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의 양성평등의식에 대한 주관성
Subjectivity of Nursing College Students' Awareness of Gender Equality: An Application of Q-methodology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2 no.3, 2012년, pp.342 - 350  

윤은자 (건국대학교 의료생명대학 간호학과) ,  권혜진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  김현정 (백석대학교 보건학부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the awareness of gender equality among nursing college students,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educational solutions and desirable directions. Methods: A Q-methodology which provides a method of analyzing the subjectivity of each item was used. 34 selected Q-...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연구자의 관점이 아닌 연구 대상자의 주관성에서 출발하는 Q방법론을 적용하여 간호대학생의 양성평등의식을 탐색한 결과, 이들의 양성평등에 대한 주관적 구조는 네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짐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이들 유형별 특성에 따라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양성평등 인식의 주관적 구조 유형을 파악하고 그 유형의 특성을 분석하여 간호대학생의 양성평등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연구 대상자의 주관적 관점에서 출발하는 Q방법론을 적용하여 양성평등에 대한 간호대학생의 인식 유형과 그 유형의 특성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토대로 양성평등 교육 프로그램과 의식 확산에 기여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연구 대상자의 주관적 관점에서 출발하는 Q방법론을 적용하여 양성평등에 대한 간호대학생의 인식 유형과 그 유형의 특성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토대로 양성평등 교육 프로그램과 의식 확산에 기여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양성평등에 대한 간호대학생의 주관적인 인식을 유형화하고 이를 심층 분석하여 대상자의 개별적인 특성에 따른 양성평등인식의 실천 방안과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시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의 여성 권한 지수는 몇위인가? 그러나 오늘의 한국 사회에는 여전히 심각한 성차별이 존재한다. 유엔에서 매년 측정하는 여성 권한 지수에서 우리나라는 134개국 중 113위로 하위 수준이다(EBS education, 2010). 또한 직장에서 동등한 업무 수행을 하더라도 남성이 여성보다 더 나은 보수를 받는 사례가 많으며 남성은 여성보다 사회적 지위가 높다고 지각한다(Kim & Kang, 2009).
현대 여성들이 의미를 부여하는 정체성에는 무엇이 있는가? 현대 여성들은 주부와 아내와 어머니로서의 여성 정체성만이 아니라 직업인으로서의 정체성에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어느 한쪽에 매임이 없이 남녀 파트너십을 구현하며 평등하고 자유로운 직업인으로서의 자아정체성을 확립하는 것은 개인의 삶뿐 아니라 국가 발전에 있어서도 매우 중요한 일이다(Vepa, 2007).
현대 여성들의 직업인으로서의 정체성에 대한 의미 부여는 어떠한 의의를 갖는가? 현대 여성들은 주부와 아내와 어머니로서의 여성 정체성만이 아니라 직업인으로서의 정체성에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어느 한쪽에 매임이 없이 남녀 파트너십을 구현하며 평등하고 자유로운 직업인으로서의 자아정체성을 확립하는 것은 개인의 삶뿐 아니라 국가 발전에 있어서도 매우 중요한 일이다(Vepa, 2007). 그러나 오늘의 한국 사회에는 여전히 심각한 성차별이 존재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n, E. S. (2010). Study on male nurses' gender stereotype and job satisfac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Eulji University, Daejeon. 

  2. An, E. S., & Chu, S. K. (2011). Study on male nurses' gender stereotype and job satisfac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7(1), 14-21. 

  3. Bae, E. J., & Lee, S. J. (2005). The effect of gender equality instruction in home economic class on the high school students consciousness of gender equality.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7(1), 1-13. 

  4. Bem, S. L. (1975). Sex role adaptability: One consequence of psychological androgyn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1(4), 634-643. http://dx.doi.org/10.1037/h0077098 

  5. Bickel, J. (2001). Gender equity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A status report. Journal of Women's Health & Gender-Based Medicine, 10(3), 261-270. http://dx.doi.org/10.1089/152460901300140013 

  6. Cho, K. W. (2006). Gender and education: What's problem? Journal of Women's Studies, 17, 29-62. 

  7. Connell, R. (2005). Change among the gatekeeper: Men, masculinities, and gender equality in the global arena. Journal of Women in Culture and Society, 30(3), 1801-1825. http://dx.doi.org/10.1086/427525 

  8. EBS Education. (2010, June 09). Ministry of gender equality & family. Retrieved June 21, 2011, from http://www.mogef.go.kr/korea/view/ news/news04_01.jsp 

  9. Jang, Y. A., & Kim, Y. M. (2010). The effect of parental sex-role attitude and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on adolescents' consciousness of gender equality. Youth Faculty & Environment, 8(2). 3-11. 

  10. Kabeer, N. (2003). Gender mainstreaming in poverty eradication and the millennium development goals: A handbook for policy-makers and other stakeholders. London: Commonwealth Secretariat. 

  11. Kim, H. J. (2004). A study on the factors of Korean couples' marital satisfaction. The Korea Journal of Counseling, 5(3), 839-853. 

  12. Kim, H. K. (2008). Agreement between the Q block and the Q tool.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cientific Study of Subjectivity, 16, 5-16. 

  13. Kim, J. C. (2009). The effects of gender sensitive group counseling on college students'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The Korea Journal of Counseling, 10(1), 271-284. 

  14. Kim, Y. H., & Kang, H. W. (2009). A study on gender equalitarianism of Kyonggi University students. The Civil Humanities, 16, 127-164. 

  15. Kim, Y. S., Park, J. H., & Lim, K. Y. (2006). Interpersonal conflicts and communication among medical residents, nurses and technologists. Korean Journal of Hospital Management, 11(2), 16-31. 

  16. Lee, J. D., Lee, S. J., & Shin, H. S. (2010). The effects of variables on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by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2(2), 15-30. 

  17. Lee, J. Y. (2003). An inquiry into realities of sexual harassment of nurse, employed in university hospital.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8. Lee, K. S., & Chung, S. J. (2006). A correlational study among gender equality awareness, meaning in life, and depress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 15(1), 14-21. 

  19. Park, I. S., Kim, J. O., Kim, H. J., Nam, H. A., & Lee, K. R. (2009). The study of adaptation of male nursing college student-applying grounded theory.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12, 77-77. 

  20. Park, S. H., & Kwon, H. J. (2009). A subjectivity study on high school students' gender awarenes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6(11), 185-205. 

  21. Seo, J. I., & Park, M. S. (2007). The effects of the movie therapy program on the gender egalitarianism and gender stereotype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Educational Forum, 6(2), 105-121. 

  22. Strasen, L. (1992). The image of professional nursing: Strategies for action. Philadelphia: J. B. Lippincott Company. 

  23. Sung, M. K., & Lee, H. Y. (2007). Effect of gender equality career education program on vocational gender equalitarianism and career ident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19(1), 121-128. 

  24. The Korean Research Institute for Nursing Policy. (2007). Yearbook of nursing statistics. Seoul: Author. 

  25. Vepa, S. S. (2007). Gender equity & human development. Indian Journal of Medical Research, 126, 328-340. 

  26. Verdonk, P., Benschop, Y. W. M., De Haes, H. C. J. M., & Largo-Janssen, T. L. M. (2008). Medical students' gender awareness-Construction of the Nijmegen Gender Awareness in Medicine Scale (N-GAMS). Sex Roles, 58, 222-234. http://dx.doi.org/10.1007/s11199-007-9326-x 

  27. Woo, M. S. (2007). A study on marital intimacy of middle-aged men and wom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ngsil University, Seoul.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