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비만치료 및 체중 감량에서 방풍통성산과 방기황기탕 사용에 대한 임상 권고안
Clinical practice recommendations for Bangpungtongseong-san (Bofutsusho-san) and Bangkihwangki-tang(Boiogito) in obesity 원문보기

한방비만학회지 = Journal of Korean Medicine for Obesity Research, v.12 no.1, 2012년, pp.48 - 58  

박정현 (강남경희한방병원 체형관리센터) ,  김호준 (동국대학교 한의과 대학 한방재활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se prescribing recommendations have been written to guide clinicians on the appropriate use of Bangpungtongseong-san(BT) and Bangkihwangki-tang(BH) in the treatment of obesity. These recommendation are aimed at providing evidence based information concerning diagnosis and management o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방풍통성산 및 방기황기탕과 관련된 원문과 국내외 자료의 근거중심을 바탕으로 하여 비만 진료에서 참고가 될 수 있는 권고안을 작성하여, 치료의 효율을 높이고 안전성을 확립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본고는 비만치료에서 방풍통성산과 방기황기탕 사용에 대한 임상 진료 권고안을 개발하여, 효과적인 치료를 장려하는 한편 발생 가능한 부작용을 최소화하여 진료의 일관성을 높이기 위해 작성되었다. 비만과 관련되어 각 한약 처방을 사용한 임상 연구를 분석하였고, 한약의 적용 대상과 치료효과, 부작용 및 안전성을 검토하여 치료의 근거로 삼았다.
  • 이에 본고는 근거 중심을 바탕으로 방풍통성산과 방기황기탕의 임상 진료 권고안을 소개하여 비만 진료시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의학에서는 무엇을 토대로 변증하여 개별적인 치료를 하는가? 한약의 비만 치료효과를 밝히기 위한 연구가 다방면으로 이루어졌으며, 최근에는 과학적 타당성을 얻기 위한 대규모 임상 연구들도 진행 중이다1). 한의학에서는 비만의 원인과 증상을 토대로 변증하여 개별적인 치료를 하는데, 한의사 개별의 편차로 인해 진단의 객관화가 어렵고 치료에 질적인 영향을 줄 수 있어2), 과학적인 진단 방법과 근거 중심적인 진료지침이 필요하다.
임상 진료지침이란 무엇인가? 임상 진료지침은 ‘특정한 상황에서 임상의사와 환자의 의사결정을 돕기 위해 체계적으로 개발된 진술’로 정의할 수 있는데, 이는 진료의 질적인 수준을 유지하고 의사의 진료와 과학적 근거의 간격을 줄이는데 효과적인 도구로 간주 된다3).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진료의 표준으로서 역할을 하는 임상진료지침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어 각 임상 학회 단위별로 진료지침을 개발하고 있다.
경구로 한약을 복용한 임상 연구의 종류에는 무엇이 있는가? 검색된 자료 중 비만 치료와 관련되어 비만한 사람을 대상으로 경구로 한약을 복용한 임상 연구로 선정하였으며, 비만 치료 외의 다른 목적으로 사용한 시험은 제외하였다. 메타 분석(meta-analysis), 체계적 분석(systematic review), 무작위 배정 임상시험(randomized controlled trial), 환자-대조군 연구(case-control study), 관찰 연구(observational study), 진료 지침(practice guideline) 등을 대상으로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Hasani-Ranjbar S, Nayebi N, Larijani B, Abdollahi M. A systematic review of the efficacy and safety of herbal medicines used in the treatment of obesity. World Journal of Gastroenterology. 2009;15(25):3073-85. 

  2. 강경원, 문진석, 강병갑, 김보영, 신미숙, 최선미. 한방비만변증 설문지를 바탕으로 증상 척도에 따른 변증 진단 비교. 대한한방비만학회지. 2009; 9(1):37-44. 

  3. 안형식. 임상진료지침의 개념과 활성화 방안. 대한소화기학회지. 2007;49(4):105-18. 

  4. 김호준, 한창호, 이의주, 송윤경, 신병철, 김윤경. 비만치료 및 체중감량에서의 적절한 마황사용에 대한 임상 진료지침 개발. 대한한방비만학회지. 2007; 7(2):27-37. 

  5. 박정현, 이명종, 김호준. 방풍통성산 관련 연구 분석.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2011;21(2):189-202. 

  6. Takahama M. Efficacy of Boi-ogi-to in the treatment of rheumatoid arthritis. Nihon Toyo Igaku Zasshi. 1995;45(3):569-74. 

  7. Noguchi J, Shudo T, Nagata K. Efficacy of Boi-ogito for ethical use for osteoarthritis of the knee with joint fluid. Seikei Saigai Geka. 2004;47:999-1005. 

  8. Shimada T, Akase T, Kosugi M, Aburada M. Preventive effect of Boiogito on metabolic disorders in the TSOD Mouse, a model of spontaneous obese Type II diabetes mellitus. Evid Based Complement Alternat Med. 2009;1-8. 

  9. Harbour RT, Forsyth L, Scottish Intercollegiate Guidelines Network, editors. SIGN 50: a guideline developer's handbook. Scotland: Scottish Intercollegiate Guidelines Network. 2008;57. 

  10. Sackett DL. Evidence-based Medicine: How to Practice and Teach EBM. 2nd ed. New York: Churchill Livingstone. 2000. 

  11. 허준. 동의보감. 서울:남산당. 1983;207-39, 285-6, 352-75, 556-9, 1717. 

  12. Kampo Co. Available from: URL: http://www.tsumura.co.jp/english/.../pi/JPR_T062.pdf 

  13. 劉河間. 宣明論方. 券十 문연각서고전서 중의학 대계. 서울:여강출판사. 1988;768. 

  14. 張仲景. 金櫃要略方論. 서울:성보사. 1985;21,35,70. 

  15. 식약청 Available from: URL: http://ezdrug.kfda.go.kr 

  16. 최은미, 류은경. 비만 환자에 대한 방풍통성산의 치료효과. 대한한방비만학회지. 2001;1(1):1-11. 

  17. 배정환, 정석희, 이종수, 김성수, 신현대. 비만 환자에 있어 양해(방풍통성산)의 유용성 평가를 위한 임상시험.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2002;13(1):37-46. 

  18. 신대희, 조국현, 이혁, 문미경, 강대길, 윤용갑, 박도심, 정선관, 이호섭. 방풍통성산이 비만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임상적 연구.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2008;16(2):133-44. 

  19. 이지은, 송윤경, 임형호. 비만환자에 대한 방풍 통성산의 무작위배정, 이중맹검, 위약-대조군 임상시험. 대한한방비만학회지. 2010;10(1):1-16. 

  20. 박정현, 이명종, 김호준, 홍선우, 이동기, 유재욱, 최선미, 문진석, 임지연, 이정복. 비만환자에 서 한방 비만 변증에 따른 방풍통성산과 방기황 기탕의 치료 효과 및 부작용 비교.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2011;21(2):265-78. 

  21. Itoh T, Senda S, Inoue H, Saitoh Y, Kagami M, Matsubara F, Aoyagi H. The Effect of Bofutsushosan on weight reduction in human. Japanese Journal of Oriental Medicine 2005; 56(6);933-9. 

  22. Akiyama T, Yoshikawa H, Tanaka H. Efficacy of Bofutsushosan for a patient worrying about obesity with gene mutation ${\beta}$ -adrenergic receptors. Digestion and Absorption. 1998;21(2):159-62. 

  23. Hioki C, Yoshimoto K, Yoshida T. Efficacy of Bofutsusho-san, an oriental herbal medicine, in obese Japanese women with impaired glucose tolerance. Clinical Experimental Pharmacological Physiology. 2004;31(9):614-9. 

  24. Hioki C, Yoshimoto K, Yoshida T. Traditional medicine Bofutsusho-san, improves hyperinsulinemia in obese subjects. Journal of Chinese Medicine. 2008;3(6):312-6. 

  25. 吉田麻美. 防己黃?湯對肥滿型糖尿病的效果. 日本東洋醫學雜誌. 1998;49:249-56. 

  26. 문진석, 강병갑, 류은경, 최선미. 한의사와 환자의 설문을 통한 비만 변증지표 연구. 대한한방비만학회지. 2007;7(1)55-69. 

  27. 박정현. 방풍통성산과 방기황기탕의 비만 변증 및 유전자다형성에 따른 치료 효과. 동국대학교논문집. 2011. 

  28. 이기훈, 장규태. 방풍통성산으로 치료한 소아 건선 3례.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2009;23(3):207-16. 

  29. 윤길영. 동의임상방제학. 서울:명보출판사. 1992; 52-4. 

  30. 이종대. 빈용 101 처방. 서울:정담출판사. 2004;978. 

  31. WHO Western Pacific Region,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Obesity, International Obesity Task Force. The Asia-Pacific perspective: Redefining obesity and its treatment. 2002;15-21. 

  32. Plodkowski RA, St Jeor ST. Medical nutrition therapy for the treatment of obesity. Endocrinol Metab Clin North Am. 2003;32:935-69. 

  33. Hensrud DD. Pharmacotherapy for obesity. Med Clin North Am. 2000;84:463-76. 

  34. 유순집. 비만의 약물치료. 대한내분비학회지. 2008; 23(4):223-3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