 구조와 기존의 구리기둥 범프의 전기적, 기계적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제안된 TCCPB 구조의 우수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TCCPB 가 갖는 다양한 구조 변수에 따른 특성 변화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 높은 전류밀도의 경우 구리기둥과 솔더 사이의 표면적을 증가시킬 경우 감소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금속이온 이동현상을 줄이기 위하여 볼록한 윗면을 갖는 구리기둥 (trapezoidal cross section copper pillar bump, TCCPB)의 구조 및 공정 방법에 대하여 제안하고, 유한요소 해석법을 통하여 제안된 소자의 신뢰성 개선 효과에 대하여 분석한다.

가설 설정

  • 본 연구에서는 솔더 물질로 Sn-Ag 계열의 물질을 가정하였다. 그 이유로는 최근 환경문제로 인하여 사용이 자제되고 있는 Pb free solder에 대한 연구가 활성화되었기 때문이다 [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구리 기둥을 이용한 플립칩 기술의 문제점은? 구리 기둥을 이용한 플립칩 기술의 대표적인 장점으로는 고집적이 가능하다는 점과 높은 전도성으로 인한 칩의 성능 개선이 있다 [2]. 하지만 집적도의 증가와 함께 크기가 줄어든 구리기둥에 흐르는 전류의 밀도가 증가하게 되고, 이와 같은 높은 전류밀도에 의해 금속이온 이동현상 (electro migration)이 발생한다 [3]. 이와 같은 금속이온 이동현상은 구리기둥과 솔더 사이의 전류밀도에 의해서 결정된다 [3].
높은 전류밀도에 의한 금속이온 이동현상은 무엇에 의해 결정되는가? 하지만 집적도의 증가와 함께 크기가 줄어든 구리기둥에 흐르는 전류의 밀도가 증가하게 되고, 이와 같은 높은 전류밀도에 의해 금속이온 이동현상 (electro migration)이 발생한다 [3]. 이와 같은 금속이온 이동현상은 구리기둥과 솔더 사이의 전류밀도에 의해서 결정된다 [3]. 높은 전류밀도의 경우 구리기둥과 솔더 사이의 표면적을 증가시킬 경우 감소시킬 수 있다.
구리 기둥을 이용한 플립칩 기술의 장점은? 이러한 플립칩 기술에서 기존의 솔더볼을 이용하는 방식에 비해서 집적도와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구리 기둥을 사용하는 기술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1]. 구리 기둥을 이용한 플립칩 기술의 대표적인 장점으로는 고집적이 가능하다는 점과 높은 전도성으로 인한 칩의 성능 개선이 있다 [2]. 하지만 집적도의 증가와 함께 크기가 줄어든 구리기둥에 흐르는 전류의 밀도가 증가하게 되고, 이와 같은 높은 전류밀도에 의해 금속이온 이동현상 (electro migration)이 발생한다 [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

  1. M. T. Lee, J. P. Huang, G. T. Lin, Y. H. Lin, Y. J. Jiang, S. Chiu, and C. M. Huang, 4th International Microsystems, Packaging, Assembly and Circuits Technology Conference (Taipei, Taiwan, 2009) p. 128. 

  2. Y. S. Lai, Y. T. Chiu, C. W. Lee, Y. H. Shao, and J. Chen, Proc. 58th Electronic Component and Technology Conference (Lake Buena Vista, USA, 2008) p. 330. 

  3. S. Lee, Y. X. Guo, and C. K. Ong, Proc. 6th Electronics Packaging Technology Conference (ShenZhen, China, 2005) p. 135. 

  4. C. G. Lee, B. G. Park, and J. D. Lee, IEEE, Elec. Dev. Lett., 17, 115 (1996). 

  5. Y. D. Jeon, K. W. Paik, A. Ostmann, and H. Reichl, J. Electron. Mater., 34, 80 (2005). 

  6. B. Ebersberger and C. Lee, Electronic Components and Technology Conference (2008) p.5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