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대학생의 학습유형과 대학 수학교과의 학업성취도 관계 연구 - 수도권 중규모 대학교의 이공대학 신입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styles of students and academic achievement in mathematics - Focusing on freshmen enrolled in a college of science and engineering of the medium-sized university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E: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v.27 no.4, 2013년, pp.473 - 486  

이경희 (대진대학교) ,  이성진 (대진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자연대학과 공과대학 신입생들의 학습유형을 살펴보고, 학습유형과 대학수학교과의 학업성취도 간 관계를 탐색하여 학습자의 학습유형에 보다 적합한 대학수학교과 수업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Kolb의 LSI에 대한 신뢰도분석을 한 후 수도권 중규모 대학교의 자연대학과 공과대학 신입생 282명을 대상으로 LSI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학습자 유형은 수렴형, 동화형, 조절형, 확산형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추상적개념화(AC)와 학업성취도 간에는 정적상관관계가, 구체적경험(CE)과는 부적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수렴형이 조절형과 확산형보다 학업성취도가 높았다. 넷째, 학습유형과 학업성취 도간 상관관계에 있어서 연구대상자의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수학의 학문적 특성과 학습자의 학습유형을 고려하는 맞춤형의 다양한 교수-학습전략의 필요성과 함께, 4단계의 학습사이클을 개별 학습자가 효과적으로 개발할 수 있도록 하는 수업방법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s the learning styles of freshmen enrolled in a college of science and engineering, and analyses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styles and academic achievement in mathematic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teaching-learning methods, which are more suitable to learning styles of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Kolb의 경험학습모형을 중심으로 수도권 중규모대학교 자연대학과 공과대학 신입생의 학습사이클의 단계와 학습유형, 그리고 대학수학교과의 학업성취도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자연대학과 공과대학 신입생의 학습유형 중 가장 많은 유형은 수렴형(46.
  • 본 연구는 수도권의 중규모대학교 자연대학과 공과대학 신입생의 학습유형을 분석하고, 학습사이클의 단계및 학습유형과 대학수학교과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를 분석함과 함께 연구대상자의 인구학적 특성별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대학수학교과의 교수-학습 전략을 모색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수도권의 중규모대학교 자연대학과 공과대학 신입생의 학습유형을 분석하고, 학습사이클의 단계및 학습유형과 대학수학교과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를 분석함과 함께 연구대상자의 인구학적 특성별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대학수학교과의 교수-학습 전략을 모색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학습유형은 수렴형(46.
  • 특히, 최근의 교육방향이 학습자 중심교육을 강조하면서 교수법 또한 기존의 일방적 강의식의 주입식 교육에서 벗어나 학습자 요구 파악과 학습자의 학습능력을 고려한 방향으로 전환하고 있기 때문에, 학습자의 학습유형에 적합한 교수-학습과정이 되도록 학습환경 설계 시 이를 고려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이공대학 신입생들의 학습유형을 살펴보고, 학습유형과 수학교과 학업성취도와의 관계를 탐색하여 보다 학습자 적응적인 수학교과의 수업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가설 설정

  • 넷째, 연구대상자의 특성에 따라 학습유형과 학업성취도 간에 차이가 있는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습유형이란? 학습과 관련한 수행에 영향을 주는 요인 중 학습에 가치 있는 통찰을 제공하는 하나의 개념이 학습 유형(learning style)이다(Cassidy & Eachus, 2000). 학습유형은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와 학습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있는 개인차에 관련된 개념으로서, 기존의 학습유형 연구자들은 학습유형에 의한 학습자의 분류가 학업성취도를매우 잘 예측한다고 보고하고 있다(Sternberg and Grigorenko, 1997). 학습상황에서 개인들이 선택하거나 경향성을 보이는 접근방식이 학업수행(performance)과 학습 성취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고있고(Cassidy, 2004), 학생들 역시 각자의 학습유형에 따라 학습방법을 달리 모색함으로써 과제수행 능력이 향상되고 교과에 대한 자기효능감과 긍정적인 학습태도를 나타내고 있다(김정미, 2010).
학문적 흥미나 계열성을 미처 갖추지 못하고 교과 수업에 참여하고 있는 대학생들이 많음을 예측할 수 있는 근거는? 현재 우리나라의 대학진학률은 OECD국가 중 최고이나 많은 대학생들이 성적에 맞추어 대학을 선택하는 경우(34.8%)가 1/3이상이고, 전공 선택 시 학문적 흥미 및 적성을 고려하는 것이 절반 정도(51.5%)인 점(정재호,이윤혜, 2013)으로 미루어볼 때, 학문적 흥미나 계열성을 미처 갖추지 못하고 교과 수업에 참여하고 있는 대학생들이 의의로 많음을 예측할 수 있다. 특히, 대학입학전형에서 문․이과 교차지원을 허용하고 있는 상황에서 자연대학이나 공과대학에 진학한 학생들 중 전공학습을 위한 기초교과인 수학 관련 교과에서 흥미를 느끼지 못하거나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고, 각 대학들은 이를 위한 다양한 대안을 실시하고 있다.
경험학습이론에 따른 학습이란? 학습유형 연구의 이론적 기초를 제공한 경험학습이론(Experiental Learning Theory)에 따르면(Kolb, 1984; Javis, 1987; 2006), 학습은 결과가 아닌 과정이며, 모든 학습은 재학습이다. 또한 학습은 세상을 바라보는 반대되는 양 극단의 적응양식(modes of adaptation)간의 갈등을 해결하는 것이고, 세상에 대한 통합적 적응의 과정이며, 개인과 환경간의 공동작용적인 교류(synergetic transaction)로부터 도출되고, 지식을 창조하는 과정이다(Kolb & Kolb, 2005: p.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7)

  1. 강건우 (2002). 공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학습양식과 수학 성취도의 변인별 분석. 연세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강명희.박성희 (1998). 웹기반 훈련(WBT)에서 학습 스타일에 따른 학습자-강사 상호작용과 성취도 비교. 기업교육연구, 1(1), 43-60. 

  3. 강명희.권윤성 (2000). 웹기반토론에서 학습스타일에 따른 학습자간 상호작용의 유형 및 토론능력 비교. 교육과학연구, 31(3). http://riss.re.kr. 2013.08.12. 

  4. 권정희.이재경 (2002). 웹기반 학습환경에서 학습양식이 학업성취 및 웹기반 학습자 지원기능 선호에 미치는 영향. 교육공학연구, 15(1), 301-330. 

  5. 김미라 외 4인 (2006). 의과대학생의 학습양식의 특성과 학업성취의 관계. 한국의학교육, 18(2), 133-140. 

  6. 김정대 (1985). 중학생의 학습유형 및 학업성취도의 변인별 분석. 연세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정미 (2010). 간호대여학생의 성격유형, 학습유형, 자기주도성 및 학업성취도간의 관계. 미래청소년학회지, 7(2), 1-25. 

  8. 김효성 (1997). 초등학교 수학에서 학습유형의 원리 적용력, 문제해결력 및 태도에 이치는 영향. 서강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박상분 (2001). 중학생의 수학과 수준별 행동특성과 학습유형 연구.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박성열.구병두.이풍길 (1997). 고등학교 학생들의 학습유형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농업교육과 인작자원개발, 29(1), 161-169. 

  11. 박재항 (1997). 중학교 학습양식과 TA 자아상태가 수학적 문제 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서강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신현용 (2003). 교사양성 대학 수학교육과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방법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 42(4), 431-452. 

  13. 양선희 외 6인 (2012). 일대학 간호대학생의 학습유형에 따른 학업성취도,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및 비판적 사고 성향. 기본간호학회지, 19(3), 334-342. 

  14. 양은경.황우형 (2005). 수학학습유형과 문제 해결 전략.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 44(4), 565-586. 

  15. 안경주.김동옥 (2006). 임상간호사들의 학습유형과 선호하는 학습방법관의 관계. 간호행정학회지, 12(1), 140-150. 

  16. 안경주 (2007). 국내 간호학과 학생들의 학습유형과 선호하는 학습방법과의 관계.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3(1), 13-22. 

  17. 임세영 외 4인 (2012). Kolb학습유형검사의 한글버전 개발.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논문지, 4(1), 30-44. 

  18. 이세나.한석실.이승훈 (2007). 수학학습유형과 학년에 따른 초등학생의 수학불안에 관한 연구. 아동학회지, 28(6), 1-16. 

  19. 전명남 (2004). Kolb-McCarthy 학습유형에 따른 심층학습의 차이. 교육심리연구, 18(4), 279-292. 

  20. 전현경 (2002). 학습양식과 대학전공과의 상관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정재호.이윤혜 (2013). 대학전공선택의 배경과 노동시장: 4년제 대학생을 중심으로. KRIVET Issue Brief.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2. 최승현.박지현.남금천 (2013). 핵심역량에 기초한 중학교 수학수업 방안 탐색,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 27(2), 99-119. 

  23. 하주영 (2011). 간호대학생의 학습유형과 학습태도 및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7(3), 355-364. 

  24. 홍경선.김동익 (2011). 공학교육에서 학생 생성 질문 교수학습방법을 적용한 수업 사례 연구. 공학교육연구, 14(6), 24-30. 

  25. Ayersman, D. J. (1993). An overview of the research on learning styles and hypermedia environment. ERIC Document: ED356756. 

  26. Block, D. & Cameron, D. (Eds)(2002). Globalization and language teaching. London & New York: Routledge. 

  27. Carthey, J. H. (1993).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styles and academic achievement and brain hemispheric dominance and academic performance in business and accounting courses. ERIC Document: ED374412. 

  28. Cassidy, S. (2004). Learning style: An overview of theory, models, and measures. Educational Psychology: An International Journal of Experimental Educational Psychology, 24(4.), 419-444. 

  29. Cassidy, S. & Eachus, P. (2000). Learning style, academic belief systems, self-report student proficiency and academic achievement in higher education. Educational Psychology, 20, 307-322. 

  30. DeCoux, V.M. (1990). Kolb's learning styles inventory: A review of its applications in nursing research.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29(5), 202-207. 

  31. Fox, R. L., & Ronkowski, S. A. (1997). Learning style of political science students. Political Sci Politics, 30(4), 732-737. 

  32. Javis, P. (1987). Adult learning in the social context. London: Groom Helm. 

  33. Javis, P. (2006). Towards a comprehensive theory of human learning.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Falmer Press. 

  34. Jonassen, D. A. & Grabowski, B. L. (1993). Handbook of individual differences, learning and instruction.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 Publishers. 

  35. Karuppan, C. M. (2001). Web-based teaching materials; a user's profile. Internet Research, 11(2), 138-148. 

  36. Kolb, A. Y & Kolb, D. A. (2005). Learning styles and learning spaces: Enhancing experiential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Academy of Management Learning and Education, 4(2), 193-212. 

  37. Kolb, D. A. (1984). Experiential learning: Experience as the source of learning and development.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38. Kolb, D. A. (2000). Experience Based Learning System. Boston: HayGroup. 

  39. Kreber, C. (1998).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critical thinking, and psychological type, and some implications for teaching in higher education. Studies in Higher Education, 23(1), 1-86. 

  40. McCarthy, B. (1981). The 4MAT system: Teaching in learning styles with rightleft mode techniques(2nd ed.). Oak Brook, IL: Excel, Inc. 

  41. McCarthy, B. (1987). The 4MAT system: Teaching in learning styles with rightleft mode techniques. Revised Edition. Oak Brook, IL: Excel, Inc. 

  42. Riding, R. J. & Rayner, S. (2002). Cognitive style and learning strategies: Understanding style differences in learning and behavior. London: David Fulton Publication. 

  43. Stradley, S. L., Buckley, B. D., Kaminsky, T. W., Horodyski, M., Fleming, D., & Janelle, C. M. (2002). A nationwide learning-style assessment of undergraduate athletic training students in CAAHEP-accredit athletic training programs. Journal of Athletic Training, 37(4), 114-146. 

  44. Sternberg, R. J. & Grigorenkio(1997). Are Cognitive styles still in style? American Psychologist, 52(7), 700-712. 

  45. Suliman, W. A. (2010).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style, emotional social intelligence, and academic success of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 Journal of Nursing Research, 18(2), 136-143. 

  46. Wells, D. & Higgs, Z. R. (1990). Learning styles and learning preference of first and fourth semester baccalaureate degree nursing students.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29(9), 385-390. 

  47. Zohgi, M., Brown, T., Williams, B., Roller, L., Jaberzadeh, S., & Palermo, C., et al., (2010). Learning style preferences of Australian health science students. Journal of Allied Health, 39(2), 95-10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