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혐기조건에서 석탄바닥재가 토양호흡량 및 미생물 생체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ottom Ash Amendment on Soil Respiration and Microbial Biomass under Anaerobic Conditions 원문보기

韓國土壤肥料學會誌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 fertilizer, v.45 no.2, 2012년, pp.260 - 265  

박종찬 (충북대학교 환경생명화학과) ,  정덕영 (충남대학교 생물환경화학과) ,  한광현 (충북대학교 환경생명화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담수 토양에서의 토양호흡량은 호기 상태에 비해 매우 낮은 수준이나, 혐기 상태에서의 유기물의 분해는 담수 생태계의 탄소순환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한편, 비산회(fly ash), 석탄바닥재 (bottom ash)와 같은 석탄 연료 부산물들은 이산화탄소 발생을 저감하고 토양 탄소를 격리하는 효과가 있음이 보고된 바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혐기조건 토양에서 석탄바닥재 단일 처리 및 석탄바닥재와 유기물 혼합 처리가 토양 미생물 호흡량 및 미생물 생체량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이산화탄소 발생속도는 석탄바닥재 처리에 의해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처리수준에 따라서도 감소하는 것을 보였다. 유기물과 석탄바닥재를 혼합 처리하였을 때에도 발생속도가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석탄바닥재 처리에 따라 토양미생물 생체량은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토양 중 암모니아태 질소, 질산태 질소, 유효인의 함량은 감소하는 경향이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oil respiration under flooded conditions is considered to be very small compared with aerobic soil respiration of soil organic matter. However, anaerobic decomposition of soil plays a key role in carbon cycling in flooded ecosystems. On the other hand, coal-ash wastes, such as fly ash and bottom a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유기물 (청보리)이 처리된 토양에서 석탄바닥재가 토양 미생물들의 분해 및 호흡량에 미치는 영향을 직접 제작한 호기순환 호흡계를 이용하여 실시간 모니터링하였고, 이를 통해 (1) 석탄바닥재의 처리 수준에 따른 토양미생물의 호흡속도의 차이, (2) 석탄바닥재의 처리 수준과 유기물의 성질에 따른 이산화탄소 발생량의 경시적 변화, 그리고 (3) 석탄바닥재가 가진 전반적인 이산화탄소 발생 저감 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 한편, 비산회(fly ash), 석탄바닥재 (bottom ash)와 같은 석탄 연료 부산물들은 이산화탄소 발생을 저감하고 토양 탄소를 격리하는 효과가 있음이 보고된 바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혐기조건 토양에서 석탄바닥재 단일 처리 및 석탄바닥재와 유기물 혼합 처리가 토양 미생물 호흡량 및 미생물 생체량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이산화탄소 발생속도는 석탄바닥재 처리에 의해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처리수준에 따라서도 감소하는 것을 보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토양 중 식물 잔재 및 광합성 산물들의 미생물에 의한 혐기적 분해 작용은 어떤 역할을 하는가? , 2004; Han et al., 2007), 토양 중 식물 잔재 및 광합성 산물들의 미생물에 의한 혐기적 분해는 이산화탄소 및 메탄의 발생을 유발하는 매우 활발한 과정이며, 논과 같은 담수 생태계의 탄소순환을 결정하는 주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혐기적 조건 하에서 복잡하고 거대한 유기물들은 먼저 가수분해되어 수용성 당류, 아미노산 및 비교적 긴 사슬의 유기산으로 전환된다 (Ralph and Dong, 2010).
혐기적 조건에서 복잡하고 거대한 유기물들은 가수분해하여 무엇으로 전환되는가? , 2007), 토양 중 식물 잔재 및 광합성 산물들의 미생물에 의한 혐기적 분해는 이산화탄소 및 메탄의 발생을 유발하는 매우 활발한 과정이며, 논과 같은 담수 생태계의 탄소순환을 결정하는 주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혐기적 조건 하에서 복잡하고 거대한 유기물들은 먼저 가수분해되어 수용성 당류, 아미노산 및 비교적 긴 사슬의 유기산으로 전환된다 (Ralph and Dong, 2010). 이들 가수분해 산물들은 토양에 존재하는 산생성균들에 의해 간단한 유기산들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부틸산 등), 에탄올, 그리고 이산화탄소로 분해된다(Ostrem and Themelis, 2004).
수용성 당류, 아미노산 및 비교적 긴 사슬의 유기산은 토양에 존재하는 산생성균들에 의해 무엇으로 분해되는가? 혐기적 조건 하에서 복잡하고 거대한 유기물들은 먼저 가수분해되어 수용성 당류, 아미노산 및 비교적 긴 사슬의 유기산으로 전환된다 (Ralph and Dong, 2010). 이들 가수분해 산물들은 토양에 존재하는 산생성균들에 의해 간단한 유기산들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부틸산 등), 에탄올, 그리고 이산화탄소로 분해된다(Ostrem and Themelis, 2004). 한편, 이렇게 생성된 아세트산과 이산화탄소는 메탄 생성균들에 의해 메탄으로 전환된다(Conrad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monette, J.E., J.B. Kim, C.K. Russell, A.V. Palumbo, and W.L. Daniels. 2003. Enhancement of soil carbon sequestration by amendment with fly ash. International Ash Utilization Symposium, University of Kentucky. USA. 

  2. Black, B.L. and R.H. Zimmerman. 2002. Mixtures of coal ash and compost as substrates for highbush blueberry. J. Am. Soc. Hortic. Sci. 127(5):869-877. 

  3. Campbell, C.S., J.L. Heilman, K.J. Mclnnes, L.T. Wilson, J.C. Medley, G. Wu, and D.R. Cobos. 2001. Diel and seasonal variation in $CO_{2}$ flux of irrigated rice. Agric. For. Meteorol., 108(1):15-27. 

  4. Conrad, R., M. Klose, and P. Claus. 2002. Pathway of CH4 formation in anoxic rice field soil and rice roots determined by $^{13}C$ -stable isotope fractionation. Chemosphere., 47(8): 797-806. 

  5. Han, G.H., H. Yoshikoshi, H. Nagai, T. Yamada, K. Ono, M. Mano,and A. Miyata. 2007. Isoptopic disequilibrium between carbon assimilated and respired in a rice paddy as influenced by methanogenesis from $CO_{2}$ . J.Geophys. Res., 112, G02016, doi:10.1029/2006JG000219. 

  6. Hinsch, F.A., J.L. Heilman, K.J. Mclnnes, D.A. Cobos, D.A. Zuberer, and D.L. Roelke. 2004. Carbon dioxide exchange in a high marsh on the Texas Gulf Coast: Effects of availability. Agric. For. Meteorol. 125(12):159-172. 

  7. Horwath, W.R. and E.A. Paul. 1996. Microbial biomass. P. 753-773. In A.L. page et al.(ed.) Methods of soil analysis, part 2. Microbiological and Biochemical Properties (1st ed.). Soil Science Society of America, Madison, WI, USA. 

  8.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2001. Climate chnge 2001: The Scientific basis, Houghton et al. (eds.), Cambridge Univ. Press, New York, pp. 385 -391. 

  9. Jala, S. and D. Goyal. 2006. Fly ash as a soil ameliorant for improving crop production. Bioresource Technology. 97: 1136-1147. 

  10. Kimura, M., J. Murase, and Y. Lu. 2004. Carbon cycling in rice field ecosystems in the context of input, decomposition and translocation of organic materials and the fates of their end products ( $CO_{2}$ and $CH_{4}$ ). Soil. Biol. Biochem., 36(9):1399-1416. 

  11. Kishor, A.K., Ghosh, and D.L. Kumar. 2010. Use of flyash in agriculture: A way to improve soil fertility and its productivity. Ajar 4(1):1-14. 

  12. Lee, J.Y. 2011. Assessment of bottom ash amendment on soil and turfgrass qualities in golf course. Doctor thesi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huncheon, Korea. 

  13. Lee, J.Y., H.Y. Choi, and J.E. Yang. 2010. Physicochemical effects of bottom ash on the turfgrass growth media of sandy topsoil in golf course. Kor. Turfgrass Sci. 24(2):199-204. 

  14. Miyata, A., R. Leuning, O.T. Denmead, J. Kim, and Y. Harazono. 2000. Carbon dioxide and methane fluxes from an intermittently flooded paddy field. Agric. For. Meteorol., 102(4):287303. 

  15. Mulvaney, R.L. 1996. Nitrogen inorganic form. P. 1152- 1155. In A.L. page et al.(ed.) Methods of soil analysis, part 3. Chemical methods (1st ed.). Soil Science Society of America, Madison, WI, USA. 

  16. Ostrem, K. and N.J. Themelis. 2004. Greening waste : Anaerobic digestion for treating the organic fraction of municipal solid wastes. Department of Earth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Fu Foundation of School of Engineering and Applied Science, Columbia University, Columbia, USA. 

  17. Palumbo, A.V., J.E. Amonette, J.R. Tarver, L.A. Fagan, S. Meghan, M.S. McNeilly, and W.L. Daniels. 2007. Fly ash chracteristics and carbon sequestration potential. World of coal ash (WOCA). Covington. Kentucky. USA. 

  18. Palumbo, A.V., W.L. Daniels, J.A. Burger, J.F. McCarthy, S. Wullschleger, J.E. Amonette, and L.S. Fusher. 2004. Prospects for enhancing carbon sequestration and reclamation of degraded lands with fossil-fuel combustion byproducts. Adv. Envir. Res. 8:425-438. 

  19. Phelps, T.J., Y. Roh, and R.J. Lauf. 2003. Biogeochemical processes utilizing fly ash for carbon sequestration. Hilton alexandria mark center. Alexandria. Virginia. USA. 

  20. Ralph, M. and G.J. Dong. 2010. Environmental microbiology second., A jhon wiley and sons, Inc., Publication. 

  21. RDA. 2000. Methods of analysis of soil and plant,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Korea. 

  22. Rochette, P.L. and G.L. Hutchinson. 2005. Measurement of soil respiration in situ: chamber techniques. pp. 247 -286. In A.L. page et al.(ed.) Micrometeorology in agricultural systems, part 12. Soil Science Society of Analysis, Madison, WI, USA. 

  23. Soil Science Society of America. 1996. Methods of soil analysis, part 3 chemical methods. Madison, Wisconsin, USA. 

  24. Wearing, C., C. Birch, and J. Nairn. 2004. An assessment of Tarong bottom ash for use on agricultural soils. Dev. Chem. Eng. Mineral Process., 12:531-543. 

  25. Yang, J.E., E.D. Skogley, B.E. Schaff, and J.J. Kim. 1998. A simple spectrophotometric determination of nitrate in water, resin, and soil extracts. Soil Sci. Soc. Am. J. 62:368-375 

  26. Yun, M.G. 2010. Immobilization of soil bacteria with cal bottom ash for using as microbial carrier. Master thesis. Gye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Kore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