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연하장애를 가진 노인에 대한 노인요양시설 간호사의 경험: 포커스 그룹 연구
Nurses' Perception and Experiences at Nursing Home Residents with Dysphagia: Focus Group Interviews 원문보기

재활간호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v.16 no.2, 2013년, pp.112 - 121  

박연환 (서울대학교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  장희경 (서울여자간호대학교) ,  방활란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  이진이 (국군간호사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ed to describe Korean nursing home nurses' perceptions on dysphagia management and their working experiences of older adults with dysphagia. Methods: Using a purposive sampling design, 23 eligible nurses were interviewed as four focus groups from 4 facilities out of nursing ho...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요양시설에서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들의 연하장애 대상자와의 간호 경험을 질적 연구방법론의 주제 분석법을 사용하여 서술하고 구조화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 포커스 그룹 면담 표준에 근거하여 (Krueger & Casey, 2009; Morgan, 1996) 본 연구에서는 포커스 그룹 당 5~10명 모집을 목표로 하였다.
  • 간호사들이 연하장애를 가진 노인을 간호한 경험 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포커스 그룹 면담을 수행하기 전 포커스 그룹 면담 연구방법(Krueger & Casey, 2009; Morgan, 1996)의 절차에 따라 질문의 원칙을 숙고하고 연구문제를 명확히 하여 포커스 그룹 면담을 위한 질문을 구성하였다(Table 1).
  • 연구결과는 연구목적으로만 사용할 것이며 모든 자료는 익명으로 처리될 것과 연구참여자가 원한다면 언제든지 면담 거부와 중지가 가능함을 알렸다. 또한 서명한 동의서 한 부를 참여자에게 제공하여 연구자의 연락처를 소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에 근무하는 간호사가 연하장애가 있는 노인을 간호하는 과정에서의 간호 경험을 분석하여 시설 노인의 연하장애를 예방하고 조기 발견하여 적절한 중재를 할수 있도록 효과적인 간호중재 전략을 개발하고자 시도되었다. ‘요양시설에서 사용 가능한 연하장애 사정, 간호 지침 요구’, ‘간호사와 요양사의 연하장애 지식과 응급처치 기술 요구’, ‘의사 및 치료사의 긴밀한 협조에 의한 신속하고 정확한 처치 요구’, ‘방문 가족의 연하장애에 대한 이해 및 파트너십 요구’ 등이 요양시설에서 연하장애를 가진 노인들을 돌보는 간호사들의 경험 주제로 도출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인요양 시설 거주 노인들의 대표적 건강문제인 연하장애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근거중심 간호중재 개발을 위해서는 연하 장애를 가진 노인 간호에 대한 간호사들의 경험을 조사하는 연구가 요구되는 이유는? 요양시설 거주 노인의 건강을 담당하는 핵심인력인 간호사는 요양보호사의 업무를 관리, 감독하고 최일선에서 연하장애 사정과 간호관리의 책임이 있다. 그러나 간호사들의 연하장애와 연하장애 관리에 대한 지식수준은 높지 않으며(Magnus, 2001), 노인요양시설에서는 건강 전문 인력의 부족, 명확한 업무 지침 부재 등으로 간호사들이 노인들에게 연하장애와 관련된 건강사정을 하거나 연하장애 관련 간호행위와 기록조차 충분히 수행되지 못하고 있다(Colodny, 2001; Morris, 2006). 미국의 대규모 노인요양시설에서 수행된 연구에 의하면 거주 노인의 50% 정도가 식사 시에 도움이 필요하나 간호사들에게 노인들의 연하 문제를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은 매우 부족한 것으로 보고되었다(Magnus, 2001). 특히 일반간호사들은 연하장애 대상자를 적절하게 관리할 수 있는 능력이나 기술이 부족하여 미국 등 선진국에서는 연하장애 환자 간호를 전담하는 임상전문간호사(Dysphagia CNS)가 병원 등의 임상 현장에서 연하장애 환자를 전적으로 간호하고 있다(Westergren, 2006). 국내에서도 2008년 장기요양보험 제도의 도입으로 노인요양시설 거주 노인들이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노인요양시설 거주 노인들이 대부분 뇌졸중이나 파킨슨병 등 연하장애를 동반할 수 있는 노인성 질환을 앓고 있어 연하장애 관리의 요구가 급증하고 있다. 따라서 노인요양 시설 거주 노인들의 대표적 건강문제인 연하장애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근거중심 간호중재 개발을 위해서는 연하 장애를 가진 노인 간호에 대한 간호사들의 경험을 조사하는 연구가 요구된다.
최근 우리나라의 노인요양시설이 급증한 이유는 무엇인가?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인구의 고령화와 장기요양보험제도의 도입 등으로 노인요양시설이 급증하여 2012년 기준 2,588개소에 116,810명이 거주하고 있다(보건복지부, 2013). 노인요양시설 거주 노인들은 신체적, 정신적으로 다양한 건강문제를 지니고 있는데, 대표적 건강 문제가 연하장애와 연하장애로 인한 합병증이다.
노인요양시설 거주 노인들이 겪고 있는 대표적 건강 문제는?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인구의 고령화와 장기요양보험제도의 도입 등으로 노인요양시설이 급증하여 2012년 기준 2,588개소에 116,810명이 거주하고 있다(보건복지부, 2013). 노인요양시설 거주 노인들은 신체적, 정신적으로 다양한 건강문제를 지니고 있는데, 대표적 건강 문제가 연하장애와 연하장애로 인한 합병증이다. 미국에서는 장기요양시설 거주 노인의 40~60%가 연하 장애를 갖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Barczi, Sullivan, & Robbins, 200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shford, J. R., & Skelley, M. (2008). Oral care and the elderly. Dysphagia, 17 (1), 19-26. http://dx.doi.org/10.1044/sasd17.1.19 

  2. Bang, H. L., & Park, Y. H. (2013). Development of evidence-based dysphagia nursing care protocol for nursing home residents.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20 (1), 31-42. http://dx.doi.org/10.5953/JMJH.2013.20.1.31 

  3. Barczi, S. R., Sullivan, P. A., & Robbins, J. (2000). How should dysphagia care of older adults differ? Establishing optimal practice patterns. Seminars in Speech and Language, 21 (4), 347-364. http://dx.doi.org/10.1055/s-2000-8387 

  4. Braun, V., & Clarke, V. (2006). Using thematic analysis in psychology. Qualitative Research in Psychology, 3 (2), 77-101. http://dx.doi.org/10.1191/1478088706qp063oa 

  5. Brownie, S., & Nancarrow, S. (2013). Effects of person-centered care on residents and staff in aged-care facilities: A systematic view. Clinical Interventions in Aging, 8, 1-10. http://dx.doi. org/10.2147/CIA.S38589 

  6. Choi, K. H. (2009, November). Definition and epidemiology of dysphagia. Paper presented at the foundation conference and symposium of The Korean Dysphagia Society, Seoul, Korea. 

  7. Colodny, N. (2001).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the mealtime and dysphagia questionnaire: An instrument designed to assess nursing staff reasons for noncompliance with SLP dysphagia and feeding recommendations. Dysphagia, 16 (4), 263-271. http://dx.doi.org/10.1007/s00455-001-0085-5 

  8. Dwyer, D. (2011). Experience of registered nurses as managers and leaders in residential aged care facilities: A systematic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Evidence-Based Healthcare, 9 (4), 388-402. http://dx.doi.org/10.1111/j.1744-1609.2011.00239.x 

  9. El-Solh, A. A., Niederman, M. S., & Drinka, P. (2010). Management of pneumonia in the nursing home. Chest, 138 (6), 1480-1485. http://dx.doi.org/10.1378/chest.10-1135 

  10. Geeganage, C., Beavan, J., Ellender, S., & Bath, P. M. W. (2012). Interventions for dysphagia and nutritional support in acute and subacute strok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CD000323. http://dx.doi.org/10.1002/14651858.CD000323.pub2 

  11. Hsieh, H. F., & Shannon, S. E. (2005). Three approaches to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Qualitative Health Research, 15 (9), 1277-1288. http://dx.doi.org/10.1177/1049732305276687 

  12. Katz, P. R., Karuza, J., Intrator, O., & Mor, V. (2009). Nursing home physician specialists: A response to the workforce crisis in long-term care. Annals of Internal Medicine, 150 (6), 411-413. http://dx.doi.org/10.7326/0003-4819-150-6-20090-317000010 

  13. Kayser-Jones, J., & Pengilly, K. (1999). Dysphagia among nursing home residents. Geriatric Nursing, 20 (2), 77-84. http://dx.doi.org/10.1053/gn.1999.v20.97011 

  14. Kayser-Jones, J., & Schell, E. S. (1997). Staffing and the mealtime experience of nursing home residents on a Special Care Unit. American Journal of Alzheimer's Disease and Other Dementias, 12 (2), 67-72. http://dx.doi.org/10.1177/153331759701200204 

  15. Korean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3). The current state of elderly welfare facilities. Retrieved December 09, 2013, from http://kosis.kr 

  16. Krueger, R. A., & Casey, M. A. (2009). Focus groups: A practical guide for applied research. Thousand Oaks, CA: Sage. 

  17. Lubinski, R. (2006). Professionalism in long-term care settings.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39 (4), 292-300. http://dx.doi.org/10.1016/j.jcomdis.2006.02.004 

  18. Magnus, V. (2001). Dysphagia training for nurses in an acute hospital setting: A pragmatic approach. International Journal of Language & Communication Disorders, 36 (s1), 375-378. http://dx.doi.org/10.3109/13682820109177914 

  19. Morgan, D. L. (1996). Focus groups as qualitative research. Thousand Oaks, CA: Sage. 

  20. Morris, H. (2006). Dysphagia in the elderly: A management challenge for nurses. British Journal of Nursing, 15 (10), 558-562. 

  21. Nyamathi, A., & Shuler, P. (1990). Focus group interview: A research technique for informed nursing practic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15 (11), 1281-1288. http://dx.doi.org/10.1111/j.1365-2648.1990.tb01743.x 

  22. Palmer, J., & Metheny, N. A. (2008). How to try this: Preventing aspiration in older adults with dysphagia. American Journal of Nursing, 108 (2), 40-48. http://dx.doi.org/10.1097/01.NAJ.0000308961.99857.33 

  23. Park, Y. H. (2011). Nursing care of patients with dysphagia. Journal of Korean Dysphagia Society, 1, 50-53. 

  24. Park, Y. H., Han, H. R., Oh, B. M., Lee, J., Park, J., Yu, S. J., et al. (2013). Prevalence and associated factors of dysphagia in nursing home residents. Geriatric Nursing, 34 (3), 212-217. http://dx.doi.org/10.1016/j.gerinurse.2013.02.014 

  25. Pelletier, C. A. (2004). What do certified nurse assistants actually know about dysphagia and feeding nursing home residents? American Journal of Speech-Language Pathology, 13, 99-113. http://dx.doi.org/10.1044/1058-0360(2004/012) 

  26. Schrock, J. W., Bernstein, J., Glasenapp, M., Drogell, K., & Hanna, J. (2011). A novel emergency department dysphagia screen for patients presenting with acute stroke. Academic Emergency Medicine, 18 (6), 584-589. http://dx.doi.org/10.1111/j.1553-2712.2011.01087.x 

  27. Shanley, C., & O'Loughlin, G. (2000). Dysphagia among nursing home residents: An assessment and management protocol. Journal of Gerontological Nursing, 26 (8), 35-48. 

  28. Steele, C. M., Greenwood, C., Ens, I., Robertson, C., & Seidman-Carlson, R. (1997). Mealtime difficulties in a home for the aged: Not just dysphagia. Dysphagia, 12 (1), 43-50. http://dx.doi.org/10.1007/PL00009517 

  29. Werner, H. (2005). The benefits of the dysphagia clinical nurse specialist role. Journal of Neuroscience Nursing, 37 (4), 212-215. 

  30. Westergren, A. (2006). Detection of eating difficulties after stroke: A systematic review. International Nursing Review, 53 (2), 143-149. http://dx.doi.org/10.1111/j.1466-7657.2006.00460.x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