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한국형 공유 의료적 의사 결정 측정도구 개발 및 평가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Shared Medical Decision-Making Scale for End-of-Life Patients in Korea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2 no.4, 2012년, pp.453 - 465  

조계화 (대구가톨릭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study was done to develop a shared decision-making scale for end-of-life patients in Korea. Methods: The process included construction of a conceptual framework, generation of initial items, verification of content validity, selection of secondary items, preliminary study, and extracti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말기환자를 위한 한국형 공유 의료적 의사 결정 측정 도구를 개발하고 이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조사하는 방법론적 연구(Methodological Research)이다.
  • , 2005). 본 연구에서는 말기 환자의 의료적 의사 결정 상황에서 환자의 가치관과 자율성, 가족의 의견, 의사, 간호사의 의무와 역할을 바탕으로 치료선택과 결정방식을공유하는포괄적이며임상적인개념을말한다.
  • 한국의 문화적 속성은 사람들의 이념, 가치, 심리, 정서, 모든 측면에서 집단주의와 개인주의를 혼합한 형태로 개인은 가족의 이익과 가족의 목표를 중요시 하며, 가족과 자신을 동일시하는 경향이 있다(Song, 2001). 본 연구에서는 말기의 의료적 의사 결정 상황에서 환자의 개인적 성향보다는 가족관계 속에서 개인의 역할이 규정되는개념을말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말기환자를 위한 한국형 공유 의료적 의사 결정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개발된 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평가하는것으로구체적인목적은다음과같다.
  • 따라서 국내·외적으로 공유 의료적 의사 결정의 포괄적 개념과 영향요인, 죽음의 과정과 결과를 평가하는 기준 설정은 미개발 분야로 남아 있어 본 연구의 필요성을 뒷받침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한국의 사회문화적 배경에서 말기환자를 위한한국형공유의료적의사결정측정도구를개발하고자하였다.
  • 5년이었고, 의사 집단은 응급실과 내과병동 근무자 4명이 참석하였다. 전문가 심층 토론회에서는 효율적인 의료적 의사 결정과 관련된 다양한 질문과 이에 대한 토론이 이루어졌다. 질문과 토의는 현재 우리나라 의료적 의사 결정의 현황과 발전적 방향을 모색하는데 중점을 두었으며, 의료적 의사 결정의 현황과 임상상황의 문제점을 세분화 하여 전문직 영역의 역할과 의사 소통 체계, 그리고 병원의 시스템 측면에서의 문제점들을 규명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Briggs, L., & Colvin, E. (2002). The nurse's role in end-of-life decision-making for patients and families. Geriatric Nursing, 23, 302-310. http://dx.doi.org/10.1067/mgn.2002.130271 

  2. Byun, E. K., Choi, H. R., Choi, A. L., Kim, N. M., Hong, K. H., & Kim, H. S. (2003). An investigative research on the attitudes of intensive care unit nurses and families on terminating life support. Clinical Nursing Research, 9(1), 112-124. 

  3. Costello, J. (2001). Nursing older dying patients: Findings from an ethnographic study of death and dying in elderly care ward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35, 59-68. http://dx.doi.org/10.1046/j.1365-2648. 2001.01822.x 

  4. Elwyn, G., Hutchings, H., Edwards, A., Rapport, F., Wensing, M., Cheung, W., et al. (2005). The OPTION scale: Measuring the extent that clinicians involve patients in decision-making tasks. Health Expectations, 8, 34-42. http://dx.doi.org/10.1111/j.1369-7625.2004.00311.x 

  5. Frank, R. K. (2009). Shared decision making and its role in end of life care. British Journal of Nursing, 18, 612-618. 

  6. Hilden, H., & Honkasalo, M. (2006). Finnish nurses' interpretations of patient autonomy in the context of end-of-life decision making. Nursing Ethics, 13, 41-51. http://dx.doi.org/10.1191/0969733006ne856oa 

  7. Hilden, H., Louhiala, P., Honkasalo, M., & Palo, J. (2004). Finnish nurses' views on end-of-life discussions and a comparison with physicians' views. Nursing Ethics, 11, 165-178. http://dx.doi.org/10.1191/096 9733004ne681oa 

  8. Holcomb, L. E., Neimeyer, R. A., & Moore, M. K. (1993). Personal meanings of death: A content analysis of free-response narratives. Death Studies, 17, 299-318. http://dx.doi.org/10.1080/07481189308252627 

  9. Jo, K. H. (2010). Nurse's conflict experience toward end-of-life medical decision-making.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22, 488-498. 

  10. Jo, K. H. (2011).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dignified dying scale for Korean adul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1, 313-324. http://dx.doi.org/10.4040/jkan.2011.41.3.313. 

  11. Jo, K. H., An, G. J., & Kim, G. M. (2011). Future changes and directions for the construction of Medical Decision-Making System in Korea: Focused on delphi surveys. Korean Journal of Medical Ethics, 14, 44-54. 

  12. Johnston, B., & Smith, L. N. (2006). Nurses' and patients' perceptions of expert palliative nursing car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54, 700-709. http://dx.doi.org/10.1111/j.1365-2648.2006.03857.x 

  13. Kriston, L., Scholl, I., Holzel, L., Simon, D., Loh, A., & Harter, M. (2010). The 9-item shared decision making questionnaire (SDM-Q-9).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properties in a primary care sample. Patient Education and Counseling, 80, 94-99. http://dx.doi.org/10.1016/j.pec.2009.09.034 

  14. Lee, S. M., Kim, S. Y., & Lee, H. S. (2009). The process of medical decisionmaking for cancer patients. Korean Journal of Medical Ethics, 12, 1-14. 

  15. Lynn, M. R. (1986). Determination and quantification of content validity. Nursing Research, 35, 382-385. 

  16. Meraviglia, M. G., McGuire, C., & Chesley, D. A. (2003). Nurses' needs for education on cancer and end-of-life care. Journal of Continuing Education in Nursing, 34, 122-127. 

  17. Nordgen, L., & Olsson, H. (2004). Palliative care in a coronary care unit: A qualitative study of physicians' and nurses' perceptions.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3, 185-193. http://dx.doi.org/10.1111/j.1365-2702. 2004.00816.x 

  18. Norton, S. A., & Talerico, K. A. (2000). Facilitating end of life decision making strategies for communicating and assessing. Journal of Gerontological Nursing, 26, 6-13. 

  19. Ryu, C. S. (2006). SPSS 14.0 for windows (5th ed.). Seoul: Elite. 

  20. Scherer, Y., Jezewski, M. A., Graves, B., Wu, Y. B., & Bu, X. (2006). Advanced directives and end-of-life decision making: Survey of critical care nurses' knowledge, attitudes and experience. Critical Care Nurse, 26(6), 30-40. 

  21. Simon, D., Schorr, G., Wirtz, M., Vodermaier, A., Caspari, C., Neuner, B., et al. (2006). Development and first validation of the shared decisionmaking questionnaire (SDM-Q). Patient Education and Counseling, 63, 319-327. http://dx.doi.org/10.1016/j.pec.2006.04.012 

  22. Song, S. J. (2001). Characteristics of Korean family and family therapy. Korean Journal of Family Therapy, 9, 1-20. 

  23. Stacey, D., Legare, F., Pouliot, S., Kryworuchko, J., & Dunn, S. (2010). Shared decision making models to inform an interprofessional perspective on decision making: A theory analysis. Patient Education and Counseling, 80, 164-172. http://dx.doi.org/10.1016/j.pec.2009.10.015 

  24. Stacey, D., Murray, M. A., Legare, F., Sandy, D., Menard, P., & O'Connor, A. (2008). Decision coaching to support shared decision making: A framework, evidence, and implications for nursing practice, education, and policy. Worldviews on Evidence-Based Nursing, 5, 25-35. http://dx.doi.org/10.1111/j.1741-6787.2007.00108.x 

  25. Suh, W. S., & Lee, C. (2010). Impact of shared-decision making on patient satisfactio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43, 26-34. http://dx.doi.org/10.3961/jpmph.2010.43.1.26 

  26. Weissman, D. E. (2004). Decision making at a time of crisis near the end of life. Journal of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92, 1738-1743. http://dx.doi.org/10.1001/jama.292.14.1738 

  27. Willard, C., & Luker, K. (2006). Challenges to end of life care in the acute hospital setting. Palliative Medicine, 20, 611-615. http://dx.doi.org/10.1177/0269216306071064 

  28. Winter, L., & Parks, S. M. (2008). Family discord and proxy decision makers' end-of-life treatment decisions. Journal of Palliative Medicine, 11, 1109-1114. http://dx.doi.org/10.1089/jpm.2008.003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