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반도내 당마가목의 실체와 근연종과의 관계-전형질분석을 중심으로
Using morphometrics to unravel species relationships and delimitations in Sorbus pohuashanensis in the Korean peninsula 원문보기

식물분류학회지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v.43 no.4, 2013년, pp.300 - 311  

박수경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산림과학부 및 수목원) ,  길희영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산림과학부 및 수목원) ,  김휘 (목포대학교 한약자원학과 및 한방산업연구소) ,  장진성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산림과학부 및 수목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플라보노이드 분석을 실시한 결과 한반도 아고산지역에 널리 분포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당마가목[Sorbus pohuashanensis (Hance) Hedl.]은 중국 내륙에 분포하는 S. wilsoniana, S. amabilis과 동일한 화학형을 보이거나, 혹은 마가목[S. commixta Hedl.]의 화학형이 집단별로 나타나 잡종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따라서, 근연종과 잡종가능성이 제기되는 중국 내륙의 개체들과 당마가목과 마가목 분포지인 한중일의 721개 개체의 19개 형질에 대한 다변량분석을 시도하여 분류군의 형태적 분화와 형질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정량적 형질에 대한 단변량과 다변량분석에서 마가목분류군 전체 종간에 뚜렷하게 구분할 수 있는 식별형질은 찾지 못한 반면, 정성형질인 동아의 색, 동아와 잎 뒷면의 털의 색깔 및 유무, 탁엽의 모양의 차이와 심피의 모양에서 종간 식별 형질을 확인하였다. 형태 분석과 플라보이드 연구 결과, 한반도에 분포하는 한반도당마가목은 중국동북 3성과 극동러시아의 당마가목(S. pohuashanensis)과는 전혀 다른 화학형으로서, 중국 내륙에 분포하는 S. wilsoniana와 마가목과의 과거 잡종이입에 의한 분류군으로 판단된다. 한반도에 분포하는 추정 교잡종인 당마가목은 정량적, 정성적으로 마가목과 형태적으로 별다른 차이점을 확인할 수 없어, 역사적 종의 개념(historical species concept)에 의한 신 잡종기재보다는 전형질적 종의 개념(phenetic species concept)에 근거하여 마가목과 동일종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여 마가목의 이명으로 처리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ubalpine species, Sorbus pohuashanensis in the Korean peninsula, which is assumed to be evolved from hybridization between S. commixta and an unknown species based on the flavonoids data. Morphometric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basis of 19 leaf and flower (or fruit) characters. A total of 721 s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한반도에 분포하는 당마가목은 마가목과 구분되는 형질이 존재하는지와 중국 내륙에 분포하는 근연종과는 어떤 형태적 차이가 있는지 정량적 형질의 다변량분석과 정성적 형질에 대한 상호비교를 시도하였다. 기존의 165개의 잡종이입 연구 사례(Howard, 1993)에서 보듯, 잡종이입은 매우 다양하면서 복잡한 결과가 도출되는데, 본 연구에서는 잡종연구에 대해서는 비교적 제한적 연구 방법인 플라보노이드 분석을 이용해 한중일 3개국 분포 종을 대상으로 연구 결과를 도출해 추후 분자분류학적 연구를 위한 가설을 설정하고자 한다.
  • 그러나, 강원도의 태백산, 오대산과 경북 지역의 팔공산, 지리산, 가야산 집단 등에서 채집된 당마가목, 혹은 마가목을 관찰한 바에 의하면 아린 표면에 흰 털들이 많이 발달하면서 검붉은 색을 띄거나 아린 표면에 털이 전혀 없거나, 선단부에 갈색털이 있으면서 밝은 붉은색이거나 녹색을 띈 붉은색이며, 점액물질에 의해 다소 끈적이는 등(Gil, 2013), 동아의 특징으로는 뚜렷하게 구분할 수 없고 잡종 가능성이 제기된다. 본 연구에서는 잡종과 종간 차이를 보이는 정량적 형질에 대한 조사를 통해 분류학적 논쟁을 해결하고자 시도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한반도에 분포하는 당마가목, 마가목, 중국 내륙의 근연종의 형태적인 분석을 통해 전체 관련 분류군의 형태적 분화와 형질에 대한 연구를 시도하고자 한다. 특히, 한반도에 분포하는 당마가목은 마가목과 구분되는 형질이 존재하는지와 중국 내륙에 분포하는 근연종과는 어떤 형태적 차이가 있는지 정량적 형질의 다변량분석과 정성적 형질에 대한 상호비교를 시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마가목속내에서는 어떤 것에 의한 미세종이 다수 확인되는가? , 1991; Lu and Spongberg, 2003; McAllister, 2005). 속내에서는 일부 분류군은 잡종이 자주 일어나며 무성생식에 의한 미세종(apomictic microspecies)이 다수 확인된다(Jauhar and Joshi, 1970; McAllister, 2005).
마가목속은 어디에 분포하는가? 장미과(Rosaceae)의 능금아과(Maloideae)에 속하는 마가목속(Sorbus L.)은 북반구의 아시아, 유럽, 북아메리카에 걸쳐 분포하며 약 100-200여 종이 보고된다(Krüssmann, 1984; Ohwi, 1984; Robertson et al., 1991; Lu and Spongberg, 2003; McAllister, 2005).
한반도에 분포하는 복엽의 Sorbus 아속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한반도에 분포하는 복엽의 Sorbus 아속에는 3종으로 Sorbus pohuashanensis (Hance) Hedl.(당마가목), S. commixta Hedl.(마가목), S. sambucifolia Cham.(산마가목)가 해당된다(Lee, 1980). Sorbus절에 속하는 S.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Aizawa, M., H. Yoshimaru, H. Saito, T. Katsuki, T. Kawahara, K. Kitamura, F. Shi, M. Kaji, J. H. Browun and M. V. Lomolino. 2007. Phylogeography of a northeast Asian spruce, Picea jezoensis, inferred from genetic variation observed in organelle DNA markers. Molecular Ecolology 16: 3393-3405. 

  2. Baumel, A., M. L. Ainouche, R. J. Bayer, A. K. Ainouche and M. T. Misset. 2002. Molecular phylogeny of hybridizing species from the genus Spartina Schreb (Poaceae). Molecular Phylogenetics and Evolution 22: 303-314, 

  3. Barnes, B. V. and F. Han. 1993. Phenotypic variation of Chinese aspens and their relationships to similar taxa in Europe and North America. Canadian Journal of Botany 71: 799-815. 

  4. Campbell, C. S., R. C. Evans, D. R. Morgan, T. A. Dickinson and M. P. Arsenault. 2007. Phylogeny of subtribe Pyrinae (formerly the Maloideae, Rosaceae): Limited resolution of a complex evolutionary history. Plant Systematics and Evolution 266: 119-145. 

  5. Chang, C. S., J. I. Jeon and H. Kim. 2000. A systematic reconsideration of Abies korena Wilson using flavonoids and allozyme analysis.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30: 215-234.(in Korean) 

  6. Chang, C. S. and J. I. Jeon. 2003. Leaf flavonoids in Cotoneaster wilsonii (Rosaceae) from the island Ulleung-do, Korea. Biochemical Systematics and Ecology 31: 171-179. 

  7. Chang, C. S., G. S. Chang and H. N. Qin. 2004. A multivariate morphometric study on Corylus sieboldiana complex (Betulaceae) in China, Korea, and Japan. Acta Phytotaxonomica Sinica 42: 222-235. 

  8. Chang, C. S., H. Kim and K. S. Chang. 2011. Illustrated Encyclopedia of Fauna & Flora of Korea. Design Post, Paju. (in Korean) 

  9. Charkevicz, S. S. 1996. Plantae Vasculares Orientis Extremi Sovietici. Tomus 8. Leningrad, Saint Petersburg. (in Russian) 

  10. Chen, D., X. Zhang, H. Kang, X. Sun, S. Yin, H. Du, N. Yamanaka, W. Gapare, H. X. Wu and C. Liu. 2012. Phylogeography of Quercus variabilis Based on Chloroplast DNA Sequence in East Asia: Multiple Glacial Refugia and Mainland-Migrated Island Populations. PLOS ONE 7: 1-14. 

  11. Cronn, R., R. L. Small, T. Haselkorn and J. F. Wendel. 2003. Cryptic repeated genomic recombination during specieation in Gossypoium gossypiodies. Evolution 57: 2475-2489. 

  12. Crawford, D. J. 1970. Systematic studies on Mexican Coreopsis (Compositae) Coreopsis Mutica: Flavonoid chemistry, chromosome numbers, morphology, and hybridization. Brittonia 22: 93-111. 

  13. Fu, L. K., T. Q. Chen, K. Y. Lang, T. Hong and Q. Lin. 2000. Higher Plants of China Vol. 4. Qingdao Publishing House, Qingdao. (in Chinese) 

  14. Fu, L. K., T. Q. Chen, K. Y. Lang, T. Hong and Q. Lin. 2003. Higher Plants of China Vol. 6. Qingdao Publishing House, Qingdao. (in Chinese) 

  15. Gil, H. Y. 2013. Taxonomic study of the Sorbus commixta complex in Eastern Asia : flavonoids and morphological analyses. MS thesis, Department of Forest Science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in Korean) 

  16. Giannasi, D. E. and D. J. Crawford. 1986. Biochemical systematics II. A reprise. Evolutionary Biology 20: 25-248. 

  17. Harborne, J. B. and B. L. Turner. 1984. Plant Chemosystematics. Academic Press, London. 

  18. Henderson, A. 2006. Morphometrics in palm systematics. Botanical Journal of the Linnean Society 151: 103-111. 

  19. Howard, D. J. 1993. Reinforcement:origin, dynamics, and fate of an evolutionary hypothesis. In Hybrid Zones and the Evolutionary Process. Harrison, R. G. (ed.),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Pp. 46-69. 

  20. Huh, M. K., S. Kim and S. H. Park. 2007. Phylogenetic study of genus Sorbus in Korea by Internal Transcribed Spacer Sequence (ITS). Journal of Life Science 17: 1610-1615. 

  21. Iwatsuki, K., D. E. Boufford and H. Ohba (eds.). 2001. Flora of Japan Volume b Angiospermae-Dicotyledoneae: Archichlamydeae (b). Kodansha LTD, Tokyo. 

  22. Jauhar, P. P. and A. B. Joshi. 1970. The concept of species and "microspecies" Taxon 19: 77-79. 

  23. Kim, S. H., Y. S. Jang, H. G. Chung, H. S. Park and K. J. Cho. 2003. Leaf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Sorbus commixta Hedl. selected populations.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92: 488-496. 

  24. Kim, S. H., Y. S. Jang, J. G. Han, H. G. Chung, H. W. Seo and I. H. Park. 2007a. Leaf characteristics and genetic relationships analysis among four species in the genus Sorbus. Korean Journal of Breeding Science 39: 427-434. (in Korean) 

  25. Kim, S. H., Y. S. Jang, J. G. Han, H. W. Seo, I. H. Park and K. J. Cho. 2007b. Investigation on the genetic relation of Sorbus species by multivariate analysis and DNA polymorphism. Korean Journal of Breeding Science 39: 178-186. 

  26. King, B. L. 1977. The flavonoids of the deciduous Rhododendron of North America (Ericaceae). American Journal of Botany 64: 350-360. 

  27. Koehne, E. 1913. Sorbus, In Plantae Wilsonianae Vol. 1(3). Sargent, C. S. (ed.),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Pp. 457-483. 

  28. Krussmann, G. 1984. Manual of Cultivated Broad-leaved Trees & Shrubs: Vol. 3 (Pru-Z). Timber Press, Portland. 

  29. Kurata, S. 1971. Illustrated Important Forest Trees of Japan. Vol.1. Chikyu Shuppan, Tokyo. (in Japanese) 

  30. Lee, T. B. 1980. Illustrated Flora of Korea. Hyangmun Co., Seoul. (in Korean) 

  31. Lim, H. I., K. S. Chang, H. S. Lee, C. S. Chang and H. Kim. 2009. A reappraisal of Sambucus pendula Nakai on Ulleung Island and its allies.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39: 181-192. (in Korean) 

  32. Lu, L. and S. A. Spongberg. 2003. Sorbus, In Flora of China. Vol. 9 (Pittosporaceae Through Connaraceae). Wu, Z. Y., P. H. Raven and D. Y. Hong (eds.), Science Press, Missouri Botanical Garden Press, Beijing, St. Louis, Pp. 144-170. 

  33. Luckow, M. 1995. Species concepts: assumptions, methods, and applications. Systematics Botany 20: 589-605. 

  34. McAllister, H. 2005. The genus Sorbus: mountain ash and other rowans. Royal Botanic Gardens, Kew. 

  35. Mallet, J. 2007. Species, concepts of. In Encyclopedia of Biodiversity. Levin, S. et al. (eds.), Online update Elsevier, Oxford 1, Pp. 1-15. 

  36. Nakai, T. 1916. Flora Sylvatica Koreana. Vol. 6. Forest Experimental Station of Chosen Government, Seoul. 

  37. Nitzelius, T. G. 1989. The Ullung Rowan. Supplement till Lustgarden 1989. 

  38. Ohwi, J. 1984. Flora of Japan. Smithsonian Institution, Washington, D.C. 

  39. Okaura, T., N. D. Quang, M. Ubukata and K. Harada. 2007. Phylogeographic structure and late Quaternary population history of the Japanese oak Quercus mongolica var. crispula and related species revealed by chloroplast DNA variation. Genes & Genetic Systems 82: 465-477. 

  40. Park, S. H., S. H. Kim, H. W. Seo and M. K. Huh. 2007. Study of genetic diversity and taxonomy of genus Sorbus in Korea using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Journal of Life Science 17: 470-475. 

  41. Park, S. K., H. Y. Gil and C. S. Chang. 2013. Sorbus ulleungensis, a new endemic species on Ulleung Island, Korea. Harvard Papers in Botany 18(2) (in press). 

  42. Qiu, Y. X., Y. Sun, X. P. Zhang, J. K. Lee, C. X. Fu and H. P. Comes. 2009. Molecular phylogeography of East Asian Kirengeshoma (Hydrangeaceae) in relation to Quaternary climate change and landbridge configurations. New Phylogist 183: 480-495. 

  43. Robertson, K. R., J. B. Phipps, J. R. Rohrer and P. G. Smith. 1991. A synopsis of genera in Maloideae (Rosaceae). Syst. Bot. 16: 376-394. 

  44. Winkler, M. G. and P. K. Wang. 1993. The Late-Quaternary vegetation and climate of China, In Global Climates Since the Last Glacial Maximum. Wright, J. E., Kutzbach, T. Webb, W. F. Ruddiman, S. F. Alayne and P. J. Bartlein (eds.),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Minneapolis. 

  45. Zeng, Y. F., W. J. Liao, R. J. Petit and D. Y. Zhang. 2011. Geographic variation in the structure of oak hybrid zones provides insights into the dynamics of speciation. Molecular Ecology 20: 4995-501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