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함초 열수추출물의 섭취가 비만유도 흰쥐의 항비만 효과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Intake of Salicornia herbacea L. Hot Water Extract on Anti-obesity in Diet-induced Obese Rat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1 no.7, 2012년, pp.950 - 956  

이혜성 (한국식품연구원 대사기능연구본부) ,  최준혁 (계명대학교 식품가공학과) ,  김영언 (한국식품연구원 대사기능연구본부) ,  이창호 (한국식품연구원 대사기능연구본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함초 열수 추출물의 항비만 효과 및 지질대사 개선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5주령된 수컷 흰쥐 36마리를 1주일간 적응시킨 후 정상식이군(NF), 고지방식이(HF)를 6주간 급여하여 비만을 유도하였다. 다시 정상식이군(N), 정상식이+함초 0.5%군(NS), 비만유도 후 정상식이군(H), 비만유도 후 정상식이+함초 0.5%군(HS), 비만유도 후 고지방식이군(HH), 비만유도 후 고지방식이+함초 0.5%군(HHS) 6군으로 나누어 6주간 실험 식이를 급여하였다. 고지방식이로 인하여 대조군과 비교하여 체중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함초를 급여한 HHS군의 체중과 체중증가량이 대조군인 HH군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식이섭취량의 유의차는 없었으나 HHS군의 식이효율이 HH군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여 함초 급여 시 동량의 식이량을 섭취하였으나 체중의 증가량이 적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함초의 급여에 따른 간장의 무게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NS, HNS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HHS군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부고환지방의 무게는 비만 유도군에서 정상군과 비교하여 무게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함초를 급여한 NS, HHS군에서 무게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HHS군에서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신장주변지방의 무게 또한 동일한 경향으로 비만 유도된 군의 지방의 무게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HNS, HHS군의 지방무게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혈청중 지질의 농도는 함초를 급여한 군 모두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중성지방의 농도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총 콜레스테롤의 농도는 NS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비만군에서는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HDL-콜레스테롤의 농도는 HNS, HHS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LDL-콜레스테롤은 NS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비만군에서는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정상식이와 비교하여 비만유도군의 혈당이 증가된 것이 확인되었고 함초의 급여로 HNS군의 혈당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동맥경화지수는 HHS군이 대조군 HH군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심장위험 지수도 동일하게 HHS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혈청 중 렙틴의 농도는 NGOT 활성은 NS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비만군에서는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상의 실험결과 함초의 열수추출물은 비만유도 흰쥐에서 체중, 간, 지방조직의 무게 감소와 더불어 혈청의 지질성상의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함초에 함유된 다량의 식이섬유소와 미네랄 등의 생리활성 물질이 지질대사를 개선시키고 지방 축적을 억제하여 비만, 고지혈증, 이상지혈증의 예방 및 개선 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기대하는 바이며 나아가 심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함초 열수 추출물의 항비만 효과 및 지질대사개선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5주령된 수컷 흰쥐 36마리를 1주일간 적응시킨 후 정상식이군(NF), 고지방식이(HF)를 6주간 급여하여 비만을 유도하였다. 다시 정상식이군(N), 정상식이+함초 0.
  • 본 연구에서는 고지방 식이로 비만을 유도한 흰쥐의 식이에 0.5%의 함초 열수 추출물을 첨가하여 6주간 섭취시킨후 함초의 섭취가 비만 쥐의 혈중지질성상과 체중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2. All data are ex-pressed as means±SEM.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함초란? 우리나라의 서해안, 울릉도 등지에 분포하는 함초(Sali-cornia herbacea L., SH)는 명아주과의 한해살이풀로 바닷가에서 발견되는 바다 식물이다. 퉁퉁하고 마디마디 튀어나온 풀이라 하여 ‘퉁퉁마디’로 불리기도 한다.
함초의 이명은? , SH)는 명아주과의 한해살이풀로 바닷가에서 발견되는 바다 식물이다. 퉁퉁하고 마디마디 튀어나온 풀이라 하여 ‘퉁퉁마디’로 불리기도 한다. 함초는 염분의농도가 높은 갯벌에서 생육하여 삼투압을 견디기 위해 식물체 내에 다량의 염분을 축적하고 있어 매우 즙이 많고 소금으로 가득하고 쓴맛이 난다(4-6).
함초의 효능은? 함초에는 50%의 높은 식이섬유가 함유되어 있어 미역이나 김 등의 다른 해조류에 비해 2배 이상 함유하고 있으며 Na, Ca, K 및 Mg 등의 천연미네랄, 필수아미노산 및 필수지방산이 풍부하여 예로부터신장병, 간염, 변비, 숙변 및 위장병 치료제로 널리 이용되어왔다(7,8). 최근 함초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어 항산화 효능, 당뇨 개선, 면역조절 및 항염증에 효과가 있음이 과학적으로 입증되고 있으며(7,9-13) 함초환, 분말뿐 아니라 함초 소금, 음료, 간장 등의 다양한 형태로 제품이 개발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Whitney EN, Rolfes SR. 2005. Understanding nutrition. 10th ed. Thomson Wadsworth, Belmont, CA, USA. p 264-280. 

  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0. Korea Health Statistics 2010: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1).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Seoul, Korea. 

  3. Joo DS, Lee JK, Chol YS, Cho SY, Je YK, Chol JW. 2003. Effect of seatangle oligosaccharide drink on serum and hepatic lipids in rats fed a hyperlipidemic die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1364-1369. 

  4. Kim RK, Choi JH, Woo MH, Kim YH, Choi SW. 2008. Effects of enzymatic hydrolysates from hamcho (Salcornia herbacea L.) on blood glucose and serum lipid composition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70-176. 

  5. Chol JK. 2002. A edible Korean medicinal herbs. J Korean Soc for Plants People and Environment 5: 7-19. 

  6. Lee YN. 1998. Coloured medicinal plants of Korea. Kyohak Publishing, Seoul, Korea. 

  7. Rhee MH, Park HJ, Cho JY. 2009. Salicornia herbacea: botanical, chemical and pharmacological review of halophyte marsh plant. J Med Plants Res 3: 548-555. 

  8. Rhee MH, Park HJ, Cho JY. 2009. Salicornia herbacea: botanical, chemical and pharmacological review of halophyte marsh plant. J Med Plants Res 3: 548-555. 

  9. Ha BA, Lee SH, Kim HJ, Lee JY. 2006. The role of Salicornia herbacea in ovariectomy-induced oxidative stress. Circulation 106: 3143-3412. 

  10. Oh JH, Kim EO, Lee SK, Woo MH, Choi SW. 2007.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ethanol extract of Hamcho (Salicornia herbacea L.) cake prepared by enzymatic treatment. Food Sci Biotechnol 16: 90-98. 

  11. Oh JH, Kim EO, Lee SK, Woo MH, Choi SW. 2007.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ethanol extract of Hamcho (Salicornia herbacea L.) cake prepared by enzymatic treatment. Food Sci Biotechnol 16: 90-98. 

  12. Im SA, Kim GW, Lee CK. 2003. Immunomodulatory activity of Salicornia herbacea L. components. Korean J Nutr 40: 5-13. 

  13. Jang HS, Kim KR, Choi SW, Woo MH, Choi JH. 2007. Antioxidant and antithrombus activities of enzyme-treated Salicornia herbacea extracts. Ann Nutr Metab 51: 119-125. 

  14. Jo YC, Ahn JH, Chon SM, Lee KS, Bae TJ, Kang DS. 2002. Studies on pharmacological effects of glasswort (Salicornia herbacea L.). Korean J Med Crop Sci 10: 93-99. 

  15. Kim AR, Hwang YG, Lee JJ, Jung HO, Lee MY. 2011. Effects of Eriobotrya japonica Lindl (loquat) leaf ethanol extract on cholesterol and antioxidative activity in rats fed a high-fat/high-cholesterol diet.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673-681. 

  16. Park PJ, Kim CW, Cho SY, Rha CY, Seo DB, Lee SJ. 2010. Aqueous spray-dried green tea extract regulates body weight and epididymal fat accumulation in m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42: 103-108. 

  17. Lee JJ, Park MR, Kim AR, Lee MY. 2011. Effects of ramie leaves on improvement of lipid metabolism and anti-obesity effect in rats fed a high fat/high cholesterol diet. Korean J Food Sci Technol 43: 83-90. 

  18. Imano H, Noda H, Kitamura A, Sato S, Kiyama M, Sankai T, Ohira T, Nakamura M, Yamagishi K, Ikeda A, Shimamoto T, Iso H. 2011.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and risk of coronary heart disease among Japanese men and women: the circulatory risk in communities study (CIRCS). Prev Med 52: 381-386. 

  19.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 2002. Third Report of the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 (NCEP) Expert Panel 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Cholesterol in Adults (Adult Treatment Panel III) final report. Circulation 106: 3143-3421. 

  20. Cha JY, Jeon BS, Park JW, Kim BK, Jeong CY, Ryu JS, Chol CK, Cho YS. 2004. Hypocholesterolemic effect of yogurt supplemented Salicornia herbacea extract in cholesterol-fed rats. J Life Sci 14: 747-751. 

  21. Ruhl CE, Everhart JE. 2001. Leptin concentrations in the United States: Relations with demographic and anthropometric measures. Am J Clin Nutr 74: 295-301. 

  22. Fors H, Matsuoka H, Bosaeus I, Rosberg S, Wikland KA, Bjarnason R. 1999. Serum leptin levels correlate with growth hormone secretion and body fat in children. J Clin Endocrinol Metab 84: 3586-3590. 

  23. Polito A, Fabbri A, Ferro-Luzzi A, Cuzzolaro M, Censi L, Ciarapica D, Fabbrini E, Giannini D. 2000. Basal metabolic rate in anorexia nervosa: relation to body composition and leptin concentrations. Am J Clin Nutr 71 : 1495-1502. 

  24. Sievenpiper JL, Jenkins DJ, Josse RG, Leiter LA, Vuksan V. 2001. Simple skinfold-thickness measurements complement conventional anthropometric assessments in predicting glucose tolerance. Am J Clin Nutr 73: 567-573. 

  25. Sievenpiper JL, Jenkins DJ, Josse RG, Leiter LA, Vuksan V. 2001. Simple skinfold-thickness measurements complement conventional anthropometric assessments in predicting glucose tolerance. Am J Clin Nutr 73: 567-573. 

  26. Reeves PG, Nielsen FH, Fahey GC Jr. 1993. AIN-93 purified diets for laboratory rodents: final report of the American Institute of Nutrition ad hoc writing committee on the reformulation of the AIN-76 rodent diet. J Nutr 123: 1939-195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