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갓과 고추를 첨가한 저염 야콘 피클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Low-Salted Yacon Pickles with Leaf-mustard and Pepper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4 no.5, 2012년, pp.545 - 552  

심기훈 (순천대학교 생명산업과학대학 조리과학과) ,  최옥자 (순천대학교 생명산업과학대학 조리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3% 이하의 저염 농도에서 맛, 향미 및 저장성을 높이기 위하여 갓과 고추를 첨가한 야콘 피클의 저장 중 품질특성을 이요인 분산분석을 이용하여 품질 특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당도, 총산도 및 염도는 갓과 고추 첨가에 따라 시료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고, 저장기간에 따라서도 시료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갓과 고추 첨가와 저장기간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도 나타났으며,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모든 시료에서 당도, 총산도 및 염도는 증가하였다. 색도에서 L값은 갓과 고추 첨가에 따른 시료간에 차이는 없었으나, 저장기간에 따라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a값과 b값은 갓과 고추 첨가에 따른 시료간 차이와 저장 기간에 따른 차이에서 모두 유의적으로 나타났으며, L, a 및 b값 모두 갓과 고추 첨가와 저장기간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저장기간 동안 야콘 피클의 절단력은 갓과 고추 첨가와 저장기간에 따른 시료간에 차이가 없어 연부현상은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보여진다. 관능검사에서 색, 맛과 전체적인 선호도는 갓과 고추 첨가와 저장기간에 따라서 각각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향미는 저장기간에 따른 차이만 나타났고, 질감은 갓과 고추 첨가와 저장기간에 따라서도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염 야콘 피클은 저장 30일과 40일에 전체적인 선호도가 높았고, 갓과 고추를 첨가한 야콘 피클은 다른 시료보다 선호도가 높았다. 부재료 첨가 유무와 저장기간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는 전체적인 선호도에서만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improve a low-salted yacon pickle, the change of quality characteristics during the storage of yacon pickles were investigated at $18^{\circ}C$ for 50 days using two-way ANOVA. One factor that was added was the leaf-mustard and pepper (A), the other was storage time (B). The leaf-must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채소 절임가공품인 피클의 다양성과 저염 식품의 저장성 저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항산화 및 항균 성분이 함유된 갓과 고추를 부재료로 첨가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된 저염 야콘 피클의 저장 중 품질특성 분석을 통하여 저염 야콘 피클의 제조방법을 개발하고, 제품화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채소 절임가공품인 피클의 다양성과 저염 식품의 저장성 저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항산화 및 항균 성분이 함유된 갓과 고추를 부재료로 첨가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된 저염 야콘 피클의 저장 중 품질특성 분석을 통하여 저염 야콘 피클의 제조방법을 개발하고, 제품화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 채소 절임 관련 식품에 관한 연구에서 주로 연구대상으로 선정한 식물은 무엇인가? 최근 농산물 재배 산업이 활성화됨에 따라 신선채소가 연중 공급되고,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나트륨 과다 섭취에 대한 우려로 국내 채소 절임 관련 식품들의 이용 빈도가 감소하였으나, slow food의 열풍과 함께 발효식품의 대한 새로운 가치 인식으로 인하여 관심이 다시 고조되고 있다. 지금까지 장아찌 및 피클에 대한 연구로 순무(7), 콜리플라워(8), 인삼·더덕·도라지(9,10), 연근(11), 버섯(2,12,13), 땅두릅(14), 마늘(15), 순무(16), 야콘(17) 등에 관하여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야콘을 이용한 피클에 대한 다양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피클은 어떻게 구분할 수 있는가? 서양에서 많이 제조되고 있는피클도 계절과 지역에 따라 생산량이 많은 채소를 이용하여 만든 것으로 우리나라 전통식품인 장아찌와 제조방법이 유사하며 오이, 양파, 토마토, 피망, 양배추 등을 주로 이용하여 제조하고 있다(2). 피클은 일반적으로 소금 등을 이용한 염지 피클과 식초와 설탕을 주로 이용한 스위트 피클로 구분된다. 이러한 피클은 제조과정에서 발효가 진행되어 맛, 향미, 질감 등에 영향을 주는데 저장온도, 저장기간 및 소금물의 농도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고 알려져 있다(3).
야콘은 무엇인가? 야콘은 국화과에 속하는 쌍자엽 다년생 구근작물로 1985년 무렵 우리나라에 도입되어 경기도 강화, 충북 괴산, 경북 상주 등지에서 주로 재배되고 있다(18). 식용부위는 주로 괴근을 사용하며, 생식이 가능하고 맛은 배 맛이 나며 수분이 많고 고구마처럼 감미가 있다(19,2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Chang CH. The future prospect traditional Korean fermented foods. Korea J. Dietary Culture 3: 341-345 (1988) 

  2. Kim OS, Joo NM. Optimization on organoleptic properties of mushroom (Agaridus bisporus) pickles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20: 158-163 (2004) 

  3. Woo NRY, Chung HK, Kang MH. Properties of Korean traditional pepper pickle made by different preheating temperature treatments. J. Korean Soc. Food Nutr. 34: 1219-1225 (2005) 

  4. Kim MJ, Kim SD. A fermentation control of kimchi.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4: 75-82 (1994) 

  5. Dahl LK. Possible role of salt intake in development of essential hypertension. Int. J. Epidemiol 34: 967-972 (2005) 

  6. Seo BC, Oh JM. Development of low-salt foods -now and the future-. Korean J. Commun. Nutr. 7: 401-404 (2002) 

  7. Son EJ, Oh SH, Heo OS, Kim MR.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turnip pickle added with chitosan during storag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1302-1309 (2003) 

  8. Jung HA, Yoon JY, Hwang JS, Joo NM. Optimization on organoleptic characteristics of cauliflower pickles. Korean J. Food Culture 19: 193-199 (2004) 

  9. Kim AJ, Han MR, Woo N, Kang SJ, Lee GS, Kim MH.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rean ginseng pickles with chija and omija. Korean J. Food Nutr. 21: 524-529 (2008) 

  10. Kim AH, Han MR, Jung KH, Cho JC, Park WJ, Han CW, Jang KH. Physiological evaluation of Korea ginseng, deoduk, and doragi pickles. Korean J. Food Nutr. 21: 443-447 (2008) 

  11. Park BH, Jeon ER, Kim SD, Cho HS. Changes i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lotus root pickle with beet extract during storag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1124-1129 (2009) 

  12. Kim SC, Kim SY, Ha HC, Park KS, Lee JS. The preparation of mushroom pickles and change in quality during storage.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1: 400-408 (2001) 

  13. Park MR.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pine-tree mushroom (Tricholoma masutake Sing.) pickle for the standard recipe. Korean J. Culinary Res. 14: 55-66 (2008) 

  14. Han GJ, Jang MS, Shin DS. Changes i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Aralia continentalis Kitagawa pickle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Cookery Sci. 23: 294-301 (2007) 

  15. Song MR, Kim MJ, Kwon OY, Kim HR, Kim MR.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garlic pickle prepared with persimmon vinegar and maesil (Japanese apricot) Juice.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9: 981-986 (2009) 

  16. Oh SH, Oh YK, Park HH, Kim MR.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turnip pickle prepared with different pickling spices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Presv. 10: 347-353 (2003) 

  17. Moon MJ, Yoo KM, Kang HJ, Hwang IK, Moon BK. Antioxidative activity of yacon and chages i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yacon pickle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Cookery Sci. 26: 263-271 (2010) 

  18. Doo HS, Moon JK, Kwon TO, Ryu JH. Effects of polyethylene mulch color and its removing time on growth and yield of yacon (Polymnia sonchifolia Poepp. & Endl.). Korean J. Med. Crop. Sci. 7: 205-212 (1999) 

  19. Lee ES, Shim JY.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with yacon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6: 545-551 (2010) 

  20. Kim YS. Antimicrobial activity of yacon K-23 and manufacture of functional yacon jam.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1035- 1038 (2005) 

  21. Kang YK, Ko MR. Effect of transplanting date on growth and yield of yacon. Korean J. Crop. Sci. 49: 188-193 (2004) 

  22. Kim HR, Cho KJ, Kim JS, Lee IS. Quality changes of mustard leaf (dolsangat) kimchi during low temperature stor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609-614 (2006) 

  23. Farrell KT. Spices, Condiments and Seasonings. AVI, New York, NY, USA p. 3 (1981) 

  24. Endo Y, Usuki R, Kaneda T. Antioxidant effect of chlorophyll and pheophytin on the autoxidantion of oil in the dark, I. Comparison of inhibitory effects. J. Am. Oil Chem. Soc. 62: 1375-1378 (1985) 

  25. Chae SK, Kang KS, Ma SJ, Bang KW, Oh MH, Oh SH. Food Analysis. Jigu Publishing Co., Paju, Korea pp. 460-463 (2004) 

  26. Kim JH, Kim JK. Effect of maturation solution composition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onion jangaji. Korean J. Food Preserv. 15: 816-823 (2008) 

  27. Park YK, Park MW, Choi IW, Choi HD. Effects of various salt concentrations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brined cucumbers for pickle proces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526- 530 (2003) 

  28. Jeong DY, Kim YS, Lee SK, Jung ST, Jeong EJ, KIM HE, Shin DH.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pickles manufactured in folk villages of Sunchang region. J. Fd Hyg. Safety 21:92-99 (2006) 

  29. Howard LR, Burma P, Wagner AB. Firmness and cell wall characteristics of pasteurized jalapeno pepper rings affected by calcium chloride and acetic acid. J. Food Sci. 59: 1184-1186 (1994) 

  30. Jung SJ, Kim GY, Kim SH. The changes of ascorbic acid and chlorophylls content in Gochu-jangachi during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Sci. 30: 814-818 (2001) 

  31. Park MW, Park YK, Jang MS. Changes of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Korean pickled cucumber with different preparation methods. J. Korean Soc. Food Nutr. 23: 634-640 (199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