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논문]대형건설기업의 경영성과 측정을 위한 전략사업본부 비중분석 A Weight Analysis for Measuring the Management Performance of Strategic Business Units of Large Construction Companies원문보기
경영성과에 영향을 주는 경영환경은 플랜트의 호황에 의한 해외 수주 증가와 국내 주택시장의 침체 등 전략사업부(SBU: strategic business unit)별 명암이 뚜렷하다. 이러한 환경변화는 경영성과 측정 시 전략사업부의 전략적 중요도를 변화시킨다. 그러나 대형건설기업의 경영성과는 전략사업부별 경영성과를 BSC(Balanced Score Card)를 적용하여 일괄 합산하기 때문에 이러한 전략적 중요도의 반영이 어렵다. 이러한 방식은 환경변화를 반영하지 못한 왜곡된 경영성과를 도출할 수 있기 때문에 개선이 필요하다. 그러나 환경변화를 반영한 전략사업부별 비중에 대한 연구가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형건설기업의 전사적 경영성과 측정을 위한 전략사업본부 비중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전략사업본부 비중분석 모델을 제시하여 끊임없는 환경변화에 대응하여 비중을 수정 적용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비중 분석을 위해 23명의 경영전문가와 실무자에게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FD-AHP기법을 적용하여 결과를 정량화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전사적 경영성과 측정 시 전략적 왜곡을 최소화하며 환경변화를 반영한 분야별 비중산출을 위한 모델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경영성과에 영향을 주는 경영환경은 플랜트의 호황에 의한 해외 수주 증가와 국내 주택시장의 침체 등 전략사업부(SBU: strategic business unit)별 명암이 뚜렷하다. 이러한 환경변화는 경영성과 측정 시 전략사업부의 전략적 중요도를 변화시킨다. 그러나 대형건설기업의 경영성과는 전략사업부별 경영성과를 BSC(Balanced Score Card)를 적용하여 일괄 합산하기 때문에 이러한 전략적 중요도의 반영이 어렵다. 이러한 방식은 환경변화를 반영하지 못한 왜곡된 경영성과를 도출할 수 있기 때문에 개선이 필요하다. 그러나 환경변화를 반영한 전략사업부별 비중에 대한 연구가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형건설기업의 전사적 경영성과 측정을 위한 전략사업본부 비중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전략사업본부 비중분석 모델을 제시하여 끊임없는 환경변화에 대응하여 비중을 수정 적용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비중 분석을 위해 23명의 경영전문가와 실무자에게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FD-AHP기법을 적용하여 결과를 정량화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전사적 경영성과 측정 시 전략적 왜곡을 최소화하며 환경변화를 반영한 분야별 비중산출을 위한 모델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business environment that affects the management performance can be characterized by each Strategic Business Unit (SBU) since construction companies win overseas contracts due to the fairly good construction situations while experience a decline in the local housing market. Environmental changes...
The business environment that affects the management performance can be characterized by each Strategic Business Unit (SBU) since construction companies win overseas contracts due to the fairly good construction situations while experience a decline in the local housing market. Environmental changes can alter the strategic importance of the SBU when measuring the management performance. However, large construction companies apply BSC (Balanced Score Card) for collective calculation to determine the management performance, making it difficult to reflect the strategic importance of SBU. This method may create a distorted image of management performance that fails to take environmental changes into consideration, and as such it needs to be improved. Yet, there are no studies on the weight of each SBU considering environmental changes. Thus, the current study intends to analyze the weight of SBU for company-wide measurement of the performance of large construction companies. In addition, a model for analysis of SBU importance is proposed to respond to the constantly changing environmental situations and to modify the weight. For analysis of SBU weight,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with 23 experts and hands-on workers, and the questionnaire result was quantitatively analyzed by applying the FD-AHP method.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 will enable a model to be proposed to calculate the weight per division in a manner that reflects environmental changes and minimizes strategic distortion when measuring the management performance of large construction companies.
The business environment that affects the management performance can be characterized by each Strategic Business Unit (SBU) since construction companies win overseas contracts due to the fairly good construction situations while experience a decline in the local housing market. Environmental changes can alter the strategic importance of the SBU when measuring the management performance. However, large construction companies apply BSC (Balanced Score Card) for collective calculation to determine the management performance, making it difficult to reflect the strategic importance of SBU. This method may create a distorted image of management performance that fails to take environmental changes into consideration, and as such it needs to be improved. Yet, there are no studies on the weight of each SBU considering environmental changes. Thus, the current study intends to analyze the weight of SBU for company-wide measurement of the performance of large construction companies. In addition, a model for analysis of SBU importance is proposed to respond to the constantly changing environmental situations and to modify the weight. For analysis of SBU weight,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with 23 experts and hands-on workers, and the questionnaire result was quantitatively analyzed by applying the FD-AHP method.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 will enable a model to be proposed to calculate the weight per division in a manner that reflects environmental changes and minimizes strategic distortion when measuring the management performance of large construction companies.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김만기[6]는 대형건설기업의 성과측정지표 및 가중치를 체계적으로 제시하였으나 성과측정 계층구조에 BSC 구조만을 적용하여 대형건설기업의 독립채산적 SBU조직에는 부족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형건설기업의 경영 형태와 조직에 적합한 전략사업부문별 비중을 산출하고 그에 따른 경영성과 측정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5) 환경변화에 따른 비중 수정을 위한 기업 경영실적 산출모델을 제시한다.
요컨대 사업 분야별 경영환경이 상이하고 기업구조를 구성하는 각각의 본부는 그 성격과 중요성이 다르기 때문에 본 연구는 기업의 경영성과를 본부별 별도의 기준에 따라 측정하고 통합하는 방식을 적용하고자 한다.
특히 최근에는 분야별 경영환경 변화의 차이가 심화되고 있기 때문에 대형건설기업은 SBU별 경영성과의 전략적 비중을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형건설기업의 경영 형태와 조직에 적합하며 경영환경을 반영한 전략사업부문별 비중을 산출하고 그에 따른 경영성과 측정 방법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그러나 환경변화를 반영한 전략사업부별 비중에 대한 연구가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형건설기업의 전사적 경영성과 측정을 위한 전략사업본부 비중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전략사업본부 비중분석 모델을 제시하여 끊임없는 환경변화에 대응하여 비중을 수정 적용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가설 설정
1) WDIV I 는 건설기업의 i분야의 가중치이며 식 2와 같이 모든 WDIV 를 합산하면 1이 된다. 각 가중치는 분야별 특성을 고려하여 산출된다.
3) 퍼지 델파이(fuzzy delphi) 방법을 적용한 AHP기법을 적용하여 본부와 부문의 가중치를 산출한다.
4) 기업의 실적을 조사하고 가중치를 대입하여 적용성을 확인한 후 기존방식에 의해 산출된 경영성과와 비교한다.
또한 프로젝트의 성공 여부를 거시적 평가와 미시적 평가를 동시에 적용하여 평가한다.
성과지표 및 계층의 구성요소들 간의 중요도를 산출하기 위하여 관련기업의 전문가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쌍대비교법을 통한 요소들 간의 중요도를 평가한다.
사업부문과 영업부문 그리고 지원부분의 가중치 산정을 위한 DIV 쌍대비교 설문과 각 부문 내 SUB들의 쌍대비교 설문으로 진행되었다.
분야 및 본부별로 산출된 가중치(비중)를 경영성과에 적용하여 기존방식을 적용한 결과와 비교하기 위해 사례기업인 A기업의 4개년 경영성과를 조사하였다. A기업은 표 4와 같이 연매출 규모 5조원이상의 대형건설기업이며 해외 플랜트/전력사업의 비율이 가장 높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 도출한 방식과 같이 부문 및 본부별 비중을 적용한 경영실적 산출방법을 정리하여 제안한다.
이러한 과정은 조직구조를 반영하여 하부 성과에 비중을 반영하여 합산하는 방식이며 기존방식 비교하여 기업경영 측면에서 전략적 또는 규모면에서 중요도가 높은 SBU의 경영성과가 상대적으로 높은 중요도를 부여한다. 또한 경영전문가의 설문을 통하여 유의미한 가중치를 산정하여 각 비중량의 객관성을 확보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부문별로 경영환경이 다른 건설기업의 특성을 적극적으로 반영한 방법이며 건설기업 경영성과의 전략적 분석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형건설기업의 전사적 경영성과 측정을 위한 전략사업본부 비중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전략사업본부 비중분석 모델을 제시하여 끊임없는 환경변화에 대응하여 비중을 수정 적용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비중 분석을 위해 23명의 경영전문가와 실무자에게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FD-AHP기법을 적용하여 결과를 정량화하였다.
또한 전략사업본부 비중분석 모델을 제시하여 끊임없는 환경변화에 대응하여 비중을 수정 적용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비중 분석을 위해 23명의 경영전문가와 실무자에게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FD-AHP기법을 적용하여 결과를 정량화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전사적 경영성과 측정 시 전략적 왜곡을 최소화하며 환경변화를 반영한 분야별 비중산출을 위한 모델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대상 데이터
본 연구는 국내 및 해외의 건축, 토목 그리고 플랜트사업을 동시에 진행하는 대형건설기업을 대상으로 수행한다. 또한 경영조직이 독립채산적 SBU으로 구성된 기업에 적용할 수 있는 SBU별 비중분석을 실시한다.
조사대상 기업은 한국의 대형 건설기업으로 유사기업군의 기업구조를 전반적으로 포함하고 있으며 가장 세분화된 기업구조 형태를 보여 채택하였다.
본 연구는 가중치를 부여하기 위해 기업경영전문가와 업무별 전문성이 있는 담당자 23명의 설문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및 해외의 건축, 토목 그리고 플랜트사업을 동시에 진행하는 대형건설기업을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또한 경영조직이 독립채산적 SBU으로 구성된 기업에 적용할 수 있는 SBU별 비중분석을 실시하였다.
데이터처리
또한 경영조직이 독립채산적 SBU으로 구성된 기업에 적용할 수 있는 SBU별 비중분석을 실시한다.
본 연구는 국내 및 해외의 건축, 토목 그리고 플랜트사업을 동시에 진행하는 대형건설기업을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또한 경영조직이 독립채산적 SBU으로 구성된 기업에 적용할 수 있는 SBU별 비중분석을 실시하였다.
성능/효과
2) WSBU ij 는 글로벌 건설기업의 i분야 내 j본부의 가중치이며 식 3과 같이 분야 내의 모든 WSBU 를 합산하면 1이 된다. 본부별 가중치는 각 본부의 전략적 비중을 반영한 것이다.
부문별 가중치산출 결과 기술사업부분은 0.59로 가장 높은 가중치가 부여되었으며 영업부문이 0.27 그리고 지원부분 0.14의 순으로 산출되었다.
후속연구
또한, 각 SBU별 성과를 별도로 분리하여 비교하고 SBU의 경영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그 한계가 크다고 판단된다.
또한 경영전문가의 설문을 통하여 유의미한 가중치를 산정하여 각 비중량의 객관성을 확보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부문별로 경영환경이 다른 건설기업의 특성을 적극적으로 반영한 방법이며 건설기업 경영성과의 전략적 분석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SBU별 비중 및 비중 산정 방식은 전사적 경영성과측정시 반영하여 성과의 왜곡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관련한 후속 연구로 SBU의 성과적 비중 뿐 아니라 평가항목들의 성과비중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결과는 부문별로 경영환경이 다른 건설기업의 특성을 적극적으로 반영한 방법이며 건설기업 경영성과의 전략적 분석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SBU별 비중 및 비중 산정 방식은 전사적 경영성과측정시 반영하여 성과의 왜곡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관련한 후속 연구로 SBU의 성과적 비중 뿐 아니라 평가항목들의 성과비중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비중 분석을 위해 23명의 경영전문가와 실무자에게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FD-AHP기법을 적용하여 결과를 정량화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전사적 경영성과 측정 시 전략적 왜곡을 최소화하며 환경변화를 반영한 분야별 비중산출을 위한 모델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형건설기업은 무엇을 반영하는가?
대형건설기업은 전략사업부(SBU: Strategic Business Unit)별 성과를 측정하여 경영전략에 반영한다. 대형 건설기업 5곳의 경영관련 부서 인터뷰 결과 모두 성과측정지표를 선정하여 경영성과를 측정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된바 있다[1].
대형건설기업의 경영성과 측정방식은 무엇에 조합하는가?
대형건설기업의 경영성과 측정방식은 대부분 기업 조직의 분야별 성과를 BSC(Balanced Score Card)에 조합하여 전략사업부문조직별 성과를 동일한 비중으로 합산한다. 이러한 방식은 사업분야별 환경의 차이가 심한 건설기업의 경영성과측정에 적합하지 못하다.
SBU별 비중분석의 단계는?
1) 기업의 조직구조를 분석하여 대형건설기업의 대표적인 SBU조직도을 구성한다.
2) 조직도를 근거로 본부와 부문별 쌍대비교 설문을 작성하여 경영전문가 23명에게 설문한다.
3) 퍼지 델파이(fuzzy delphi) 방법을 적용한 AHP기법을 적용하여 본부와 부문의 가중치를 산출한다.
4) 기업의 실적을 조사하고 가중치를 대입하여 적용성을 확인한 후 기존방식에 의해 산출된 경영성과와 비교한다.
5) 환경변화에 따른 비중 수정을 위한 기업 경영실적 산출모델을 제시한다.
참고문헌 (19)
Kim JC. A Study of the Management Performance Assessment Model of Global Construction Firms(MAP-GC) [dissertation]. [Su-Won (Korea)]: Kyung Hee University; 2013. 170 p.
Yearly Order Status [Internet]. Seoul: International Contractors Association of Korea. 1964- [cited 2013 May 20]. Available from: http://www.icak.or.kr
Cha WC, Lee JS, Kwon W, Lee JS. Chun JY. Assessment Model of a Construction Company's Management Performance. Proceeding of Annual conference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008 Oct 25; KwangJu, Korea. Seoul (Korea):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008. p. 661-4.
Yu IH, Kim KR, Jung YS, Jin SY. Key Performance Indicators for Developing Construction Performance Index.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005 Feb;21(2):139-50.
Yu IH, Kim KR, Jung YS, Jin SY. Analysis of Quantified Characteristics of the Performance Indicators for Construction Companies.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 Management. 2006 Aug;7(4):154-63.
Kim MK. A Study on the Management Performance Evaluation Model of Construction Firms [dissertation]. [Su-Won (Korea)]: Kyung Hee University; 2010. 186 p.
Robert S. Seven Strategy Questions: A Simple Approach for Better Execution. Boston: Harvard Business Press Books; 2010. 224 p.
Choi BJ, Choi SW, Kim OK. The Improvement Plan of Quality and Organization Management through the Survey of Actual Condition in Construction Work. Proceeding of Annual conference of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 Management; 2007 Nov 9; Busan, Korea. Seoul (Korea):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 Management; 2007. p. 213-8.
Kim SK, Song YS. Cognition Analysis for Managerial and Organizational Status of Domestic Construction Firms.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005 Jan;21(1):163-70.
Kim YG, Kim SK. Developing an Organization Model through the analysis of Organization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Performances of Domestic Large Construction Firms.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 Management. 2004 Oct;5(5):133-53.
An EJ, Ryu BK, Lee YS, Kim JJ. Measuring of the Performance of a Construction Management Project from Viewpoints of Project Participants.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 Management. 2008 Jun;9(3):194-205.
Shenhar A J, Levy O Dvir D. Mapping the dimensions of project success. Project Management Journal. 1997 Jan;28(2):5-13.
Lee DU, Kim YS. A Study on the Cost Risk Analysis for Construction Projects using Fuzzy-AHP Method.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 Management. 2003 Apr;4(1):81-9.
Hsu TH. Application of Fuzzy Analytic Hierarchy Process. Journal of the Chinese Fuzzy Systems Association. 1998 Jan;4(1):59-72.
Jang SY, Kim SK, Lee SH, Kim JJ. An Analysis on the Stability Fluctuation of Construction Company related Housing Construction Business.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009 Oct;25(10):217-24.
Whang KS, Park MS, Han JM, Jung JS. Korean Telecommunication Industry: Where we are now and How to go from here. Management Science. 1993 Oct;10(1):41-58.
Saaty RW.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what it is and how it is used: Journal of Mathematical Modelling. 1987 Sep;9(3):161-76.
Zheng QI, Lee DH, Choi JH, Kim SK. A Health Performance Evaluation Model of Building Indoor Air Quality.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cological Architecture and Environment. 2010 Jun;10(3):3-10.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연구과제 타임라인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