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사의 의사결정역량, 간호전문직관, 직무만족이 이직충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ecision Making Competency, Nursing Professionalism, and Job Satisfaction on Turnover Impulse among Nurses 원문보기

간호행정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19 no.5, 2013년, pp.658 - 667  

윤현경 (호원대학교 간호학과) ,  최지혜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간호학부) ,  이은영 (아주대학교 간호대학원) ,  이해영 (호서대학교 간호학과.기초과학연구소) ,  박미정 (호서대학교 간호학과.기초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effects of decision making competency, nursing professionalism and job satisfaction on turnover impulse, and identify factors contributing to turnover impulse among nurses. Methods: The study was a descriptive study with 231 nurses from 4 general ter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간호사 이직 예방을 위한 간호중재 프로그램의 주요 개념으로 활용 가능성이 높은 이직에 대한 막연하고 충동적인 생각인 이직충동을 간호사의 이직을 예측하는 변인으로 선택하여 그 정도를 확인하고자 한다. 또한 간호중재 제공시 환경 및 구조적 요인들보다 비교적 변화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되는 간호사의 업무 자신감과 애착과 관련된 의사결정역량, 간호전문직관, 직무만족이 이직충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간호 인력 관리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 시 현실적이고 활용 가능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간호사의 의사결정역량, 간호전문직관, 직무만족이 이직충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선행연구들(Cho & Sung, 2012; Han, Kim, & Yun, 2008; Kim, 2011)에서 규명된 간호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연령, 결혼상태, 교육수준 등과 같은 개인적 요인과 급여, 승진, 복지후생, 의사와의 관계, 관리감독 등과 같은 근무환경적 요인, 그리고 직무 스트레스, 내부마케팅, 조직몰입도, 감정지능, 소진, 역할 모호성, 도덕적 고되 등과 같은 조직적 요인 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간호사가 자신의 업무에 대해 갖는 자신감과 애착 정도를 확인해 볼 수 있는 의사결정역량, 간호전문직관, 그리고 직무만족에 주목하였다. 우선 의사결정역량은 병원 내 다양한 직종들과 상호작용하면서 원하는 결과를 이끌어내기 위해 매순간 적절한 행동을 결정해야만 하는 간호사에게 반드시 필요로 되는 업무 능력으로(Park, Park, Yoo, & Kim, 2008), 비록 의사결정역량과 이직의도와의 관계를 확인한 연구를 찾아볼 순 없지만, 의사결정역량은 간호사의 업무에 대한 자신감을 증가시킴으로서 이직의도 또한 감소시킬 수 있으리라 예측할 수 있다.
  • 본 연구에서는 간호사의 의사결정역량, 간호전문직관, 직무만족이 이직충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해 보았다. 간호사들의 업무 중 막연하고 충동적으로 발생하는 이직충동을 낮추어 결과적으로 간호사의 이직률을 낮추기 위해서는, 병원내 간호사들의 간호전문직관과 직무만족을 증진시키는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인력 관리 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한다고 본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사의 의사결정역량, 간호전문직관, 직무만족이 이직충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또한 간호중재 제공시 환경 및 구조적 요인들보다 비교적 변화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되는 간호사의 업무 자신감과 애착과 관련된 의사결정역량, 간호전문직관, 직무만족이 이직충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간호 인력 관리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 시 현실적이고 활용 가능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그러나 이직충동과 이직활동에 영향을 주는 선행요인은 서로 상이하므로, 이직충동과 이직활동은 서로 다른 접근 방법을 통해 관리가 이루어져야 한다(Hwang & Moon, 2012).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간호사 이직 예방을 위한 간호중재 프로그램의 주요 개념으로 활용 가능성이 높은 이직에 대한 막연하고 충동적인 생각인 이직충동을 간호사의 이직을 예측하는 변인으로 선택하여 그 정도를 확인하고자 한다. 또한 간호중재 제공시 환경 및 구조적 요인들보다 비교적 변화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되는 간호사의 업무 자신감과 애착과 관련된 의사결정역량, 간호전문직관, 직무만족이 이직충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고자 한다.
  • 그러나 열악한 노동 강도와 근로환경으로 인한 현재의 경력 간호사들의 이직 급증 현상이 의료 서비스의 질 저하와 국민 건강을 위협할 가능성이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Cho & Sung, 2012), 간호 인력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간호사가 되는 길을 넓혀 주는 접근 방법보다는 재직 간호사들의 병원 이탈을 예방하여 의료 서비스의 질적 수준을 보장할 수 있는 문제 해결 방법이 우선시 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간호사의 이직 예방을 위한 정책과 프로그램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종합병원 간호사들의 이직충동을 파악하였고, 간호사들이 현재의 일터에서 업무를 계속하도록 동기부여를 할 수 있는 의사결정역량, 간호전문직관, 직무만족이 이직충동에는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함께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 인력의 필요와 수요가 급증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최근 들어 우리나라는 건강에 대한 관심 증가, 간호관리료 차등제 시행, 노인인구 및 요양병원 시설 증가, 의료기관 증축 및 증가로 인해 간호 인력의 필요와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Kim, 2011). 그러나 필요 인력의 이탈을 의미하는 간호사의 평균 이직률 또한 2005년 9.
간호사가 타 직종에 비해 이직률이 높은 이유는 무엇인가? 6%로 타 직종에 비해 간호사가 차지하는 비율이 월등하게 높다 (You, 2013). 그러나 간호사들은 결혼, 출산 및 육아 등과 같은 개인적인 이유와 직장 생활 부적응 및 업무량 과중 또는 직장 내 인간관계 어려움 등과 같은 업무와 관련된 이유로 병원을 그만두는 경우가 많아 타 직종에 비해 이직률 또한 높은 편이다(Kim, 2011).
이직충동이 간호 인력의 이탈을 미연에 방지하고자 하는 중재프로그램의 주요 개념으로 활용 가능한 이유는 무엇인가? 이직의도란 고용된 직장을 떠나거나 옮기려 하는 것으로(LeVasseur, Wang, Mathews, & Boland, 2009), 이직을 시도했던 실제적인 경험인 이직활동과 아직은 시도되지 않았으나 이직에 대한 의향인 이직충동 모두를 의미한다(Hwang & Moon, 2012). 이직활동과 이직충동은 그 자체가 이직을 의미하지는 않지만 이직으로 이어질 확률이 높아 이직의 주요한 예측변인으로 활용될 수 있다(Carr, Boyar, & Gregory, 2008). 뿐만 아니라 이직충동의 경우 실질적으로 구직활동을 실행했던 이직활동과는 달리 이직을 하고 싶다는 막연하고 충동적인 생각만이 머물러 있는 단계이기 때문에(Hwang & Moon, 2012), 비교적 적은 중재 노력만으로도 이직의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직충동은 간호 인력의 이탈을 미연에 방지하고자 하는 중재 프로그램의 주요 개념으로 활용 가능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Bae, S. Y. (2001). A study on job satisfaction and satisfaction with nursing care as described by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wandong University, Gangneung, Korea. 

  2. Carr, J. C., Boyar, S. L., & Gregory, B. T. (2008). The moderating effect of work-family centrality on work-family conflict, organizational attitudes and turnover behavior. Journal of Management, 34, 244-262. http://dx.doi.org/10.1177/0149 206307309262 

  3. Chang, H. T., Chi, N. W., & Miao, M. C. (2007). Tes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ree-component organizational/occup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occupational turnover intention using a non-recursive model.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70, 352-368. http://dx.doi.org/10.1016/ j.jvb.2006.10.001 

  4. Cho, S. Y., & Sung, M. H. (2012). Factors influencing turnover intention in emergency department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Fundamental Nursing, 19, 503-510. http://dx.doi. org/10.7739/jkafn.2012.19.4.503 

  5. Hampton, G. M., & Hampton, D. L. (2004). Relationship of professionalism rewards, market orientation and job satisfaction among medical professionals: The case of certified nurse midwives.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57, 1042-1053. http://dx.doi.org/10.1016/S0148-2963 (02)00356-9 

  6. Han, J. W., Woo, H. Y., Ju, E. S., Lim, S. H., & Han, S. S. (2013). Effects of nurses' social capital on turnover intention: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ynicism. Journal of Korea Academy Nurse, 43, 617-626. http://dx.doi.org/10.4040/jkan.2013.43. 4.517 

  7. Han, S. S., Kim, M. H., & Yun, E. K. (2008). Factors affecting nursing professionalism. Journal of Korean Academy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4, 73-79. http://dx.doi.org/10.5977/ JKASNE.2008.14.1.073 

  8. Hwang, C. H., & Moon, M. J. (2012). Determining factor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turnover intention, and turnover action: Focused on the Korea Land and Housing Corporation. The Korean Society for Public Personnel Administration, 11, 245-272. 

  9. Jaramillo, F., Mulki, J. P., & Solomon, P. (2006). The role of ethical climate on salesperson's role stress, job attitudes, turnover intention, and job performance. Journal of Personal Selling and Sales Management, 28, 333-344. http://dx.doi. org/10.2753/PSS0885-3134260302 

  10. Jeong, J. H., Kim, J. S., & Kim, K. H. (2008). The risk factors influencing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4 , 35-44. 

  11. Kang, K. N. (2012). Factors influencing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in small-medium sized hospita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8 , 155-165. 

  12. Kim, H. K., & Lee, M. H. (2011). Factors influencing resilience of adult children of alcoholics amo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41, 642- 651. http://dx.doi.org/10.4040/jkan.2011.41.5.642 

  13. Kim, H. Y., Mo, J. H., & Kim, S. H. (2010), The effects of turnover intention on long-term care workers' occupational stress. Korean Governance Review, 19, 205-227. 

  14. Kim, J. K. (2011). Relationships of emotional labor to job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turnover among staff nurses at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Gangneung, Korea. 

  15. Kim, W. K., & Chung, K. H. (2008).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ional self-concept,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in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4 , 287-296. 

  16. Kwon, K. J., Chu, M. S., & Kim, J. A. (2009). The impact of nursing professionalism on the nursing performance, job satisfaction and retention intention among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5 , 182-192. 

  17. LeVasseur, S. A., Wang C. Y., Mathews, B., & Boland, M. (2009). Generational differences in registered nurse turnover. Policy, Politics & Nursing Practice, 10, 212-223. http://dx.doi. org/10.1177/1527154409356477 

  18. Miller, D. C., & Byrnes, J. P. (2001). Adolescents' decision making in social situations: A self-regulation perspective.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22, 237-256. http://dx. doi.org/10.1016/S0193-3973 (01)00082-X 

  19. Miller, V. A., & Drotar, D. (2007). Decision-making competence and adherence to treatment in adolescents with diabetes. Journal of Pediatric Psychology, 32, 178-188. http://dx.doi. org/10.1093/jpepsy/jsj122 

  20. Park, M. J., Oh, D. N., Ham, Y. L., Lim, S. J., & Lim, Y. M. (2012).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decision-making-competency inventory (DMCI) in Korean adolesc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Child Health Nursing, 18, 53-59. http://dx.doi.org/10.4094/jkachn.2012.18.2.53 

  21. Park, M. Y., Park, M. J., Yoo, H. N., & Kim, J. H. (2008). A relationship between self-regulation, job satisfaction, and job regulation of Korean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4 , 321-331. 

  22. Park, S. A., & Yun, S. N. (1992). Measurement of job satisfaction of nurses and health work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2, 316-324. 

  23. Pines, A. M., & Keinan, G. (2005). Stress and burnout: The significant difference.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9, 625-635. http://dx.doi.org/10.1016/j.paid.2005.02.009 

  24. Shin, Y. G. (2001). Human resource management. Seoul: Sinkwang Publishing Co. 

  25. Slavitt, D. B., Stamps, P. L., Piedmont, E. B., & Hasse, A. M. (1978). Measuring nurses' job satisfaction, Hospital & Health Services Administration, 24, 62-76. 

  26. Yeun, E. J., Kwon, Y. M., & Ahn, O. H. (2005). Development of a nursing professional value scal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5, 1091-1100. 

  27. You, S. J. (2013). Policy implications of nurse staffing legislation.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3, 380-389. http://dx.doi.org/10.5392/JKCA.2013.13.06.38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