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논문]함초 열수추출물의 섭취가 비만유도 흰쥐의 항비만 효과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Intake of Salicornia herbacea L. Hot Water Extract on Anti-obesity in Diet-induced Obese Rats원문보기
본 연구는 함초 열수 추출물의 항비만 효과 및 지질대사 개선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5주령된 수컷 흰쥐 36마리를 1주일간 적응시킨 후 정상식이군(NF), 고지방식이(HF)를 6주간 급여하여 비만을 유도하였다. 다시 정상식이군(N), 정상식이+함초 0.5%군(NS), 비만유도 후 정상식이군(H), 비만유도 후 정상식이+함초 0.5%군(HS), 비만유도 후 고지방식이군(HH), 비만유도 후 고지방식이+함초 0.5%군(HHS) 6군으로 나누어 6주간 실험 식이를 급여하였다. 고지방식이로 인하여 대조군과 비교하여 체중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함초를 급여한 HHS군의 체중과 체중증가량이 대조군인 HH군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식이섭취량의 유의차는 없었으나 HHS군의 식이효율이 HH군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여 함초 급여 시 동량의 식이량을 섭취하였으나 체중의 증가량이 적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함초의 급여에 따른 간장의 무게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NS, HNS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HHS군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부고환지방의 무게는 비만 유도군에서 정상군과 비교하여 무게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함초를 급여한 NS, HHS군에서 무게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HHS군에서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신장주변지방의 무게 또한 동일한 경향으로 비만 유도된 군의 지방의 무게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HNS, HHS군의 지방무게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혈청중 지질의 농도는 함초를 급여한 군 모두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중성지방의 농도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총 콜레스테롤의 농도는 NS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비만군에서는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HDL-콜레스테롤의 농도는 HNS, HHS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LDL-콜레스테롤은 NS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비만군에서는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정상식이와 비교하여 비만유도군의 혈당이 증가된 것이 확인되었고 함초의 급여로 HNS군의 혈당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동맥경화지수는 HHS군이 대조군 HH군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심장위험 지수도 동일하게 HHS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혈청 중 렙틴의 농도는 NGOT 활성은 NS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비만군에서는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상의 실험결과 함초의 열수추출물은 비만유도 흰쥐에서 체중, 간, 지방조직의 무게 감소와 더불어 혈청의 지질성상의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함초에 함유된 다량의 식이섬유소와 미네랄 등의 생리활성 물질이 지질대사를 개선시키고 지방 축적을 억제하여 비만, 고지혈증, 이상지혈증의 예방 및 개선 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기대하는 바이며 나아가 심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함초 열수 추출물의 항비만 효과 및 지질대사 개선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5주령된 수컷 흰쥐 36마리를 1주일간 적응시킨 후 정상식이군(NF), 고지방식이(HF)를 6주간 급여하여 비만을 유도하였다. 다시 정상식이군(N), 정상식이+함초 0.5%군(NS), 비만유도 후 정상식이군(H), 비만유도 후 정상식이+함초 0.5%군(HS), 비만유도 후 고지방식이군(HH), 비만유도 후 고지방식이+함초 0.5%군(HHS) 6군으로 나누어 6주간 실험 식이를 급여하였다. 고지방식이로 인하여 대조군과 비교하여 체중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함초를 급여한 HHS군의 체중과 체중증가량이 대조군인 HH군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식이섭취량의 유의차는 없었으나 HHS군의 식이효율이 HH군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여 함초 급여 시 동량의 식이량을 섭취하였으나 체중의 증가량이 적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함초의 급여에 따른 간장의 무게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NS, HNS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HHS군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부고환지방의 무게는 비만 유도군에서 정상군과 비교하여 무게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함초를 급여한 NS, HHS군에서 무게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HHS군에서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신장주변지방의 무게 또한 동일한 경향으로 비만 유도된 군의 지방의 무게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HNS, HHS군의 지방무게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혈청중 지질의 농도는 함초를 급여한 군 모두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중성지방의 농도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총 콜레스테롤의 농도는 NS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비만군에서는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HDL-콜레스테롤의 농도는 HNS, HHS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LDL-콜레스테롤은 NS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비만군에서는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정상식이와 비교하여 비만유도군의 혈당이 증가된 것이 확인되었고 함초의 급여로 HNS군의 혈당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동맥경화지수는 HHS군이 대조군 HH군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심장위험 지수도 동일하게 HHS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혈청 중 렙틴의 농도는 N
Salicornia herbacea L. is an annual herb that grows in salt marshes and salt fields along the seashores. It is also commonly used as a folk remedy in Korea.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beneficial effects of Salicorrnia herbacea L. (SH) hot water extract on obesity. Five-week o...
Salicornia herbacea L. is an annual herb that grows in salt marshes and salt fields along the seashores. It is also commonly used as a folk remedy in Korea.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beneficial effects of Salicorrnia herbacea L. (SH) hot water extract on obesity. Five-week old male Sprague-Dawley rats (n=36)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nd provided either a normal fat diet (11.5% fat from kcal) or a high fat diet (40.5% fat from kcal) for 6 weeks to induce obesity. Then, rats were blocked into six groups of six mice each and provided either a diet containing SH (0.5% of diet; g/kg) or a normal diet for another 6 weeks. Final body weights were significantly reduced when rats were fed SH among the high fat diet groups (HNS and HHS). Serum triglyceride concentrations significantly decreased in every group provided SH. HDL-cholesterol concentrations significantly increased in SH-fed groups among the high fat diet groups. Further, atherogenic index significantly decreased when rats were fed SH diet (HH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LDL-cholesterol between the high fat diet groups, and glucose concentrations decreased when rats were fed SH diet (HN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dietary intake of Salicornia herbacea L. hot water extract might have beneficial effects on obesity by reducing body weight, fat weights, and improving blood lipid profile.
Salicornia herbacea L. is an annual herb that grows in salt marshes and salt fields along the seashores. It is also commonly used as a folk remedy in Korea.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beneficial effects of Salicorrnia herbacea L. (SH) hot water extract on obesity. Five-week old male Sprague-Dawley rats (n=36)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nd provided either a normal fat diet (11.5% fat from kcal) or a high fat diet (40.5% fat from kcal) for 6 weeks to induce obesity. Then, rats were blocked into six groups of six mice each and provided either a diet containing SH (0.5% of diet; g/kg) or a normal diet for another 6 weeks. Final body weights were significantly reduced when rats were fed SH among the high fat diet groups (HNS and HHS). Serum triglyceride concentrations significantly decreased in every group provided SH. HDL-cholesterol concentrations significantly increased in SH-fed groups among the high fat diet groups. Further, atherogenic index significantly decreased when rats were fed SH diet (HH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LDL-cholesterol between the high fat diet groups, and glucose concentrations decreased when rats were fed SH diet (HN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dietary intake of Salicornia herbacea L. hot water extract might have beneficial effects on obesity by reducing body weight, fat weights, and improving blood lipid profile.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본 연구에서는 고지방 식이로 비만을 유도한 흰쥐의 식이에 0.5%의 함초 열수 추출물을 첨가하여 6주간 섭취시킨후 함초의 섭취가 비만 쥐의 혈중지질성상과 체중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함초 열수 추출물의 항비만 효과 및 지질대사개선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5주령된 수컷 흰쥐 36마리를 1주일간 적응시킨 후 정상식이군(NF), 고지방식이(HF)를 6주간 급여하여 비만을 유도하였다. 다시 정상식이군(N), 정상식이+함초 0.
가설 설정
2. All data are ex-pressed as means±SEM.
제안 방법
실험에 사용된 함초는 (주)다사랑(Jeollanam-do, Korea)에서 공급받아 사용하였다. 시료는 불순물 제거를 위하여 가볍게 수세한 후 음건하고, 열수추출에 적합하도록 절단한후 일정량을 평량하고 10배 가수하여 7시간 동안 가열하여 열수 추출액을 얻었다. 추출액은 회전감압농축기를 사용하여 농축한 다음 동결건조 하여 분말화하였다.
5주령의(평균체중 150 g) Sprague-Dawley종 수컷 흰쥐(n=36)를 (주)나라바이오텍(Seoul, Korea)으로부터 분양 받아 본 연구에 사용하였다. 고형사료와 물을 자유로이 공급하면서 1주일간의 적응기간 후에 난괴법에 의하여 2군으로 나누어 대조군에게는 정상식이(11.5% 지방)를 비만 유도군은 총 열량의 40.5%를 지방으로 공급한 고지방 식이를 6주간 공급하여 비만을 유도하였다(Table 1). 비만유도 후 다시 난괴법에 의해 정상식이군(N), 정상식이+함초 0.
5%를 지방으로 공급한 고지방 식이를 6주간 공급하여 비만을 유도하였다(Table 1). 비만유도 후 다시 난괴법에 의해 정상식이군(N), 정상식이+함초 0.5%군(NS), 비만유도 후 정상식이군(H), 비만유도 후 정상식이+함초0.5%군(HS), 비만유도 후 고지방식이 군(HH), 비만유도 후 고지방 식이+함초 0.5%군(HHS) 6군으로 나누어 6주간 실험 식이를 급여하였다. 실험 식이와 증류수는 자유 섭취시켰으며 일일사료 섭취량은 일주일 간격으로 조사하여 식이섭취량(g/day)을 산출하였다.
5%군(HHS) 6군으로 나누어 6주간 실험 식이를 급여하였다. 실험 식이와 증류수는 자유 섭취시켰으며 일일사료 섭취량은 일주일 간격으로 조사하여 식이섭취량(g/day)을 산출하였다. 함초 식이는 정상식이와 고지방식이에 각각 0.
실험 식이와 증류수는 자유 섭취시켰으며 일일사료 섭취량은 일주일 간격으로 조사하여 식이섭취량(g/day)을 산출하였다. 함초 식이는 정상식이와 고지방식이에 각각 0.5%의 함초를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체중과 식이섭취량은 1주일에 1회 동일한 시간에 측정하여 실험기간 중의 체중증가량을 같은 기간의 식이섭취량으로 나누어 각 실험군들의 식이효율(food efficiency ratio: FER)을 산출하였다.
5%의 함초를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체중과 식이섭취량은 1주일에 1회 동일한 시간에 측정하여 실험기간 중의 체중증가량을 같은 기간의 식이섭취량으로 나누어 각 실험군들의 식이효율(food efficiency ratio: FER)을 산출하였다. 사육실 환경은 온도 22±1℃, 상대습도 55±5%, 명암은 12시간 주기로 일정하게 유지하였다.
5 g, 4℃, 15 min; Centrifuge 5810R, Eppendorf, Ham-burg, Germany). 희생 후 즉시 간, 신장, 비장, 신장주변지방, 부고환지방을 적출하고 생리식염수로 세척 한 후 여과지로수분을 제거하여 무게를 측정하였다.
혈청분석 항목은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HDL-choles-terol, 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GOT), glutamic pyruvic transaminase(GPT)로써 자동혈액분석기(FUJI DRI-CHEM 3500, Fujifilm, Tokyo, Japan)로 분석하였다. 혈청 인슐린과 렙틴 농도는 각각 rat insulin ELISA(Merco-dia, Uppsala, Sweden)와 mouse and rat leptin ELISA (Biovendor, Brno, Czech Republic)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혈청분석 항목은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HDL-choles-terol, 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GOT), glutamic pyruvic transaminase(GPT)로써 자동혈액분석기(FUJI DRI-CHEM 3500, Fujifilm, Tokyo, Japan)로 분석하였다. 혈청 인슐린과 렙틴 농도는 각각 rat insulin ELISA(Merco-dia, Uppsala, Sweden)와 mouse and rat leptin ELISA (Biovendor, Brno, Czech Republic)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혈액분석 결과를 통해 LDL-cholesterol의 농도, 동맥경화지수(atherogenic index, A.
혈청 인슐린과 렙틴 농도는 각각 rat insulin ELISA(Merco-dia, Uppsala, Sweden)와 mouse and rat leptin ELISA (Biovendor, Brno, Czech Republic)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혈액분석 결과를 통해 LDL-cholesterol의 농도, 동맥경화지수(atherogenic index, A.I.)와 심장 위험지수(cardiac risk factor, C.R.F.)를 다음의 공식과 같이 산출하였다.
고지방식이와 함초 추출물을 첨가하여 6주간 급여한 흰쥐의 간, 신장, 비장의 체중 당 장기무게 변화를 관찰하였다(Table 3). 정상식이 군에서 함초를 급여한 NS군의 간 무게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비만 유도 후 함초를 함유한정상식이를 급여한 HNS의 간 무게가 함초를 함유하지 않은식이를 섭취한 HN의 무게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정상식이군(N), 비만유도 후 정상식이 급여군(HN), 비만유도 후 고지방식이 급여군(HH)의 렙틴의 농도는 N< HN<HH의 순서로 증가하였다(Fig. 1A).
본 연구는 함초 열수 추출물의 항비만 효과 및 지질대사개선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5주령된 수컷 흰쥐 36마리를 1주일간 적응시킨 후 정상식이군(NF), 고지방식이(HF)를 6주간 급여하여 비만을 유도하였다. 다시 정상식이군(N), 정상식이+함초 0.5%군(NS), 비만유도 후 정상식이군(H), 비만유도 후 정상식이+함초 0.5%군(HS), 비만유도 후 고지방식이군(HH), 비만유도 후 고지방식이+함초 0.5%군(HHS) 6군으로 나누어 6주간 실험 식이를 급여하였다. 고지방식이로 인하여 대조군과 비교하여 체중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함초를 급여한 HHS군의 체중과 체중증가량이 대조군인 HH군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대상 데이터
실험에 사용된 함초는 (주)다사랑(Jeollanam-do, Korea)에서 공급받아 사용하였다. 시료는 불순물 제거를 위하여 가볍게 수세한 후 음건하고, 열수추출에 적합하도록 절단한후 일정량을 평량하고 10배 가수하여 7시간 동안 가열하여 열수 추출액을 얻었다.
5주령의(평균체중 150 g) Sprague-Dawley종 수컷 흰쥐(n=36)를 (주)나라바이오텍(Seoul, Korea)으로부터 분양 받아 본 연구에 사용하였다. 고형사료와 물을 자유로이 공급하면서 1주일간의 적응기간 후에 난괴법에 의하여 2군으로 나누어 대조군에게는 정상식이(11.
데이터처리
실험군간의 유의성 차이 비교를 위해 전체군의 유의차는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을 한 후 p<0.05수준에서 Duncan’s multiple test를 이용하였고 함초군과 각각의 대조군간의 유의차는 독립표본 T 검정을 실시하여 유의수준 p<0.05 수준에서 상호 검정하였다.
실험결과는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er-sion 12.0(SPSS 12.0, SPSS Inc., Chicago, IL, USA)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실험군의 평균±표준오차로 표시하였다.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the 0.5% Salicornia herbacea L. supplemented group as assessed by Student’s t-test (p<0.05).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the 0.5%Salicornia herbacea L. supplemented group as assessed by Student’s t-test (p<0.05).
Values with dif-ferent letters (a-c) on bars represent sig-nificant differences as assessed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p<0.05).
성능/효과
8%로 나타난 결과이다. 대한민국 국민의 영양섭취의 상태에도 큰 변화가 있어 에너지 및 지방과잉섭취자의 비율이 전년도 대비 큰 폭으로 상승한 반면 중증도 신체활동실천율 및 걷기 실천율이 큰 폭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2). 2010년 국민건강영양조사를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 성인의 비만율이 증가함에 따라 정상체중인 사람에 비해 비만인 사람에서 고혈압, 이상지혈증, 당뇨병이 동반될 위험이 2배이상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에너지 및 지방의 높은 섭취량에 비해 낮은 신체활동과 불규칙한 생활습관이 상관관계가 있다고 보인다.
사육실 환경은 온도 22±1℃, 상대습도 55±5%, 명암은 12시간 주기로 일정하게 유지하였다.
HHS군의 식이효율은 0.13±0.00으로 함초를 첨가하지 않은 고지방식이인 HH군의 식이효율 0.15±0.01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실험동물의 희생 직전에 측정한 최종 체중은 HHS군이 573.21±8.09 g으로 HH군 607.82±12.10 g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함초 추출물이 첨가된 식이가 비만 유도된 흰쥐에 있어서 비만의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실험기간 동안 실험동물의 체중증가량, 식이섭취량 및 식이효율을 측정한결과는 Table 2에 제시하였다. 함초 급여기간 6주 동안의 체중증가는 실험군 간의 유의차를 보였으며, 비만유도군인 고지방식이 HH군이 정상식이 N군과 비교하여 11.3% 체중이 유의하게 증가되어 40.5%의 고지방식이로 인한 흰쥐의 비만유도를 관찰할 수 있었다(data not shown). 실험동물의 희생 직전에 측정한 최종 체중은 HHS군이 573.
11 g/day)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실험기간 동안의 체중증가량과 식이섭취량의 비율로 살펴본 식이효율은 고지방식이군에서만 유의차를 보였다. HHS군의 식이효율은 0.
01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두 군의 식이섭취량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미루어 비만 쥐에 함초의 보충 공급이 동량의 식이량을 섭취했을 때 체중을 줄이는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식이섭취량은 정상식이군(N, NS)과 비교하여 고지방식이군(HN, HNS, HH, HHS)에서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두 군의 식이섭취량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미루어 비만 쥐에 함초의 보충 공급이 동량의 식이량을 섭취했을 때 체중을 줄이는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식이섭취량은 정상식이군(N, NS)과 비교하여 고지방식이군(HN, HNS, HH, HHS)에서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고지방식이의 섭취로 인한 열량섭취의 증가의 균형을 맞추기 위한 적응현상이라고 사료된다.
Jo 등(14)의 연구에 의하면 함초 추출물을 농도별로 첨가하여 흰쥐에 급수시켰을 때 대조군과 비교하여 함초 급수 쥐의 체중의 증가가 억제되었고 추출액의 투여농도가 증가할수록 억제효과가 더 크게 나타났다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도 비만 쥐에 함초를 급여하였을 때 체중 증가가 억제되는 결과는 보여함초의 체중 감소 효과를 확인하였다.
고지방식이와 함초 추출물을 첨가하여 6주간 급여한 흰쥐의 간, 신장, 비장의 체중 당 장기무게 변화를 관찰하였다(Table 3). 정상식이 군에서 함초를 급여한 NS군의 간 무게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비만 유도 후 함초를 함유한정상식이를 급여한 HNS의 간 무게가 함초를 함유하지 않은식이를 섭취한 HN의 무게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HS군의 간 무게 또한 HH군과 비교하여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유의차는 없었다.
일반적으로 고지방 또는고콜레스테롤의 섭취의 증가는 간의 지질대사의 문제를 초래하여 간의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질 함량의 증가 및 간 무게가 증가되어진다(15). 그러나 본 실험에서는 고지방 섭취로 인한 간 무게의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함초 추출물의 급여함으로써 간조직의 무게가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신장무게는 정상식이와 비교하여 고지방식이 섭취군의 무게가 감소하였고, 비만 유도 후 정상식이를 섭취한 HN, HS군과 비교하여 6주간 지속적으로 고지방 식이를 섭취한 HHN, HHS군의 신장무게가 감소하였으나 함초의 급여로 인한 신장무게의 감소는 관찰되지 않았다.
그러나 본 실험에서는 고지방 섭취로 인한 간 무게의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함초 추출물의 급여함으로써 간조직의 무게가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신장무게는 정상식이와 비교하여 고지방식이 섭취군의 무게가 감소하였고, 비만 유도 후 정상식이를 섭취한 HN, HS군과 비교하여 6주간 지속적으로 고지방 식이를 섭취한 HHN, HHS군의 신장무게가 감소하였으나 함초의 급여로 인한 신장무게의 감소는 관찰되지 않았다. 비장의 무게는 비만유도 후 다시 6주간 고지방 식이를 공급한 HHN, HHS군의 비장무게가 다른 군과 비교하여 감소되었으나 신장과 마찬가지로 함초의 급여에 따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신장무게는 정상식이와 비교하여 고지방식이 섭취군의 무게가 감소하였고, 비만 유도 후 정상식이를 섭취한 HN, HS군과 비교하여 6주간 지속적으로 고지방 식이를 섭취한 HHN, HHS군의 신장무게가 감소하였으나 함초의 급여로 인한 신장무게의 감소는 관찰되지 않았다. 비장의 무게는 비만유도 후 다시 6주간 고지방 식이를 공급한 HHN, HHS군의 비장무게가 다른 군과 비교하여 감소되었으나 신장과 마찬가지로 함초의 급여에 따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식이에 함초를 첨가하였을 때 정상식이, 고지방식이 모두에서 함초 첨가군의 부고환지방의 무게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HN군(2.56±0.15 g/100 g body weight)과 비교하여 함초 첨가군인 HNS군(2.06±0.12 g/100 g body weight)에서 유의적으로 20% 감소하였다(p<0.05).
LDL-cholesterol 농도는 비만군에서는 변화가 없었으나 정상식이군 N군(21.57±1.44 mg/dL)과 비교하여 NS군(13.58±0.80 mg/dL)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또한 HH군과 비교하여 HHS군에서 혈청 중 중성지방의 농도가 28%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p<0.05).
6주간 비만 유도 후 11.5% 지방 식이에 0.5%의 함초 추출물을 급여한 실험 군에서도 HN군 103.08±10.76 mg/dL)과 비교하여 함초를 급여한 HNS군(71.75±7.87 mg/dL)에서 혈청중 중성지방의 농도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실험동물의 부고환지방과 신장주변지방의 무게를 Table 4에 제시하였다. N군과 비교하여 HN, HH군의 부고환지방의 무게를 비교해 보면 각각 14.8%, 28.3% 증가하여 고지방식이로 인하여 체내 지방이 축적이 되고, 비만유도 후 정상식이를 급여한 군보다 고지방식이를 지속적으로 공급한 군의 지방축적이 증가됨이 확인되었다. 식이에 함초를 첨가하였을 때 정상식이, 고지방식이 모두에서 함초 첨가군의 부고환지방의 무게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HN군(2.
05). 신장주변지방의 무게 또한 부고환지방과 유사하게 정상식이보다 고지방식이를 섭취한군의 무게가 증가하였으며 함초를 첨가하였을 때 정상식이,고지방식이 모두에서 함초 첨가군의 신장주변지방의 무게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HN군과 비교하여 HNS군에서 20%, HH군과 비교하여 HHS군에서 8% 각각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비만은 일반적으로 체지방의 증가가 체중의 증가보다 건강에 위험한 요소로 작용한다고 알려져 있다(16).
체지방량과 더불어 지방의 분포 또한 중요한데 특히 복부의장기주변에 저장되어있는 형태인 복부비만은 심장질환, 뇌졸중, 당뇨, 고혈압, 일부 암의 위험이 크다(1). 따라서 본연구 결과 40.5%의 지방함유 식이로 비만을 유도하여 부고환지방과 신장주변지방의 무게가 증가되었으나, 함초 추출물을 급여한 군에서 지방의 무게가 감소되어진 것으로 미루어 함초 추출물이 복부지방의 함량을 줄여 비만 및 비만 관련 질환을 개선하는데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고지방식이와 함초 추출물을 첨가하여 6주간 급여한 흰쥐의 혈청 중 중성지방, 총콜레스테롤, HDL-cholesterol, LDL-cholesterol, 혈당의 함량은 Table 5와 같다. 혈청 중성지방의 함량은 고지방식이군(HH)이 정상식이군(N)과 비교하여 12.4% 증가하여 고지방식이에 의한 혈청 중 중성지방의 함량 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다. 정상군에서는 함초를 급여한 NS군의 중성지질의 함량이 64.
복부지방이 축적된 사람들에게서 혈중 중성지방의 함량이 높다고 보고되고 있는데(17) 본 연구에서도 복부지방인 부고환지방의 무게와 비례하여 무게가 가장 무거웠던 HH군의 혈청 중 중성지방의 함량이 가장 높았고, 함초를 급여한 군(NS, HNS, HHS) 모두 부고환 지방의 무게가 감소하였는데 중성지방의 함량 또한 동일한 경향으로 감소하였다. 혈청 중 총 콜레스테롤은 비만유도군과 정상식이군의 함량이 크게 다르지 않았으며 NS군의 총콜레스테롤의 함량이 N군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비만군에서는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혈청 중HDL-cholesterol의 농도는 정상식이군(N)과 비교하여 비만군(HH)에서 22.
혈청 중 총 콜레스테롤은 비만유도군과 정상식이군의 함량이 크게 다르지 않았으며 NS군의 총콜레스테롤의 함량이 N군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비만군에서는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혈청 중HDL-cholesterol의 농도는 정상식이군(N)과 비교하여 비만군(HH)에서 22.6%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비만유도군중함초를 급여한 군(HNS, HHS)에서 대조군(HN, HH)과 비교하여 각각 16.
혈청 중 혈당은 정상 실험군 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비만유도 후 정상식이를 급여한 HN군(93.67±3.08 mg/dL)과 비교하여 함초를 급여한 HNS군(82.42±1.96 mg/dL)의 혈당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HDL-, LDL-cholesterol은 체내에서 콜레스테롤을 운반하는 역할을 하는데 HDL-cholesterol은 콜레스테롤을 조직에서 간으로 이송하여 재활용 또는 배설 하여혈중 콜레스테롤 함량을 저하시키는 반면에 LDL-choles-terol은 간에서 다른 조직으로 콜레스테롤을 운반, 체내에콜레스테롤을 축적하여 심혈관계질환의 발병에 중요 위험인자이다(18,19). 함초 추출물의 급여가 비만군의 혈청 중 콜레스테롤의 함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이며, 특히 HDL-cholesterol 함량을 유의적으로 증가시켰다.
비만유도 흰쥐의 함초의 섭취에 따른 동맥경화지수와 심혈관위험지수는 Table 6과 같다. 정상 식이군과 고지방식이군의 유의적인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으나 고지방식이군 HH군과 비교하여 HHS군의 동맥경화지수와 심혈관위험지수가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식이섬유가 풍부한 식품을 섭취하게 되면 식품 속의 식이섬유와 담즙산이 결합하여 콜레스테롤의 배출을 도와 혈중 콜레스테롤의 농도를 낮춘다.
1A). 렙틴의 농도는 체지방양과 관련 있어 6주간의 비만유도기간 동안 고지방식이를 섭취한 HN, HH군의 부고환지방, 신장주변지방의 무게가증가하였고(Table 4) 동일한 경향으로 렙틴의 농도가 증가되었다. 특히, 실험기간 12주 동안 고지방식이를 섭취한 HH군의 렙틴의 함량이 12주 동안 정상식이를 섭취한 N군과비교하여 98.
렙틴의 농도는 체지방양과 관련 있어 6주간의 비만유도기간 동안 고지방식이를 섭취한 HN, HH군의 부고환지방, 신장주변지방의 무게가증가하였고(Table 4) 동일한 경향으로 렙틴의 농도가 증가되었다. 특히, 실험기간 12주 동안 고지방식이를 섭취한 HH군의 렙틴의 함량이 12주 동안 정상식이를 섭취한 N군과비교하여 98.7%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이는 렙틴을 생성 및 분비하는 지방조직의 양적 수준과 혈청 중 렙틴의 농도간에 양의 상관관계가 성립됨을 시사한다.
이는 렙틴을 생성 및 분비하는 지방조직의 양적 수준과 혈청 중 렙틴의 농도간에 양의 상관관계가 성립됨을 시사한다. 함초의 급여에따른 렙틴의 농도는 NS, HNS, HHS군 모두 대조군과 비교하여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혈청 중 렙틴의 농도는 N<HN<HH의 순서로 비만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함초의 급여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5%군(HHS) 6군으로 나누어 6주간 실험 식이를 급여하였다. 고지방식이로 인하여 대조군과 비교하여 체중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함초를 급여한 HHS군의 체중과 체중증가량이 대조군인 HH군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식이섭취량의유의차는 없었으나 HHS군의 식이효율이 HH군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여 함초 급여 시 동량의 식이량을 섭취하였으나 체중의 증가량이 적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고지방식이로 인하여 대조군과 비교하여 체중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함초를 급여한 HHS군의 체중과 체중증가량이 대조군인 HH군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식이섭취량의유의차는 없었으나 HHS군의 식이효율이 HH군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여 함초 급여 시 동량의 식이량을 섭취하였으나 체중의 증가량이 적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함초의 급여에 따른 간장의 무게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NS, HNS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HHS군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식이섭취량의유의차는 없었으나 HHS군의 식이효율이 HH군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여 함초 급여 시 동량의 식이량을 섭취하였으나 체중의 증가량이 적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함초의 급여에 따른 간장의 무게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NS, HNS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HHS군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부고환지방의 무게는 비만 유도군에서 정상군과 비교하여 무게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함초를 급여한NS, HHS군에서 무게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HHS군에서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함초의 급여에 따른 간장의 무게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NS, HNS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HHS군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부고환지방의 무게는 비만 유도군에서 정상군과 비교하여 무게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함초를 급여한NS, HHS군에서 무게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HHS군에서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신장주변지방의 무게 또한 동일한 경향으로 비만 유도된 군의 지방의 무게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HNS, HHS군의 지방무게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부고환지방의 무게는 비만 유도군에서 정상군과 비교하여 무게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함초를 급여한NS, HHS군에서 무게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HHS군에서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신장주변지방의 무게 또한 동일한 경향으로 비만 유도된 군의 지방의 무게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HNS, HHS군의 지방무게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혈청중 지질의 농도는 함초를 급여한 군 모두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중성지방의 농도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신장주변지방의 무게 또한 동일한 경향으로 비만 유도된 군의 지방의 무게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HNS, HHS군의 지방무게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혈청중 지질의 농도는 함초를 급여한 군 모두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중성지방의 농도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총 콜레스테롤의 농도는 NS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비만군에서는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총 콜레스테롤의 농도는 NS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비만군에서는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HDL-콜레스테롤의 농도는 HNS, HHS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LDL-콜레스테롤은 NS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비만군에서는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정상식이와 비교하여 비만유도군의 혈당이 증가된 것이 확인되었고 함초의 급여로 HNS군의 혈당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HDL-콜레스테롤의 농도는 HNS, HHS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LDL-콜레스테롤은 NS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비만군에서는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정상식이와 비교하여 비만유도군의 혈당이 증가된 것이 확인되었고 함초의 급여로 HNS군의 혈당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동맥경화지수는 HHS군이 대조군 HH군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심장위험 지수도 동일하게 HHS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정상식이와 비교하여 비만유도군의 혈당이 증가된 것이 확인되었고 함초의 급여로 HNS군의 혈당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동맥경화지수는 HHS군이 대조군 HH군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심장위험 지수도 동일하게 HHS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혈청 중 렙틴의 농도는 N<HN<HH의 순서로 비만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함초의 급여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혈청 중 렙틴의 농도는 N<HN<HH의 순서로 비만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함초의 급여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인슐린의 농도도 동일한 경향을 보여 비만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함초의 급여에 따른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혈청 중 GPT의 활성은 고지방식이에서 다소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HHS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여 함초와 간 기능에 관한 추후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며 GOT 활성은 NS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비만군에서는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혈청 중 GPT의 활성은 고지방식이에서 다소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HHS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여 함초와 간 기능에 관한 추후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며 GOT 활성은 NS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비만군에서는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상의 실험결과 함초의 열수추출물은 비만유도 흰쥐에서 체중, 간, 지방조직의 무게 감소와 더불어 혈청의 지질성상의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함초에 함유된 다량의식이섬유소와 미네랄 등의 생리활성 물질이 지질대사를 개선시키고 지방 축적을 억제하여 비만, 고지혈증, 이상지혈증의 예방 및 개선 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기대하는 바이며 나아가 심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것으로 사료된다.
체중증가량의 경우도 동일하게 HHS군(2.75±0.13 g/3.22±0.11 g/day)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후속연구
식이섬유가 풍부한 식품을 섭취하게 되면 식품 속의 식이섬유와 담즙산이 결합하여 콜레스테롤의 배출을 도와 혈중 콜레스테롤의 농도를 낮춘다. 따라서 함초의 급여가 비만 흰쥐의 동맥경화지수와 심혈관위험지수를 낮추는 것으로 미루어 함초가 심혈관질환, 뇌질환등의 예방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간 조직의 비대화와 간의 상태를 반영하는 혈청 GPT의 농도는 비만 유도 후 6주간 고지방 식이를 급여한 HH, HHS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는데 이는 Park 등(25)의 연구에서 고지방식이에 의해 체내 및 간 조직 내에 지방 축적이 유도되었기 때문이라고 보고하였다. HHS군의 GPT 활성이 HH군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여 함초와 간 기능에 관한 추후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며 GOT에서는 NS군의 활성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비만군에서는 유의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Kim 등(4)의 보고에서 고콜레스테롤식이를 급여한 흰쥐의 GPT 활성은 정상군과 비교하여 고콜레스테롤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GOT 활성은 군간의 유의성이 없었다고 보고하여 본 실험과 일치하는 결과를 보였다.
인슐린의 농도도 동일한 경향을 보여 비만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함초의 급여에 따른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혈청 중 GPT의 활성은 고지방식이에서 다소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HHS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여 함초와 간 기능에 관한 추후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며 GOT 활성은 NS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비만군에서는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상의 실험결과 함초의 열수추출물은 비만유도 흰쥐에서 체중, 간, 지방조직의 무게 감소와 더불어 혈청의 지질성상의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실험결과 함초의 열수추출물은 비만유도 흰쥐에서 체중, 간, 지방조직의 무게 감소와 더불어 혈청의 지질성상의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함초에 함유된 다량의식이섬유소와 미네랄 등의 생리활성 물질이 지질대사를 개선시키고 지방 축적을 억제하여 비만, 고지혈증, 이상지혈증의 예방 및 개선 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기대하는 바이며 나아가 심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것으로 사료된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함초란?
우리나라의 서해안, 울릉도 등지에 분포하는 함초(Sali-cornia herbacea L., SH)는 명아주과의 한해살이풀로 바닷가에서 발견되는 바다 식물이다. 퉁퉁하고 마디마디 튀어나온 풀이라 하여 ‘퉁퉁마디’로 불리기도 한다.
함초의 이명은?
, SH)는 명아주과의 한해살이풀로 바닷가에서 발견되는 바다 식물이다. 퉁퉁하고 마디마디 튀어나온 풀이라 하여 ‘퉁퉁마디’로 불리기도 한다. 함초는 염분의농도가 높은 갯벌에서 생육하여 삼투압을 견디기 위해 식물체 내에 다량의 염분을 축적하고 있어 매우 즙이 많고 소금으로 가득하고 쓴맛이 난다(4-6).
함초의 효능은?
함초에는 50%의 높은 식이섬유가 함유되어 있어 미역이나 김 등의 다른 해조류에 비해 2배 이상 함유하고 있으며 Na, Ca, K 및 Mg 등의 천연미네랄, 필수아미노산 및 필수지방산이 풍부하여 예로부터신장병, 간염, 변비, 숙변 및 위장병 치료제로 널리 이용되어왔다(7,8). 최근 함초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어 항산화 효능, 당뇨 개선, 면역조절 및 항염증에 효과가 있음이 과학적으로 입증되고 있으며(7,9-13) 함초환, 분말뿐 아니라 함초 소금, 음료, 간장 등의 다양한 형태로 제품이 개발되고 있다.
참고문헌 (26)
Whitney EN, Rolfes SR. 2005. Understanding nutrition. 10th ed. Thomson Wadsworth, Belmont, CA, USA. p 264-280.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0. Korea Health Statistics 2010: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1).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Seoul, Korea.
Joo DS, Lee JK, Chol YS, Cho SY, Je YK, Chol JW. 2003. Effect of seatangle oligosaccharide drink on serum and hepatic lipids in rats fed a hyperlipidemic die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1364-1369.
Kim RK, Choi JH, Woo MH, Kim YH, Choi SW. 2008. Effects of enzymatic hydrolysates from hamcho (Salcornia herbacea L.) on blood glucose and serum lipid composition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70-176.
Chol JK. 2002. A edible Korean medicinal herbs. J Korean Soc for Plants People and Environment 5: 7-19.
Lee YN. 1998. Coloured medicinal plants of Korea. Kyohak Publishing, Seoul, Korea.
Rhee MH, Park HJ, Cho JY. 2009. Salicornia herbacea: botanical, chemical and pharmacological review of halophyte marsh plant. J Med Plants Res 3: 548-555.
Rhee MH, Park HJ, Cho JY. 2009. Salicornia herbacea: botanical, chemical and pharmacological review of halophyte marsh plant. J Med Plants Res 3: 548-555.
Ha BA, Lee SH, Kim HJ, Lee JY. 2006. The role of Salicornia herbacea in ovariectomy-induced oxidative stress. Circulation 106: 3143-3412.
Oh JH, Kim EO, Lee SK, Woo MH, Choi SW. 2007.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ethanol extract of Hamcho (Salicornia herbacea L.) cake prepared by enzymatic treatment. Food Sci Biotechnol 16: 90-98.
Oh JH, Kim EO, Lee SK, Woo MH, Choi SW. 2007.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ethanol extract of Hamcho (Salicornia herbacea L.) cake prepared by enzymatic treatment. Food Sci Biotechnol 16: 90-98.
Jang HS, Kim KR, Choi SW, Woo MH, Choi JH. 2007. Antioxidant and antithrombus activities of enzyme-treated Salicornia herbacea extracts. Ann Nutr Metab 51: 119-125.
Jo YC, Ahn JH, Chon SM, Lee KS, Bae TJ, Kang DS. 2002. Studies on pharmacological effects of glasswort (Salicornia herbacea L.). Korean J Med Crop Sci 10: 93-99.
Kim AR, Hwang YG, Lee JJ, Jung HO, Lee MY. 2011. Effects of Eriobotrya japonica Lindl (loquat) leaf ethanol extract on cholesterol and antioxidative activity in rats fed a high-fat/high-cholesterol diet.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673-681.
Park PJ, Kim CW, Cho SY, Rha CY, Seo DB, Lee SJ. 2010. Aqueous spray-dried green tea extract regulates body weight and epididymal fat accumulation in m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42: 103-108.
Lee JJ, Park MR, Kim AR, Lee MY. 2011. Effects of ramie leaves on improvement of lipid metabolism and anti-obesity effect in rats fed a high fat/high cholesterol diet. Korean J Food Sci Technol 43: 83-90.
Imano H, Noda H, Kitamura A, Sato S, Kiyama M, Sankai T, Ohira T, Nakamura M, Yamagishi K, Ikeda A, Shimamoto T, Iso H. 2011.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and risk of coronary heart disease among Japanese men and women: the circulatory risk in communities study (CIRCS). Prev Med 52: 381-386.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 2002. Third Report of the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 (NCEP) Expert Panel 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Cholesterol in Adults (Adult Treatment Panel III) final report. Circulation 106: 3143-3421.
Cha JY, Jeon BS, Park JW, Kim BK, Jeong CY, Ryu JS, Chol CK, Cho YS. 2004. Hypocholesterolemic effect of yogurt supplemented Salicornia herbacea extract in cholesterol-fed rats. J Life Sci 14: 747-751.
Ruhl CE, Everhart JE. 2001. Leptin concentrations in the United States: Relations with demographic and anthropometric measures. Am J Clin Nutr 74: 295-301.
Fors H, Matsuoka H, Bosaeus I, Rosberg S, Wikland KA, Bjarnason R. 1999. Serum leptin levels correlate with growth hormone secretion and body fat in children. J Clin Endocrinol Metab 84: 3586-3590.
Polito A, Fabbri A, Ferro-Luzzi A, Cuzzolaro M, Censi L, Ciarapica D, Fabbrini E, Giannini D. 2000. Basal metabolic rate in anorexia nervosa: relation to body composition and leptin concentrations. Am J Clin Nutr 71 : 1495-1502.
Reeves PG, Nielsen FH, Fahey GC Jr. 1993. AIN-93 purified diets for laboratory rodents: final report of the American Institute of Nutrition ad hoc writing committee on the reformulation of the AIN-76 rodent diet. J Nutr 123: 1939-1951.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