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기표현욕구와 개인정보노출우려가 자기노출의도에 미치는 영향 : 트위터를 중심으로
Effects of Self-Presentation and Privacy Concern on an Individual's Self-Disclosure : An Empirical Study on Twitter 원문보기

經營 科學 = Korean management science review, v.29 no.2, 2012년, pp.1 - 20  

이새봄 (경희대학교 경영대학) ,  판류 (경희대학교 경영대학) ,  이상철 (그리스도대학교 경영학부) ,  서영호 (경희대학교 경영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hile feeling anxious about the risk of exposure of personal information and privacy, users of microblogs and social network services are continuously using them.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model to investigate this phenomenon. Specifically, this study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ch...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트위터의 기본 보안정책은 무엇인가? 트위터의 개방형 네트워크라는 장점은 개인정보 노출이라는 보안 이슈를 가져오게 하였다. 트위터의 기본 보안정책은 ‘모든 메시지가 대중에게 공개’로 되어있다. 따라서 트위터에 올린 정보들은 자신이 원하지 않아도 다른 사람에게 노출될 수 있다는 위험이 있다.
개인정보노출우려와 자기표현욕구라는 개인의 성향 중에서 어떠한 요인이 트위터의 자기노출의도에 더 큰 영향을 주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 한 결과는? 트위터 가입자를 중심으로 조사한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개인정보노출우려가 강한 사람일수록 자기노출의도가 낮게 나타날 것이라는 가설 1은 기각되었다. 기존 연구들에서는 프라이버시 염려가 개인정보노출의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13, 55], 이재신, 연보영[13]의 연구에 따르면, 프라이버시에 대한 염려가 증가할수록 이용자들이 개인화된 미디어 서비스를 사용하지 않게 될 수 도 있다는 것이라고 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개인정보노출우려가 자기노출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나타났다. 이는 프라이버시에 대한 염려에 의해서 자기노출시 제공되는 정보의 종류가 영향을 받는다는 Hollyman[41]의 연구처럼 자신이 노출하고자 하는 정보를 이용자들이 의도적으로 구분하여 노출할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그 다음으로 개인정보노출우려는 지각된 위험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개인정보노출우려가 자기노출의도에는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매개변수인 지각된 위험을 통해 간접적으로 자기노출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의 염려 수준이 높을수록 그에 대한 위험 인식이 높아진다는 Trumbo[74]의 연구처럼 본 연구에서도 개인정보노출우려 수준이 높을수록 지각된 위험이 높게 나타난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이는, 앞서 가설 1이 기각된 것처럼 개인정보노출우려 성향이 강한 트위터 이용자들은 행위의도에 직접적인 영향보다는 개인정보와 관련된 손실에 대한 높은 가능성을 인지한 후에야 자기노출의도에 영향이 미친다는 것을 파악하였다. 개인정보노출우려가 높은 성향일수록 트위터에서의 정보들이 개인의 생각이나 의견, 사진, 일상생활 등의 정보를 가지고 있어 이러한 정보들을 통해사생활 노출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위험이 있기 때문에 트위터에 대한 지각된 위험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이용자들이 자기노출을 하는데 있어 자신의 정보를 공개하지 않는 이유를 이해하는데 해석될 수 있다. 개인정보노출우려가 자기노출의도에 미치는 결정적 요인은 아니지만 자기노출을 회피하는 요인은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왜냐하면 개인정보노출우려가 직접적으로는 아니지만 지각된 위험을 거쳐 간접적으로 자기노출의도에 영향을 주고 있기 때문이다. 개인정보노출우려가 자기노출의도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과는 다르게 자기표현욕구는 자기노출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기표현욕구는 지각된 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트위터를 자기 표현의 도구로써 그리고 오락적인 요소로써 사용하고자 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또한, 자기노출을 통해 자신의 표현욕구의 심리적 만족을 추구하고자 하는 의도가 강하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곧 트위터가 자기표현의 장으로서 기능을 충분히 수행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트위터란 어떤 뜻을 나타내는가? 트위터는 ‘가볍게 재잘거리는 것’이라는 뜻을 나타내고 140자 이내의 단문 메시지를 사람들과 공유한다. 트위터는 개방형 사회적 네트워크로 즉시성, 뛰어난 파급력, 신속한 메시지 전달, 실시간 정보네트워크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국내에서만 400만명 이상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1)

  1. 고 준, 신선진, 김희웅,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자기표현욕구의 영향요인과 디지털 아이템 구매의도에 미치는 효과", 경영정보학연구, 제18권, 제1호(2008), pp.118-144. 

  2. 글렌카로, 남수현, 강신철, 송희석, "Effects of Privacy Concern o Trust and Intention to Incremental Usage of Social Networking Systems", 디지털정책연구, 제6권, 제4호(2008), pp.123-135. 

  3. 김교헌, 한덕웅, "자기노출의 목표, 자발성 및 분노억제경향이 생리적 각성, 정화 및 평가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건강, 제1권 제1호(1996), pp.66-88. 

  4. 김연정, "한국형 블로그 이용자의 가치체계에 관한 연구", 광고연구, 제68권(2005), pp.9-35. 

  5. 김유정, "웹 개인미디어에서의 사이버 자기표현", 한국언론학보, 제52권, 제6호(2008), pp. 78-99. 

  6. 메디컬투데이, "네티즌 54% SNS 이용시 개인정보노출우려", 2010. 

  7. 사람인, "SNS 사용자 54%, 불안감 느껴", 2010. 

  8. 손영란, 박은아, "자기노출 및 대인관계성향에 따른 인터넷 커뮤니티 활동의 차이", 미디어, 젠더와 문화, 제15권(2010), pp.157-284 

  9. 신지영, 양희동, "온라인 커뮤니티기반 블로그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프라이버시 정보의 유형과 조절변수 연구, 경영학연구, 제35권, 제1호(2006), pp.81-108. 

  10. 오이코랩 트위터통계 사이트(2011), http://twitter.com/oikolab. 

  11. 이두희, 임승희, "블로그 이용자의 자발적 자기 정보공개의 동기요인과 결과요인에 관한 연구", 광고학연구, 제17권, 제5호(2006), pp.227-240. 

  12. 이은미, 박현희, 전중옥, "인터넷 쇼핑몰의 이용자 특성이 상호작용성, 신뢰,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마케팅논집, 제17권, 제3호(2009), pp.83-110. 

  13. 이재신, 연보영, "미니홈페에서 나타나는 대학생들의 자기노출 및 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제52권, 제3호 (2008), pp.99-121. 

  14. 최혁라, 신정신, "온라인 거래에서 프라이버시 염려의 선행요인과 프라이버시 염려, 신뢰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정보시스템연구, 제16권 제3호(2007), pp.21-44. 

  15. 한국인터넷진흥원, "2010년 인터넷 이용실태 조사", 2010. 

  16. Ajzen, I.,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Organ, Behavior Human Decision Processes, Vol.50(1991), pp.179-211. 

  17. Archer, R.L., Role of personality and social situation. In G.J. Chelune(Ed.), Jossey-Bass, San Francisco, 1979. 

  18. Bagozzi, R.P. and Y. Yi, "On the Evaluation of Structural Equation Models,"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Vol.16, No.2(1988), pp.74-94. 

  19. Bauer, R.A., "Consumer Behavior as Risk Taking," 43rd Conference of American Marketing Association, Chicago, (1960), pp.389-398. 

  20. Bauer, H.H., M. Grether, and M. Leach, "Building customer relations over the internet," Industrial Marketing Management, Vol.31 (2002), pp.155-163. 

  21. Boyd, D.M. and N.B. Ellison, "Social network sites:Definition, History, and Scholarship," Journal of Computer Mediated Communication, Vol.13, No.1(2007), pp.210-230. 

  22. Brendan, M., J. Tam, P.G. Kelley, and L.F. Cranor, "RT@IWantPrivacy:Widespread Violation of Privacy Settings in the Twitter Social Network," In Web 2.0 Privacy and Security Workshop, IEEE Symposium on Security and Privacy, 2010. 

  23. Chang, L.K. and S. Kwon, "A cognitive mapdriven avatar design recommendation DSS and its empirical validity," Decision Support Systems, Vol.45, No.3(2008), pp.461-472. 

  24. Chellappa, R.K. and R. Sin, "Personalization Versus Privacy:An Empirical Examination of the Online Consumer's Dilemma," Information Technology and Management, Vol.6, No.2(2005), pp.181-202. 

  25. Cheung, C. and M.K.O. Lee, "Trust in internet shopping:a proposed model and measurement instrument," Proceedings of the 6th Americas Conference on Information Systems, (2000), pp.681-689. 

  26. Chiu, C.M., M.H. Hsu, and E.T.G. Wang, "Understanding knowledge sharing in virtual communities:an integration of social capital and social cognitive theories," Decision Support Systems, Vol.42, No.3(2006), pp.1872-1888. 

  27. Cozby, P.C., "Self-disclosure:A literature review," Psychological Bulletin, Vol.79(1973), pp.73-91. 

  28. Culnan, M.J., "How Did They Get My Name? An Exploratory Investigation of Consumer Attitudes toward Secondary Information Use," MIS Quarterly, Vol.17, No.3(1993), pp.341-364. 

  29. Davis, F.D., R.P. Bagozzi, and P.R. Warshaw, "User Acceptance of Computer Technology :A Comparison of Two Theoretical Models," Management Science, Vol.35, No.8(1989), pp. 982-1003. 

  30. Dinev, T. and P. Hart, "An Extended Privacy Calculus Model for E-Commerce Transactions,"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Vol. 17, No.1(2006), pp.61-80. 

  31. Dorminick, J.R., "Who Do You Think You Are? Personal Home Pages and Self-Presentation on the World Wide Web," Journalism and Mass Communication Quarterly, Vol.76, No.4(1999), pp.646-658. 

  32. Donthu, N. and A. Garcia, "The Internet shopper,"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Vol.39, No.3(1999), pp.52-68. 

  33. Dowling, G.R., "The Effectiveness of Advertising Explicit Warranties," Journal of Public policy and Marketing, Vol.4(1985), pp.142-152. 

  34. Dowlin, G.R. and R. Staelin, "A Model of Perceived Risk and Intended Risk-Handling Activity,"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21, No.1(1994), pp.119-134. 

  35. Eastlick, M.A., S.L. Lotz, and P. Warrington, "Understanding Online B-to-C Relationships :An Integrated Model of Privacy Concerns, Trust, and Commitment,"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Vol.59(2006), pp.877-886. 

  36. Fishbein, M. and I. Ajzen, Belief, Attitude, Intention and Behavior: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Research, Addison-Wesley, Reading, MA, 1975. 

  37. Gefen, D., E. Karahanna, and D.W. Straub, "Trust and TAM in Online Shopping:An Integrated Model," MIS Quarterly, Vol.27, No.1(2003), pp.51-90. 

  38. Goffman, E., The Presentation of Self in Everyday Life, Doubleday, New York, 1959. 

  39. Grazioli, S. and S.L. Jarvenpaa, "Perils of Internet Fraud:An Empirical Investigation of Deception and Trust with Experienced Internet Consumers," IEEE Transactions on Systems, Man, and Cybernetics, Part A:Systems Humans, Vol.30, No.4(2000), pp.395-410. 

  40. Harris, L., Associates, and A.F. Westin, Harris-Equifax Consumer Privacy Survey, Equifax, Inc., Atlanta, GA. 1991. 

  41. Hollyman, F.M., The effect of personal control and instrumental value on the experience of invasion of privac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Purdue University, 1977. 

  42. Jansen, B.J., M. Zhang, K. Sobel, and A. Chowdury, "Twitter power:Tweets as electronic word of mouth,"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Vol.60, No.11(2009), pp.2169-2188. 

  43. Java, A., X. Song, T. Finin, and B. Tseng, Why we twitter:understanding microblogging usage and communities, Proceeding of the 9th WebKDD and 1st SNA-KDD 2007 workshop on Web mining and social network analysis, (2007), pp.56-65. 

  44. Java, A., X. Song, T. Finin, and B. Tseng, "Why we twitter:An analysis of a microblogging community," Advances in Web Mining and Web Usage Analysis, Vol.54, No.39 (2009), pp.118-138. 

  45. Jarvenpaa, S.L., N. Tractinsky, and M. Vitale, "Consumer Trust in an Internet Store," Information Technology and Management, Vol.1, No.12(2000), pp.45-71. 

  46. Jourard, S.M. and P. Lasakow, "Some factors in self-disclosure," Journal of Abnormal and Psychology, Vol.10(1958), pp.91-98. 

  47. Jourard, S.M., Self-disclosure:An experimental analysis of the transparent self, Wiley, New York, 1971. 

  48. Kim, H.S. and D.K. Sherman, "Express Yourself: culture and the effect of self-expression on choic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92, No.1(2007), pp.1-11. 

  49. Krishnamurthy, B. and C.E. Wills, "Characterizing privacy in online social networks," Proceedings of the first workshop on Online social networks, (2008), pp.37-42. 

  50. Leary, M.R. and R.M. Kowalski, "Impression Management:A Literature Review and Two-Component Model," Psychological Bulletin, Vol.107, No.1(1990), pp.34-47. 

  51. Leary, M.R., Self-Presentation:Impression Management and Interpersonal Behavior, Westview Press, Boulder, 1995. 

  52. Lee, H., G. Phillipa, and K. Balachander, "How much is too much? Privacy issues on Twitter," Conference of International Communication Association, Singapore, 2010. 

  53. Liu, C., J.T. Marchewka, J. Lu, C.S. Yu, "Beyond concern-a privacy-trust-behavioral intention model of electronic commerce," Information and Management, Vol.42(2005), pp.289-304. 

  54. Macneil, I.R., The new social contract:An inquiry into modern contractual relations, New Haven, CT:Yale University Press, 1980. 

  55. Malhotra, N.K., S.S. Kim, and J. Agarwal, "Internet users' information Privacy Concerns (IUIPC):The Construct, The Scale, and a Causal Model,"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Vol.15, No.4(2004), pp.336-355. 

  56. Metzger, M.J., "Privacy, Trust, and Disclosure: Exploring Barriers to Electronic Commerce," Journal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Vol.9, No.4(2004). 

  57. McKenna, K.Y.A. and J.A. Bargh, "Coming out in the age of the Internet:identity demarginalization through virtual group particip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75, No.68(1998), pp.1-94. 

  58. McKnight, D.H., L.L. Cummings, N.L. Chervany, "Initial trust formation in new organizational relationships,"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23, No.3(1998), pp.472-490. 

  59. Milne, G.R. and M.-E. Boza, "Trust and Concern in Consumers' Perceptions of Marketing Information Management Practices," Journal of Interactive Marketing, Vol.13, No.1(1999), pp.5-24. 

  60. Mitchell, V.W., F. Davies, L. Moutinho, and V. Vassos, "Using neural networks to understand service risk in the holiday product,"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Vol.46 (1999), pp.167-80. 

  61. Nardi, B.A., D.J. Schiano, M. Gumbrecht, and L. Swartz, "Why we blog," Commun. ACM, Vol.47, No.12(2004), pp.41-46. 

  62. Park, S.-B. and N. Chung, "Mediating roles of self-presentation desire in online game community commitment and trust behavior of Massive Multiplayer Online Role-Playing Game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27, No.6(2011), pp.2372-2379. 

  63. Pavlou, P.A., "Consumer Acceptance of Electronic Commerce:Integrating Trust and Risk with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International Journal of Electronic Commerce, Vol.7, No.3(2003), pp.101-134. 

  64. Pedersen, P.E. and H. Nysveen, "Usefulness and Self-Expressiveness:Extending TAM to Explain the Adoption of a Mobile Parking Service," 16th Bled eCommerce Conference e-Transformation, Bled, Slovenia, 2003. 

  65. Posey, C., P.B Lowry, T.L. Roberts, and T.S. Ellis, "Proposing the online community self-disclosure model:the case of working professionals in France and the U.K. who use online communities," European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Vol.19(2010), pp.181-195. 

  66. Rice, R.E. and G. Love, "Electronic Emotion," Communication Research, Vol.14, No.1(1987), pp.85-108. 

  67. Schoenbachler, D.D. and G.L. Gordon, "Trust and Customer Willingness to Provide Information in Database-Driven Relationship Marketing," Journal of Interactive Marketing, Vol.16, No.3(2002), pp.2-16. 

  68. Sheehan, K.B. and M.G. Hoy, "Dimensions of Privacy Concern Among Online Consumers," Journal of Public Policy and Marketing, Vol.19, No.1(2000), pp.62-73. 

  69. Slyke, C.V., J.T. Shim, R. Johnson, and J. Jiang, "Concern for Information Privacy and Online Consumer Purchasing," Journal of the Association for Information Systems, Vol.7, No.6(2006), pp.415-444. 

  70. Smith, H.J., S.J. Milberg, and S.J. Burke, "Information Privacy:Measuring Indiiduals' Concerns about Organizational Practices," MIS Quarterly, Vol.20, No.2(1996), pp.167- 196. 

  71. Stern, S.R., "Virtually speaking:Girls' Self- Disclosure on the WWW," Women's Studies in Communication, Vol.25(2002), pp.223-253. 

  72. Stewart, KJ., "Transference as a means of building trust in world wide web sites," Proceeding of the 20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formation Systems, (1999), pp.459-464. 

  73. Stewart, K.J. and H. Segars, "An empirical examination of the concern for information privacy instrument,"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Vol.13, No.1(2002), pp.36-49. 

  74. Trumbo, C.W., "Heuristic-systematic information processing and risk judgment," Risk Analysis, Vol.19, No.3(1999), pp.391-400. 

  75. Venkatesh, V. and F.D. Davis, "A Model of the Antecedents of Perceived Ease of Use: Development and Test," Decision Sciences, Vol.27, No3(1996), pp.451-481. 

  76. Venkatesh, V. and F.D. Davis, "A theoretical extension of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four longitudinal field studies," Management Science, Vol.46(2000), pp.186-204. 

  77. Wallace, P. The psychology of the internet, Cambridge Univ. Press, 1999. 

  78. Walther, J.B. and J.K. Burgoon, "Relational Communication in Computer-Mediated Interaction,"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Vol.19, No.1(1992), pp.52-88. 

  79. Westin, A., Privacy and Freedom, Atheneum, New York, 1967. 

  80. Xu, H., H.H. Teo, and B.C.Y. Tan, "Predicting the Adoption of Location-Based Services: The Roles of Trust and Privacy Risk," in Proceedings of 26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formation Systems, D. Avison, D.F. Galletta, and J.I. DeGross (eds.), Las Vegas, NV, (2005), pp.897-910. 

  81. Yehoshua, L. and S. Shmuel, "Perceived risks as barriers to internet and e-commerce usage," Qualitative Market Research:An International Journal, Vol.5(2002), pp.291-30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