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학교육 내용표준 개발
Developmental Study of Science Education Content Standards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2 no.4, 2012년, pp.729 - 750  

박현주 (조선대학교) ,  김영민 (부산대학교) ,  노석구 (경인교육대학교) ,  정진수 (대구대학교) ,  이은아 (서울대학교) ,  유은정 (신사중학교) ,  이동욱 (서울대학교) ,  박종원 (전남대학교) ,  백윤수 (연세대학교)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교육 내용표준을 개발하여 과학 교육과정 및 교과서 개발, 그리고 과학수업의 실질적인 영향 및 방향 설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자료 제공이다. 3학년에서 9학년까지의 과정 동안, 자연 과학 분야에서 학생들이 무엇을 알아야 하고, 무엇을 이해해야 하며, 무엇을 할 수 있는지를 제시하였다. 문헌 및 선행 연구, 설문조사 및 심층 면담 등을 통하여 과학교육 내용표준의 기본틀과 하위 요소를 설정하였다. 과학교육 내용표준은 상황, 구성요소, 성취의 세 부분으로 구분된다. 상황은 학생들에게 있어서 과학이 언제, 어디서, 어떻게 필요한가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구성요소는 학생들이 학교 과학교육을 통해서 배워야 하는 과학의 본성, 과학적 창의성, 과학적 탐구, 핵심내용지식 등으로 이루어진다. 성취는 과학교육을 통해 도달하고자 하는 것을 의미한다. 과학교육 내용표준은 특정 교육과정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학교와 지역, 국가 수준에서 어떤 특정한 활동이 과학교육의 이상에 도움이 되는가를 판단하는 준거를 제공하는 것이다. 즉 과학교육 내용표준은 학년군별로 과학교육의 성취 수준을 제시하여 주고, 과학교육 및 교육 목표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한, 그리고 교육과정의 설계나 교과서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science education content standards, to guide in developing k-12 national science curriculum, and to provide guidance for local districts and schools to effectively apply the national science curriculum to their school curriculum. We suggest ideas for science...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연구에서 구분한 과학교육 내용표준의 세 부분은 무엇인가? 문헌 및 선행 연구, 설문조사 및 심층 면담 등을 통하여 과학교육 내용표준의 기본틀과 하위 요소를 설정하였다. 과학교육 내용표준은 상황, 구성요소, 성취의 세 부분으로 구분된다. 상황은 학생들에게 있어서 과학이 언제, 어디서, 어떻게 필요한가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본 연구의 과학교육 내용 표준에서 상황이란 어떤 것을 말하는가? 과학교육 내용표준은 상황, 구성요소, 성취의 세 부분으로 구분된다. 상황은 학생들에게 있어서 과학이 언제, 어디서, 어떻게 필요한가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구성요소는 학생들이 학교 과학교육을 통해서 배워야 하는 과학의 본성, 과학적 창의성, 과학적 탐구, 핵심내용지식 등으로 이루어진다.
참여 동기의 수준에 따라 학습자의 성취 수준은‘수동적 수용’ 과‘능동적 수용’으로 표현될 수 있는데, 각각을 설명하시오. 이러한 참여 동기의 수준에 따라 학습자의 성취 수준은‘수동적 수용’ 과‘능동적 수용’으로 표현될 수 있다.‘ 수동적 수용’ 수준에서 학습자는 상황 속에서 학습된 과제를 기억 하고 수행할 수 있다. 주어진 과제를 수행하기 위하여 지식을 암기하고 단순히 기억된 지식을 인출하여 재생하고 실행할 수 있는 단계를 말한다. 인출이란 자신의 기억에서 지식을 활성화하고 전이하는 것이다 (Marzano, 2001). 블룸의 분류에서의‘지식’단계와 유사하지만 블룸의 분류가 인출의 결과물인‘지식’에 주목한데 반해‘수동적 수용’은 지식의 인출 과정을 의미한다.‘ 능동적 수용’수준에서 학습자는 상황 속에서 학습된 과제를 종합적으로 이해하여 행할 수 있다. 주어진 과제를 수행하기 위하여 능동적으로 과제에 참여하여 과제의 수준과 목표에 맞게 다양한 정보를 종합하여 이해할 수 있다. 또한 표상을 통하여 지식의 상징화를 시키고 반대로 상징화된 기호나 그래 프로부터 지식을 얻어내기도 한다. 블룸의 분류에서 의‘이해’단계와 유사하지만‘능동적 수용’은 학습자의 참여에 주목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0)

  1. 교육과학기술부(2009). 2009 개정 교육과정: 초.중등 교육과정 총론.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2. 권재술(1991). 학문 중심 과학교육의 문제점과 생활 소재의 과학 교재화 방안.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1(1). 117-126. 

  3. 노태희, 노석구, 유준희, 오필석(2010). 현행 과학 교육과정의 실행 실태와 문제점 및 차기 교육과정 개정의 방향 제안. 

  4. 류성철(2004). 생활 속 경험과 생활 주변의 소재를 이용한 물리 교육. 물리학과 첨단기술, 13(4), 21-25. 

  5. 박동섭(2009) 상황학습론에 기초한 학습전이론의 비판적 고찰: 무시된 상황과 행위자의 능동성의 복원, 초등교육연구 제22권 제1호, 459-489. 

  6. 박정은, 유은정, 이선경, 김찬종(2009). 논증구조 교육을 통한 고등학교 학생들의 과학 글쓰기 분석: 과학 글쓰기 장르에 따른 글쓰기 과제를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8), 824-847. 

  7. 박종원(2011). 과학적 창의성의 이해와 지도. 새물리, 61, 947-961. 

  8. 송숙희(2008). 성공하는 사람들의 7가지 관찰 습관. 서울: 위즈덤하우스 

  9. 송희성, 문광순, 박승재, 이규석, 유준희, 정선양, 정완호, 한효순(2005). 초.중.고등학교 과학교과 교육과정 개선 방안, 한국과학기술한림원 보고서. 

  10. 심재호, 신명경, 박선화(2009). 학교 교육 경쟁력 강화를 위한 교육과정 실행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09-4-2. 

  11.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06). 국어과 교육과정개정시안 수정.보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보고서. 위탁과제답신보고. 

  12.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10).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선진화 방안 연구 연구보고 ORM2010-27. 

  13. AAAS(1993). Benchmarks for science literacy. Project 2061. OUP: New York. (http://www.project2061.org/publications/bsl/online/bolintro.htm) 

  14. Abd-El-Khalick, F., & Lederman, N. G.(2000). The influence of history of science courses on students' views of nature of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7(10), 1057-1095. 

  15. Ajzen, I.(1985) From intentions to actions: A theory of planned behavior. Heidelberg, Germany: Springer. 

  16. Brown, J., Collins, A., & Duiguid, P.(1989). Situated cognition and the culture of learning. Educational Researcher, 18, 32-42. 

  17. Cavemi, J. P., Fabre, J. M., & Gonzalez, M.(1990). Cognitive biases: their contribution for understanding human cognitive processes. In G. E. Stelmach, & P. A. Vroon(eds.), Advances in psychology 68, Elselvier Science Publishing Company. INC. 

  18. CMEC(1997). Common framework of science learning outcomes. Toronto: CMEC Secretariat. 

  19. Driver, R., Leach, J., Millar, R., & Scott, P.(1996). Young people's image of science. Buckingham: Open University Press. 

  20. Freudenthal, H.(1991). Revising mathematics education: China Lectures. Kluwer Academic Publishers. 

  21. Gardner, H.(1983). Frames of mind: The 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 New York: Basic Books. 

  22. Greeno, J. G., & The Middle School Mathematics Through Application Project Group(1998). The situativity of knowing, learning, and research. American Psychologist, 53(1), 5-26. 

  23. Hodson, D.(1998). Is this really what scientist do? Seeking a more authentic science in and beyond the school laboratory. In J. J. Wellington (Ed.), Practical Work in School Science (pp.93-108). NY: Routledge. 

  24. Lester, F.(2007). Second handbook of research on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Information Age Publishing Inc. 

  25. Marzano, R. J.(2001) Designing a new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by Robert J. Marzano, Corwin Press 

  26. Matthews, M. R.(1998). In defense of modest goals when teaching about the nature of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5(2), 161-174. 

  27. Mechling, K. R., & Oliver, D. L.(1983). Activities, not textbooks: What research says about science programs. Principal, 62(4), 41-43. 

  28. NCTM(2000). Principles &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29. Nicholls, J. G.(1972). Creativity in the person who will never produce anything original and useful: the concept of creativity as a normally distributed trait, American Psychologist, 27, 717-727. 

  30. NLNAC(2002). Curriculum development and evaluation. Hamilton: NLNAC 

  31. Noller, R. B., Parens, S. J., & Biondi, A. M.(1976). Creative action book. NY: Scribner's. 

  32. NRC(1996).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Washington: National Academy Press. 

  33. NRC(2011). A framework for k-12 science education: practices, cross cutting concepts, and core ideas. National Academics Press (http://www.nap.edu/catalog.php?record_id13165) 

  34. NSTA(2004). NSTA position statement: Scientific Inquiry (http://www.nsta.org/about/positions/e-learning.aspx) 

  35. Osborn, A.(1963). Applied imagination: Principles and procedures of creative thinking. NY: Scribner's. 

  36. Parens, S. J., Noller, R. B., & Biondi, A. M.(1977). Guide to creative action. NYC: Charles Scribner's Sons. 

  37. Park, Jongwon (2012). Developing the format and samples of teaching materials for scientific creativity in the ordinary science curriculum -including teachers' practice and reflec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2(3), 446-466. 

  38. Richards, R.(2007). Everyday creativity in encyclopedia of creativity, Edited by M. A. Runco & S. R. Pritzker (pp. 683-688). London: Academic Press. 

  39. Richards, R., Kinney, D. K., Bennet, M., & Merzel, A. P. C.(1988). Assessing everyday creativity: Characteristics of the lifetime creativity scales and validation with three large sampl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4, 476-485. 

  40. Rogoff, B., Goodman Turkanis, D., & Bartlett, L.(2001). Learning together: children and adults in a school. Community.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41. Rose, L. H., & Lin, H. T.(1984). The meta-analysis of long-term creativity training programs.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18, 11-22. 

  42. Roth, W. M., Hwang, S., Gourlart, M. I. M., & Lee, Y. J.(2005). Participation, learning and identity: Dialectical perspectives. Berlin: Lehmann. 

  43. Ruth, W.(1992). Teaching for transfer of learning.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352-469. 

  44. Sternberg, R. J.(1977) Intelligence, information processing and analogical reasoning: The componential analysis of human abilities.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45. Sund, R., & Trowbridge, L.(1973). Teaching science by inquiry in the secondary school, Columbus, OH: Merrill 

  46. Torrance, E. P.(1987). Teaching for creativity, In S. G. Isaksen (Ed.), Frontiers of creativity research (pp. 190-215). Buffalo, NY: Bearly Press. 

  47. Van den Brink, F. J.(1989). Realistisch rekenonderwijsaan Jonge Kinderen. OW & OC, no. 10, Universiteit Utrecht. 

  48. Weisberg, R. W.(2006). Creativity: Understanding Innovation in Problem Solving, Science, Invention, and the Arts. NJ: John Wiley & Sons, Inc. 

  49. Whitelegg, E., & Parry, M.(1999). Real-life contexts for learning physics: meaning, issues and practice. Physics Education, 34(2), 68-72. 

  50. Wilson, A. L.(1993). The promise of situated cognition. New Directions for Adult and Continuing Education. 57. 71-7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