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뮬레이터와 표준화 환자를 이용한 간호 시뮬레이션 교육의 이론적 기틀 개발
Development of a Conceptual Framework for Nursing Simulation Education Utilizing Human Patient Simulators and Standardized Patients 원문보기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18 no.2, 2012년, pp.206 - 219  

서은영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서울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Incorporating simulation modalities into nursing education is known to be effective in enhancing education outcomes. Standardizing the nomenclature of simulation modalities and developing a comprehensive conceptual framework for guiding the development of simulation modules are mandated giv...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최근 다양한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실습 교육 효과에 대한 논문이 증가하고 있음을 감안할 때,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간호실습 교육의 총체적 방향과 근거를 제시할 수 있는 이론적 틀의 개발은 시급한 실정이다. 또한 문헌에서 시뮬레이션의 방법과 사용하는 기기의 종류가 혼용되어 혼란을 초래하는 바, 본 고에서는 시뮬레이션 교육에 혼재되어 사용하는 용어를 정리하고 문헌고찰을 통해 간호학내에서의 시뮬레이션 교육에 관한 현주소를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이에 덧붙여 시뮬레이션 교육에 이용된 이론적 틀을 분석하여 간호학 실습교육에 적합한 입체적 실습 교육의 이론적 틀을 개발하고자 한다.
  • 또한 문헌에서 시뮬레이션의 방법과 사용하는 기기의 종류가 혼용되어 혼란을 초래하는 바, 본 고에서는 시뮬레이션 교육에 혼재되어 사용하는 용어를 정리하고 문헌고찰을 통해 간호학내에서의 시뮬레이션 교육에 관한 현주소를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이에 덧붙여 시뮬레이션 교육에 이용된 이론적 틀을 분석하여 간호학 실습교육에 적합한 입체적 실습 교육의 이론적 틀을 개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간호 시뮬레이션 교육의 효과를 측정한 연구와 관련 이론을 문헌고찰하고, 간호 시뮬레이션 이론 틀을 개발한 종설이다.
  • 본 종설은 국내에서 시뮬레이션의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한 연구 논문들을 분석하고 문헌 고찰을 바탕으로 하여 간호 시뮬레이션 교육에 적합한 이론적 기틀을 개발하는 것에 있다. 구체적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어떻게 하면 시뮬레이션을 수단이 목적이 되지 않게 효과적으로 간호 실습 교육에 적용할 것인가는 어떠한 이론적 기틀을 바탕으로 하여 교수자의 간호 철학을 구현하는 가에 있다. 본고에서는 현재까지 간호학 실습 교육에서의 시뮬레이션의 현주소를 파악하고 효과적으로 시뮬레이션 모듈을 개발할 수 있도록 하는 ‘3D Simulation Framework’을 개발하여 모듈 개발 전략을 제시하였다. 본 ‘3D Simulation Framework’을 기초로 하여 여러 학교에서 학교의 특성을 십분 살린 간호 실습 교과과정이 개발되어 여러 학교 간에 모듈을 공유하게 된다면 ‘3D Simulation Framework’의 좌표를 채울 수 있는 다양한 모듈을 학생들에게 제공하여 궁극적으로 학생들의 실습 교육의 내실화를 기대할 수 있게 될 것이다.
  • , 2001; Wilford & Doyle, 2006). 위의 사례에서 학생으로 하여금 호흡이 가쁘고 고열이 나는 환아와 불안한 감정을 표현하는 환아의 엄마를 함께 간호할 수 있는 통합적 간호 역량을 키우도록 시뮬레이션 상황을 구현하고 학생들을 평가하는 것이다. 요약하건대 ‘3D Simulation Framework’은 교수자가 학생 실습 교육에 시뮬레이션을 적용하려고 할 때, 시뮬레이션 하는 상황의 범위와 난이도, 학생 역량 평가의 단계를 사전에 좌표화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용한 개념 틀이라 할 수 있겠다.
  • 저자의 시뮬레이션 교육 경험과 문헌 고찰을 근거로 하여 시뮬레이션 시나리오 내용과 모듈의 난이도, 대상자 역량 평가에 유용한 이론적 틀을 제안하고자 한다. 간호 시뮬레이션 교육에서 이론적 틀이 필요한 이유는 첫째, 무엇을 시뮬레이션 할 것인가, 즉 대상(object)을 명확하게 하기 위함이다.
  • 한 예로 상기도 감염으로 내원한 아동에게 필요한 호흡기계 사정, 환자 과거력 사정, 사용하는 항생제의 종류와 부작용, 투약 방법에 대한 ‘지식’이 있는가를 평가할 수 있는 시나리오 상황을 연출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성능 시뮬레이터나 표준화 환자를 이용한 임상 수행 평가를 미국의 의학 및 간호학 문헌에서는 무엇과 혼용되어 쓰이는가? 고성능 시뮬레이터나 표준화 환자를 이용한 임상 수행 평가(OSCE 또는 CPX)는 학생들의 실습 역량을 평가하는 방법 (performance-based assessment)의 하나로, 다양한 시뮬레이션 상황을 각 스테이션에 재연하고 학생들이 정해진 시간 안에 스테이션을 돌며 사정 기술, 진단, 처치 정도를 평가 받는 실습 평가 방법이다. 전문간호사의 단독 진료가 가능한 미국의 의학 및 간호학 문헌에서는 OSCE와 CPX가 혼용되어 쓰이나 (Baez, 2005), 국내에서는 OSCE를 간단한 수기 평가를 위한‘임상술기시험’으로, CPX는 의학과 학생들의 ‘임상진료 수행 시험’으로 설명하기도 한다(김종임 등, 2010). 시험 시나리오의 숫자나 복잡성은 각 전공과 상황에 따라 다양하지만, 대략 20개미만의 스테이션이 마련되고 각 스테이션 당 10분에서 45분이 배정된다(Baez, 2005; Bertsch, Callas, Rubin, Caputo, & Ricci, 2007; Smee, 2003).
시뮬레이션이란? 시뮬레이션이란 “실제와 유사한 가상의 현실을 구조적으로 재연하여 대상자로 하여금 생생하게 가상의 현실을 경험하게 하는 기술”이라고 정의하며(Gaba, 2004), 재연에 사용되는 대상에 따라 동물 모형, 인간 사체(cadaver) 실습, 표준화 환자 (standardized patients) 실습, 마네킹 모형 실습, 인체 환자 모형(Human Patient Simulator: HPS) 시뮬레이션, 컴퓨터 시뮬레이션, 비디오 시뮬레이션 등이 있다(Lane, Slavin, & Ziv, 2001; Maran & Glavin, 2003; Ziv, Wolpe, Small, & Glick, 2003). 간호학 실습 교육에 도입하여 사용하고 있는 시뮬레이션 도구로는 단순한 수기술을 익히는데 쓰이는 마네킹 모형으로부터 복잡한 시나리오 재연이 가능한 고성능(high-fidelity) 인체 환자 모형(HPS)까지 다양하며, 그 복잡성의 수준에 따라세 단계로 분류할 수 있다(Maran & Glavin, 2003; Yaeger et al.
재연에 사용되는 대상에 따라 시뮬레이션은 어떻게 나누어 지는가? 시뮬레이션이란 “실제와 유사한 가상의 현실을 구조적으로 재연하여 대상자로 하여금 생생하게 가상의 현실을 경험하게 하는 기술”이라고 정의하며(Gaba, 2004), 재연에 사용되는 대상에 따라 동물 모형, 인간 사체(cadaver) 실습, 표준화 환자 (standardized patients) 실습, 마네킹 모형 실습, 인체 환자 모형(Human Patient Simulator: HPS) 시뮬레이션, 컴퓨터 시뮬레이션, 비디오 시뮬레이션 등이 있다(Lane, Slavin, & Ziv, 2001; Maran & Glavin, 2003; Ziv, Wolpe, Small, & Glick, 2003). 간호학 실습 교육에 도입하여 사용하고 있는 시뮬레이션 도구로는 단순한 수기술을 익히는데 쓰이는 마네킹 모형으로부터 복잡한 시나리오 재연이 가능한 고성능(high-fidelity) 인체 환자 모형(HPS)까지 다양하며, 그 복잡성의 수준에 따라세 단계로 분류할 수 있다(Maran & Glavin, 2003; Yaeger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8)

  1. 강기선, 송영아, 최은영 (2009). 구조화된 객관적 임상시험을 이용한 간호대학생들의 실무능력평가.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5(2), 175-182. 

  2. 고일선, 김희순, 김인숙, 김소선, 오의금, 김은정 등 (2010). SimMan 시뮬레이션 학습 시나리오의 개발 및 학습 수행 평가. 기본간호학회지, 17(3), 371-381. 

  3. 김윤희, 김윤민, 강서영 (2010). $MicroSim^{(R)}$ 을 병용한 시뮬레이션기반 중환자간호교육의 운영 및 평가.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6(1), 24-32. 

  4. 김윤희, 장금성 (2011). 시뮬레이션기반 심폐응급간호교육이 신규간호사의 지식, 임상수행능력 및 문제해결과정에 미치는 효과. 대한간호학회지, 41(2), 245-255. 

  5. 김종임, 김경희, 백훈정, 송경애, 엄미란, 오세영 등 (2010). 기본간호학 실습교육현황과 실기 능력 평가방법에 관한 조사. 기본간호학회지, 17(3), 362-370. 

  6. 김해란, 최은영, 강희영, 김성민 (2011). 시뮬레이션기반 응급 간호교육을 받은 간호학생의 학업성취도와 자기효능감, 학습태도 및 수업만족도의 관계.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7(1), 5-13. 

  7. 백지윤 (2006). 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사의 전문심장소생술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연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원주.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 T10511149 

  8. 석소현, 강현숙, 김원옥, 현경선, 이지아, 박선희 (2009).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임상수행능력 평가방법 개발 및 적용효과: 복부수술 후 환자간호. 성인간호학회지, 21(5), 468-476. 

  9. 성가연 (2008). 표준화환자를 활용한 인슐린 피하주사 실습교육의 효과. 을지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대전.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1317347 

  10. 양진주 (2008). 간호학생을 위한 시뮬레이션 기반교육과정 개발 및 평가. 성인간호학회지, 20(4), 548-560. 

  11. 엄미란, 김현숙, 김은경, 성가연 (2010). 표준화환자를 활용한 실습교육이 피하주사 간호수행능력,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및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 대한간호학회지, 40(2), 151-160. 

  12. 유문숙, 유일영 (2001). 표준화 환자를 이용한 학습이 임상수 기술, 의사소통능력, 학습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편마비 환자 사례를 중심으로 간호학 탐구, 10(1), 89-109. 

  13. 유문숙, 유일영 (2003). 호흡기계 기본간호 수행능력 향상을 위한 OSCE 평가 방법의 효과. 대한간호학회지, 33(2), 228-235. 

  14. 유문숙, 유일영, 손연정 (2002). 표준화 환자 학습방법이 유치 도뇨술, 의사소통능력,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 기본간호학회지, 9(1), 66-75. 

  15. 유문숙, 유일영, 손연정 (2003). OSCE 평가방법이 기본 간호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고열 대상자를 중심으로. 한국간호교육학회지, 9(1), 73-80. 

  16. 이명선, 한숙원 (2011).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실습교육이 간호 학생의 간호수행능력과 문제해결 과정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7(2), 226-234. 

  17. 이성은 (2011).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모성간호학 실습 학습 방법 효과 분석.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7(1), 14-24. 

  18. 이숙정, 노영숙, 김주옥, 장기인, 류언나, 박영미 (2010). 호흡 곤란환자 간호의 실습교육평가에서 Multi-mode와 $SimMan_{(R)}$ 시뮬레이션 활용 비교.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6(1), 51-60. 

  19. 이여진, 임난영, 이은희, 한혜자, 김주현, 손행미 등 (2007). 표준화 환자를 이용한 관절질환 간호사정 실습교육의 평가. 근관절건강학회지, 14(2), 137-148. 

  20. 이우숙, 김미옥 (2011). 산과 간호 영역에서의 시뮬레이션 실습 교육의 효과 및 적절성. 대한간호학회지, 41(4), 433-443. 

  21. 이우숙, 조갑출, 양선희, 노영숙, 이규영 (2009). 시뮬레이션 연계 문제중심학습이 간호학생의 간호기본역량에 미치는 효과. 기본간호학회지, 16(1), 64-72. 

  22. 이주희, 김소선, 여기선, 조수진, 김현례 (2009). 일 대학 간호 대학생의 시뮬레이션 교육 경험 분석.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5(2), 183-193. 

  23. 이주희, 최모나 (2011). 시뮬레이션을 적용한 임상추론 교과목의 적용효과: 일 대학의 예를 중심으로. 성인간호학회지, 23(1), 1-9. 

  24. 장선주, 권은옥, 권영옥, 권희경 (2010). 시뮬레이션 교육이 중환자실 신규간호사의 응급상황 관련 지식과 자기효능감 및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성인간호학호지, 22(4), 375-383. 

  25. 정명숙 (2008). 신규간호사의 OSCE 결과와 자기효능감, 실무능력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1278575 

  26. 정승은, 이순희 (2010). 간호대학생의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교육 경험. 질적연구, 11(1), 50-59. 

  27. 한미현 (2008). 학생에 의한 OSCE 모듈 개발 활동의 교육적 효과. 기본간호학회지, 15(1), 14-21. 

  28. 함영림 (2009). 환자 시뮬레이터 (High-fidelity patient simulator) 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연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서울.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1935761 

  29. 현경선, 정연희 (2010).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간호학생의 당뇨식이교육 수행능력과 자기효능, 의사소통, 학습만족도 및 간호전문직관의 상관관계. 성인간호학회지, 22(2), 221-228. 

  30. Baez, A. (2005). Development of an objective structured clinical examination (OSCE) for practicing substance abuse intervention competencies: An application in social work education. Journal of Social Work Practice in the Addictions, 5(3), 3-20. 

  31. Bambini, D., Washburn, J., & Perkins, R. (2009). Outcomes of clinical simulation for novice nursing students: Communication, confidence, clinical judgment. Nursing Education Perspectives, 30(2), 79-82. 

  32. Benner, P. (1984). From Novice to Expert: Excellence and Power in Clinical Nursing Practice. Menlo Park, CA: Sddison-Wesley Publishing Co., Nursing Division. 

  33. Bertsch, T. F., Callas, P. W., Rubin, A., Caputo, M. P., & Ricci, M. A. (2007). Applied research: Effectiveness of lectures attended via interactive video conferencing versus in-person in preparing third-year internal medicine clerkship students for clinical practice examinations (cpx). Teaching & Learning in Medicine, 19(1), 4-8. 

  34. Bosek, M. S., Li, S., & Hicks, F. D. (2007). Working with standardized patients: A primer.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Scholarship, 4, 1-14. 

  35. Bradley, P. (2006). The history of simulation in medical education and possible future directions. Medical Education, 40, 254-262. 

  36. Cannon-Diehl, M. R. (2009). Simulation in healthcare and nursing: State of the science. Critical Care Nursing Quarterly, 32(2), 128-136. 

  37. Childs, J. C., & Sepples, S. (2006). Clinical teaching by simulation: Lessons learned from a complex patient care scenario. Nursing Education Perspectives, 27(3), 154-158. 

  38. Connecticut Nursing History Vignettes. (2004). Nursing Councils' News: A Publication for the Hartford Hospital Community, 6, 1-4. 

  39. Dillard, N., Sideras, S., Ryan, M., Carlton, K. H., Lasater, K., & Siktberg, L. (2009). A collaborative project to apply and evaluate the clinical judgment model through simulation. Nursing Education Perspectives, 30(2), 99-104. 

  40. Elfrink, V. L., Nininger, J., Rohig, L., & Lee, J. (2009). The case for group planning in human patient simulation. Nursing Education Perspectives, 30(2), 83-86. 

  41. Fawcett, J. (2005). Contemporary Nursing Knowledge: Analysis and Evaluation of Nursing Models and Theories (2nd ed.). Philadelphia, PA: F.A. Davis. 

  42. Gaba, D. (2004). A brief history of mannequin-based simulation & application. In W. F. Dunn (Ed.), Simulators in Critical Care and Beyond (pp. 7-14). Des Plaines, IL: Society of Critical Care Medicine. 

  43. Hassett, J. M., Zinnerstrom, K., Nawotniak, R., Schimpfhauser, F., & Dayton, M. T. (2006). Utilizatoin of standardized patients to evaluate clinical and interpersonal skills of surgical residents. Surgery, 140(4), 633-638. 

  44. Henrichs, B., Rule, A., Grady, M., & Ellis, W. (2002). Nurse anesthesia students' perceptions of the anesthesia patient simulator: A qualitative study. AANA Journal, 70(3), 219-225. 

  45. Jay, A. (2007). Students' perceptions of the OSCE: A valid assessment tool? British Journal of Midwifery, 15(1), 32-37. 

  46. Kiat, T. K., Mei, T. Y., Nagammal, S., & Jonnie, A. D. A. (2007). A review of learners' experience with simulation based training in nursing. Singapore Nursing Journal, 34(4), 37-43. 

  47. Kolb, D. (1984). Experiential Learning: Experience as the Source of Learning and Development.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48. Lane, J. L., Slavin, S., & Ziv, A. (2001). Simulation in medical education: A review. Simulation & Gaming, 32(3), 297-314. 

  49. Larew, C., Lessans, S., Spunt, D., Foster, D., & Covington, B. G. (2006). Innovations in clinical simulation: Application of Benner's theory in an interactive patients care simulation. Nursing Education Perspectives, 27(1), 16-21. 

  50. Lasater, K. (2007). High-fidelity simulation and the development of clinical judgment: Students' experiences.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46(6), 269-276. 

  51. Lasater, K., & Nielsen, A. (2009). Reflective journaling for clinical judgment development.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48(1), 40-44. 

  52. Maran, N. J., & Glavin, R. J. (2003). Low- to high-fidelity simulation - A continuum of medical education? Medical Education, 37(Suppl.1), 22-28. 

  53. Miller, G. E. (1990). The assessment of clinical sklls/competence/ performance. Academic Medicine, 65, 563-567. 

  54. Nagle, B. M., McHale, J. M., Alexander, G. A., & French, B. M. (2009). Incorporating scenario-based simulation into a hospital nursing education program. Journal of Continuing Education in Nursing, 40(1), 18-27. 

  55. Rodgers, D. L. (2007). High-fidelity patient simulation: A descriptive white paper report Retrieved June 10, 2010, from http://sim-strategies.com/downloads/Simulation%20White%20Paper2.pdf 

  56. Rogers, E. M. (2003). Diffusion of innovations (5th ed.). New York: Free Press. 

  57. Rosenzweig, M., Hravnak, M., Magdic, K., Beach, M., Clifton, M., & Arnold, R. (2008). Patient communication simulation laboratory for students in an acute care nurse practitioner program. American Journal of Critical Care, 17(4), 364-372. 

  58. Schiavenato, M. (2009). Reevaluating simulation in nursing education: beyond the human patient simulator.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48(7), 388-394. 

  59. Smee, S. (2003). Skill based assessment. British Medical Journal, 326, 703-706. 

  60. Starkweather, A. R., & Kardong-Edgren, S. (2008). Diffusion of innovation: Embedding simulation into nursing curricula.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Scholarship, 5(1), 1-11. 

  61. Tanner, C. A. (2006). Thinking like a nurse: A research-based model of clinical judgment in nursing.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45(6), 204-211. 

  62. Vessey, J. A., & Huss, K. (2002). Using standardized patients in advanced practice nursing education. Journal of Professional Nursing, 18(1), 29-35. 

  63. Waldner, M. H., & Olson, J. K. (2007). Taking the patient to the classroom: applying theoretical frameworks to simulation in nursing educ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Scholarship (Vol. 4, pp. 1-14). 

  64. Ward, H., & Barratt, J. (2005). Assessment of nurse practitioner advanced clinical practice skills: Using the objective structured clinical examination (OSCE). Primary Health Care, 15(10), 37-41. 

  65. Wass, V., Van der Vleuten, C., Shatzer, J., & Jones, R. (2001). Assessment of clinical competence. The Lancet, 357, 945-949. 

  66. Wilford, A., & Doyle, T. J. (2006). Product focus: Integrating simulation training into the nursing curriculum. British Journal of Nursing (BJN), 15(17), 926. 

  67. Yaeger, K. A., Halamek, L. P., Coyle, M., Murphy, A., Anderson, J., Boyle, K., . . . Smith, B. (2004). High-fidelity simulation-based training in neonatal nursing. Advances in Neonatal Care, 4(6), 326-331. 

  68. Ziv, A., Wolpe, P. R., Small, S. D., & Glick, S. (2003). Simulation-based medical education: An ethical imperative. Academic Medicine, 78(8), 783-78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