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논문]재해예방형 도시계획 수립 지원을 위한 도시의 기후변화 재해 취약성 분석방법 연구 A Study on the Methods to Analyze Climate Change Driven Urban Disaster Vulnerability for Disaster Preventive Urban Planning원문보기
기후변화 영향으로 도시에서의 재해가 점차 대형화, 다양화되는 추세이다. 재해에 안전한 도시를 조성하기 위해 도시계획 수립단계부터 재해취약지역을 고려한 토지이용, 기반시설, 건축물 등의 계획 수립체계를 마련해야 한다. 국토교통부는 2011년 12월 15일 도시계획 수립지침을 개정하여 재해 취약성 분석을 도입하였다. 2012년 7월 이후 도시계획을 수립변경하는 과정에서 기후변화에 따른 재해 취약성 분석을 시행하고 이를 반영토록 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기후변화 재해 취약성분석 사례를 고찰하고, 기후변화 재해 취약성 분석의 지표를 설정하였다. 실질적인 분석을 위한 재해 취약성 분석 지표는 폭우, 폭염, 폭설, 가뭄, 강풍, 해수면 상승에 대한 현재 및 미래 재해 취약성에 대해 분석 가능하도록 도출되었다. 현재 및 미래 재해 취약성 분석 결과를 중첩하여 도시 종합 재해 취약성을 분석할 수 있다.
기후변화 영향으로 도시에서의 재해가 점차 대형화, 다양화되는 추세이다. 재해에 안전한 도시를 조성하기 위해 도시계획 수립단계부터 재해취약지역을 고려한 토지이용, 기반시설, 건축물 등의 계획 수립체계를 마련해야 한다. 국토교통부는 2011년 12월 15일 도시계획 수립지침을 개정하여 재해 취약성 분석을 도입하였다. 2012년 7월 이후 도시계획을 수립변경하는 과정에서 기후변화에 따른 재해 취약성 분석을 시행하고 이를 반영토록 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기후변화 재해 취약성분석 사례를 고찰하고, 기후변화 재해 취약성 분석의 지표를 설정하였다. 실질적인 분석을 위한 재해 취약성 분석 지표는 폭우, 폭염, 폭설, 가뭄, 강풍, 해수면 상승에 대한 현재 및 미래 재해 취약성에 대해 분석 가능하도록 도출되었다. 현재 및 미래 재해 취약성 분석 결과를 중첩하여 도시 종합 재해 취약성을 분석할 수 있다.
Because of climate change, urban disaster is gradually becoming larger and diversified. In order to create a safe city against disaster, urban planning including land use, infrastructure, buildings planning should consider disaster vulnerable areas in the city. On December 15th, 2011, Ministry of La...
Because of climate change, urban disaster is gradually becoming larger and diversified. In order to create a safe city against disaster, urban planning including land use, infrastructure, buildings planning should consider disaster vulnerable areas in the city. On December 15th, 2011,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revised urban planning guideline and started the disaster vulnerability analysis institution. Since July 1st, 2012, newly established urban planning should conduct the disaster vulnerability analysis and reflect it's results. Therefore, in this study, domestic and foreign examples of climate change disaster vulnerability analysis were examined and the indicators for the disaster vulnerability analysis were established. For the practical analysis, the disaster vulnerability analysis indicators about current and future vulnerability for heavy rain, heat wave, heavy snow, drought, strong winds, sea level rise were drawn. Urban comprehensive disaster vulnerability can be analyzed by overlapping the current and future disaster vulnerability analysis results.
Because of climate change, urban disaster is gradually becoming larger and diversified. In order to create a safe city against disaster, urban planning including land use, infrastructure, buildings planning should consider disaster vulnerable areas in the city. On December 15th, 2011,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revised urban planning guideline and started the disaster vulnerability analysis institution. Since July 1st, 2012, newly established urban planning should conduct the disaster vulnerability analysis and reflect it's results. Therefore, in this study, domestic and foreign examples of climate change disaster vulnerability analysis were examined and the indicators for the disaster vulnerability analysis were established. For the practical analysis, the disaster vulnerability analysis indicators about current and future vulnerability for heavy rain, heat wave, heavy snow, drought, strong winds, sea level rise were drawn. Urban comprehensive disaster vulnerability can be analyzed by overlapping the current and future disaster vulnerability analysis result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