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친환경건축물인증제도2010과 LEED2009에서의 에너지평가방법에 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Evaluation Methods of Energy of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Criteria 2010 and LEED 2009 원문보기

生態環境建築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cological Architecture and Environment, v.12 no.6, 2012년, pp.39 - 47  

현은미 (건국대학교 대학원) ,  김용식 (건국대학교 건축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the green building and energy connection system are establishing. But, National certification system for environment-Friendly Buildings is indicated hangup about energy efficiency of building. Commissioning, energy conservation, renewable energy, carbon dioxide emissions, it is determin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은 건축물의 효율적인 에너지관리를 위한 설계기준 등에 관한 사항을 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3)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의 에너 지성능지표검토서(EPI, Energy Performance Index)4)의 내용은 친환경건축물인증제도의 에너지항목 배점 산출의 기준이 되며 건축, 기계, 전기부문의 3가지 항목에 대하여각 항목을 의무사항과 권장사항으로 나누어 제시하고 있다.
  • 국내 친환경건축물제도와 해외 인증제도(미국의 LEED, 영국의 BREEAM, 일본의 CASBEE)와의 비교·분석에 관한 연구는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기존의 연구들은 인증제도의 평가항목을 부문별로 분류하여 그 평가내용에 대해 비교함으로써 인증제도의 개요 및 현황, 제도의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인증제도와 에너지절약에 관련된 연구로서 고동환(2010)은 LEED와 친환경건축물인증제도에서 에너지효율을 평가하는 기준에 의한 에너지절감률을 비교하기 위해 창 종류 및 면적을 달리하여 에너지소비량을 분석하였다.
  • 녹색건축과 관련된 인증제도들은 건물의 온실가스 배출을 최소화하고 에너지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이를 평가하고 기준을 제시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본 연구 에서는 미국의 LEED 2009와 국내 GBCC 2010을 비교분석하였다. 그 중에서도 건물의 에너지절약과 관련된 내용을 커미셔닝, 에너지절약, 신재생에너지, 이산화탄소배출의4가지로 나누어 분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수 있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녹색건축물과 관련한 인증 제도의 성격을 파악하고 건물의 에너지절약과 관련된 평가 내용을 분석하고 이를 미국의 LEED에서 에너지소비를 평가하는 방법과 비교분석하여 국내 제도의 개선방향에 대해 제시하고자 한다.
  • 하지만 평가방법의 비교에 있어 GBCC의 평가기준이 에너지부분에서 강화될 필요가 있으며 건물의 라이프사이클을 고려하여 에너지 소비를 평가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추후 영국의 BREEAM과의 비교분석 및 각 제도들의 평가를 위한 근거자료로 사용되는 가이드라인의 체계적인 분석을 통해 국내 녹색건축 관련 제도의 에너지 효율 평가 마련을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친환 경관련 인증제도와 미국의 LEED에서 건물의 에너지소비 평가부분에 대하여 평가 내용 및 방법에 대해 비교분석 함으로써 제도의 개선방향에 대해 모색하고자 한다.
  • 신재생에너지건축물인증제도는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이용 보급 촉진법」에 근거하여 신축 민간건축물의 신재생에너지 공급률에 따라 등급을 부여하여 인증함으로써 자발적으로 신재생에너지설비를 설치하도록 유도하고 보급활성화를 목적으로 2011년 4월부터 시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친환경건축물인증제도란? 친환경건축물인증제도(GBCC)는 지속가능한 개발실현과 자원절약형, 자연친화적인 건축물을 유도하기 위해 국토해양부와 환경부가 공동으로 운영하고 있는 친환경건 축과 관련되어 첫 시행된 제도이다. 2002년을 시작으로 몇 차례 개정을 거쳐 2010년 7월에는 기존 평가점수 100점, 가산점수 36점으로 총합 136점으로 구성되던 것을 필수항목을 신설하고 가산점수를 폐지, 항목별 총점에 가중치를 곱하여 총합 100점으로 하여 일반(그린4등급), 우량 (그린3등급), 우수(그린2등급), 최우수(그린1등급)의 4등급 으로 평가하도록 개정되어 적용되고 있다.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의 목적은?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은 건축물의 효율적인 에너지관리를 위한 설계기준 등에 관한 사항을 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3)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의 에너 지성능지표검토서(EPI, Energy Performance Index)4) 의 내용은 친환경건축물인증제도의 에너지항목 배점 산출의 기준이 되며 건축, 기계, 전기부문의 3가지 항목에 대하여각 항목을 의무사항과 권장사항으로 나누어 제시하고 있다.
친환경건축물인증제도의 인증심사는 어떤 심사로 이루어져 있는가? 2002년을 시작으로 몇 차례 개정을 거쳐 2010년 7월에는 기존 평가점수 100점, 가산점수 36점으로 총합 136점으로 구성되던 것을 필수항목을 신설하고 가산점수를 폐지, 항목별 총점에 가중치를 곱하여 총합 100점으로 하여 일반(그린4등급), 우량 (그린3등급), 우수(그린2등급), 최우수(그린1등급)의 4등급 으로 평가하도록 개정되어 적용되고 있다. 인증심사는 예비인증과 본인증에 걸쳐 신청자가 제출하는 자체평가서와 평가근거자료를 토대로 이루어지는 서류검사와 현장 심사로 이루어진다. 현장심사는 현지조사를 원칙으로 하지만 이미 제출된 자료를 바탕으로 건축물의 단편적인 사양을 위주로 평가하기에 건축물의 총제적인 성능을 평가하기가 어렵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http://www.kemco.or.kr/building/v2/ 에너지관리공단 건물에너지절약사업 

  2. ASHRAE Standard 90.1-2010 Energy Standard for Buildings Except Low-Rise Residential Buildings, ASHRAE, 2010 

  3. LEED Reference Guide for Green Building Design and Construction, USGBC, 2009 

  4.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국토해양부고시 제2010-1031호, 2012 

  5. 지식경제부?행정안전부, 09년 지자체 청사 에너지사용량 조사결과 보도자료, 2010 

  6. 친환경건축물인증기준, 국토해양부, 2010 

  7. 고동환, LEED 2009와 국내 친환경건축물 인증제도에서의 건물에너지효율평가기준에 따른 에너지절감률과 연간소비량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6권 제5호, 2010 

  8. 김미란, 신재생에너지 정책이 건축계획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9. 김삼열, 김형보, BREEAM과 LEED를 통해서 본 국내 친환경건축물 인증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제26권 제12호, 2010 

  10. 박철용, 인증사례분석을 통한 국내외 친환경건축물 인증제도 비교, 건설기술 쌍용 v.58, 2011 

  11. 안광호, 김형근, 최용석, BIM기반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의 사용자 중심적인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제28권 제1호, 2012 

  12. 윤정은, 임영환,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와 가이드라인의 관계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제27권 제11호, 2011 

  13. 이상진, 이나경, 장현승, 옥종호, 국내 친환경건축물인증제도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건설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10 

  14. 이시내, 강혜진, 이언구, 국내외 친환경건축물 인증평가기준의 비교분석을 통한 에너지성능지표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29권 제1호, 2009 

  15. 이현우, 최창호, 국내 친환경건축물 인증제도와 LEED의 평가항목 비교연구-업무시설을 중심으로,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Vol31 No.1, 2011 

  16. 지속가능한 녹색건축물 보급 활성화 방안, 국토해양부, 녹색건축물 보급 활성화를 위한 정책/기술 세미나. 2012.10 

  17. 최동호,허민규, LEED인증을 위한 빌딩 커미셔닝의 역할, 설비/공조?냉동?위생 제27권 제7호, 2010 

  18. 최명오, 국내 설계기준과 LEED의 요구사항 비교, 설비/공조,냉동, 위생,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