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헬스 리터러시 측정을 위한 공공기관 건강정보의 활용 가능성 탐색
Exploring the Possibility of Using Public Institution's Health Message for Measuring Health Literacy 원문보기

保健敎育健康增進學會誌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29 no.3, 2012년, pp.53 - 61  

홍경진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  주영기 (한림대학교 언론정보학부) ,  전상일 (한국환경건강연구소) ,  윤혜정 (식품의약품안전청 위해분석연구과) ,  유명순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Improving public capability to obtain, understand, and use health information is important for decision-making and communication. This study attempts to measure adults' literacy of the information provided by a public health institution. Factors affecting different health literacy level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 이 시험적 측정 결과와 인구사회학적 요인 및 건강 관련 위험인식과의 연관성 조사를 통해 헬스 리터러시 측정에 있어 보건 기관의 건강 메시지의 활용 가능성을 알아보는 것이다.
  • 다음으로, 시험적 도구로 측정된 결과와 개인의 주관적인 건강 관련 위험인식의 연관성을 탐색해본다. 건강 관련 위험인식은 암 검진과 같은 건강 행위와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기 때문에(Orbell, Crombie, & Johnston, 1996) 궁극적으로 국민들의 건강 수준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이라고 할 수 있다.
  • , 2009), 건강 위험성에 대한 인식을 왜곡하고 있었다(Schapira, Davis, McAuliffe, & Nattinger, 2004). 본 연구는 이번에 사용된 시험적 도구의 측정결과와 위험인식의 관계를 알아봄으로써 그 조사된 결과가 기존의 헬스 리터러시가 위험 인식과 가졌던 관계와 유사한 양태의 상관성이 나타나는지를 알아본다. 이를 통해, 보건 기관 건강 메시지를 활용한 헬스 리터러시 측정 도구의 본격적인 개발에 앞서 그 가능성을 타진하려는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기존 도구가 아닌 새로운 방법으로 헬스 리터러시를 측정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타진함과 동시에 그 측정 결과와 인구사회학적 요인이나 건강 관련 위험인식과의 연관성도 살펴보았다. 공공기관의 정보에 대한 이해력을 측정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정답률이 다소 낮았고, 인구사회학적 요인과는 밀접한 연관성을 나타냈다.
  • 이를 통해, 보건 기관 건강 메시지를 활용한 헬스 리터러시 측정 도구의 본격적인 개발에 앞서 그 가능성을 타진하려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는 헬스 리터러시와 연관성을 보이는 인구사회학적 요인도 점검해 보기로 한다.
  • 이 연구는 이러한 문제인식에 입각해, 그동안 많은 측정 도구들에서 중시하였던 병원 내 안내문이나 의학적 용어의 이해도 측정에서 벗어나, 실제로 공공기관에서 발표하는 건강정보를 국민들이 얼마나 이해하고 있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는 국민들이 뉴스 보도를 통해 접하는 건강 및 관련 위해 정보의 다수가 이들 보건 전문 기관을 원천으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 이 연구는 전 국민을 대상으로 공공기관에서 제공하는 건강 관련 자료를 활용한 시험적 도구로 정보에 대한 이해력을 측정하고, 이와 본인의 건강 관련 위험인식의 관련성을 보기 위하여 실시된 서술적 단면연구이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들 언론 매체의 건강 보도의 주요한 뉴스 출처라 할 수 있는 공공기관에서 발표하는 대국민 건강 메시지를 헬스 리터러시 평가의 도구 개발에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타진해보기로 한다. 이를 위해 두 가지 과정을 거친다.
  • 첫 번째 문항은 KFDA에서 발표한 ‘연체류 및 갑각류에 대한 중금속 실태조사 결과’ 와 관련된 것이다. 지문 안의 중금속 검출량을 나타낸 표를 바르게 이해하는 지를 알아보는 것이 이 문항의 목적이다. 두 번째 지문은 종이제 식품포장지의 중금속 검출량의 적합성에 관한 내용이고, 이 지문을 통해 각 업체에서 제작한 식품포장지의 중금속 검출량이 규격에 비해 적합한 지를 물었다.
  • 우선, 구체적으로 식품의약품안전청(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이하 KFDA)에서 발표한 건강정보를 헬스 리터러시를 평가하는 지문으로 활용함으로써 임상 정보의 이해 수준을 넘어서는 보다 보편적이고 일상적인 수준에서의 건강정보 이해 능력 측정을 시도하였다. 특히 참치 등의 큰 생선, 한약재 등 다양한 먹거리에 포함되어 건강 장해를 일으킨다고 알려진 중금속과 관련된 위해 정보에 대한 대국민 소통 메시지를 활용, 이해력을 평가하였다.
  • 이는 국민들이 뉴스 보도를 통해 접하는 건강 및 관련 위해 정보의 다수가 이들 보건 전문 기관을 원천으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국민들이 뉴스 등을 통해 가장 많이 접하는 공공기관의 하나인 KFDA의 건강정보를 지문으로 활용함으로써 전달하려는 메시지가 얼마나 실제로 전달되는 지를 확인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헬스 리터러시 측정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 개발한 4개 문항 이외에 국립국어원의 일반 문해력 측정 문제 2문항과 수리력 측정 문제 2문항을 추가한 이유는 무엇인가? 이와 함께, 본 연구에서 개발한 4개 문항 이외에 국립국어원의 일반 문해력 측정 문제 2문항과 수리력 측정 문제 2문항을 추가하였다. 이는 개발된 식약청 메시지 문항의 절대적 수치가 크지 않음을 보완함은 물론, 기존 문해력 도구와 개발된 도구의 상호 신뢰도를 검증해 보기 위한 것이다. 모든 문항은 2개 혹은 4개의 선택지에서 선택하는 객관식으로 이루어졌고, 전반적인 헬스 리터러시 수준은 총 정답 문항 수(0~8)를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문항 별 가중치는 두지 않았다.
헬스 리터러시는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 헬스 리터러시는 ‘생애에 걸쳐 일상생활에서 개인의 건강을 유지 및 증진하기 위해 의사결정에 필요한 정보를 얻고, 이해하며 적용하는 역량’으로 파악된다. 이 개념 측정의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국민들이 실질적으로 접하게 되는 KFDA에서 발표한 건강정보를 지문으로 활용하여 4개의 문항을 제작하였다.
개인의 위험인식을 세 가지로 구분하면? (2007)가 건강 관련 위험인식 분석을 위해 제시한 차원(dimension)을 활용하였다. 개인의 위험인식은세 가지로 구분될 수 있는데, 지각된 리스크의 발생 가능성 (perceived likelihood), 지각된 리스크에 대한 민감성 (perceived susceptibility), 지각된 리스크의 심각성(perceived severity)이 그것이다. 이에 따라 건강과 관련된 위험인식을 ‘나는 다른 사람에 비해 질병에 걸릴 확률이 높다고 생각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Berkman, N. D., Davis, T. C., & McCormack, L. (2010). Health literacy: What is it? Journal of Health Communication, 15(S2), 9-19. 

  2. Brewer, N. T., Chapman, G. B., Gibbons, F. X., Gerrard, M., McCaul, K. D., & Weinstein, N. D. (2007). Meta-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risk perception and health behavior: the example of vaccination. Health Psychology, 26(2), 136-145. 

  3. Brewer, N. T., Tzeng, J. P., Lillie, S. E., Edwards, A. S., Peppercorn, J. M., & Rimer, B. K. (2009). Health literacy and cancer risk perception: implications for genomic risk communication. Medical Decision Making, 29(2), 157-166. 

  4. John, S. C. (2004). Coverage of breast cancer in the Australian print media-does advertising and editorial coverage reflect correct social marketing messages? Journal of Health Communication, 9(4), 309-325. 

  5. Kim, S. H., & Lee, E. J. (2008). The influence of functional literacy on perceived health status in Korea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8(2), 195-203. 

  6. Kim, S. S., Kim, S. H., & Lee, S. Y. (2005). Health literacy: development of a Korean health literacy assessment tool.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2(4), 215-227. 

  7.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2010). A study on the heavy metal of crustacean. Retrieved from http://www.kfda.go.kr/index.kfda?mid56&seq13224&cmdv 

  8.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2010). A study on the heavy metal of paper box. Retrieved from http://www.kfda.go.kr/index.kfda?mid56&seq12612&cmdv 

  9.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2011). The reenactment of cadmium contents standard. Retrieved from http://www.kfda.go.kr/index.kfda?mid56&seq15739&cmdv 

  10. Lee, S. A., & Park, M. H., (2010). A study on health literacy, medication knowledge, and medication misuse of rural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30(2), 485-497. 

  11. Lee, T. H., & Kang, S. J., (2008). Health literacy in the Korean elderly and influencing factors.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8(4), 847-863. 

  12. McCormack, L., Bann, C., Squiers, L., Berkman, N. D., Squire, C., Schillinger, D., . . . Hibbard, J. (2010). Measuring health literacy: a pilot study of a new skills-based instrument. Journal of Health Communication, 15(S2), 51-71. 

  13.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2008). Literacy of Korean adults. Seoul, Korea: Author. 

  14. Nutbeam, D. (2000). Health literacy as a public health goal: a challenge for contemporary health education and communication strategies into the 21st century. Health Promotion International, 15(3), 259-267. 

  15. Orbell, S., Crombie, I., & Johnston, G. (1996). Social cognition and social structure in the prediction of cervical screening uptake. British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1), 35-50. 

  16. Park, J. E., & Son, M. S. (2001). Public health and medical journalism. Seoul, Korea: Korea Press Foundation. 

  17. Peters, E. M., Burraston, B., & Mertz, C. (2004). An emotion based model of risk perception and stigma susceptibility: cognitive appraisals of emotion, affective reactivity, worldviews, and risk perceptions in the generation of technological stigma. Risk Analysis, 24(5), 1349-1367. 

  18. Rundmo, T. (2002). Associations between affect and risk perception. Journal of Risk Research, 5(2), 119-135. 

  19. Schapira, M. M., Davids, S. L., McAuliffe, T. L., & Nattinger, A. B. (2004). Agreement between scales in the measurement of breast cancer risk perceptions. Risk Analysis, 24(3), 665-673. 

  20. Schillinger, D., Grumbach, K., Piette, J., Wang, F., Osmond, D., Daher, C., . . . Bindman, A. B. (2002). Association of health literacy with diabetes outcomes. JAMA: th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88(4), 475-482. 

  21. Sharif, I., & Blank, A. E. (2010). Relationship between child health literacy and body mass index in overweight children. Patient Education and Counseling, 79(1), 43-48. 

  22. Talosig-Garcia, M., & Davis, S. W. (2005). Information-seeking behavior of minority breast cancer patients: An exploratory study. Journal of Health Communication, 10, 53-64. 

  23. Wolf, M. S., Feinglass, J., Thompson, J., & Baker, D. W. (2010). In search of 'low health literacy': Threshold vs. gradient effect of literacy on health status and mortality. Social Science & Medicine, 70(9), 1335-1341. 

  24. Yin, H. S., Mendelsohn, A. L., Wolf, M. S., Parker, R. M., Fierman, A., van Schaick, L., . . . Dreyer, B. P. (2010). Parents' medication administration errors: role of dosing instruments and health literacy. Archives of Pediatrics and Adolescent Medicine, 164(2), 181. 

  25. Zarcadoolas, C., Pleasant, A. F., & Greer, D. S. (2006). Advancing health literacy: A framework for understanding and action (Vol. 17): Jossey-Bass Inc Pub.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