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아교사가 생각하는 만 3세 교실에서 '책을 통한 유아들 간의 의견나누기' 활동에 대한 교육적 의미
A Pre-school Teacher's Educational Meaning of an Activity : 'Discourse between Children through Books' in 3-year-old Children's Classroom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9 no.6, 2013년, pp.339 - 368  

서혜정 (제주한라대학교 유아교육과) ,  윤경옥 (백석예술대학교 유아교육과)

초록

본 연구는 만 3세 유아들의 궁금증을 해결하는 방법으로써 '책을 통한 유아들 간의 의견나누기' 과정을 통해 만 3세 유아들의 존재와 그 의미를 찾아가는데 목적이 있다. 자료 수집은 2010년 4월 2일부터 9월 10일까지이며, 수집한 자료는 교사의 수업 기록물, 사진, 협의노트, 면담 자료이다. 연구결과, 책을 통한 유아들 간의 의견나누기는 유아가 탐구할 주제 정하기, 유아의 궁금증을 해결할 적합한 책 선정하기, 책의 그림으로 유아간의 대화 시간, 이해를 공유하는 과정이 있었다. 이 과정을 통해 유아교사는 도움이 필요하지만 능력, 아이디어, 그리고 탐구 의욕이 많은 유아들을 만났다. 유아교사는 유아에게 어려울 것이라는 지식 그림책에 대한 선입견을 해소하였으며, 유아들이 학습을 주도함으로써 다양한 수업을 경험하였다. 지식 그림책은 유아의 대화 통로가 되어 유아들에게 사고가 담긴 앎 체득으로 작용함으로써 '책을 통한 유아들 간의 의견나누기' 활동이 유아주도적인 탐구학습 교수 전략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discover how three-year-old children to search for existence and its meaning, while they participate a programme, 'discourse among children through books' as a way of resolving curiosities. Data were collected between April 2, September 10, 2010 and the collected data included tea...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식구성은 무엇을 통해 형성하는가? 교육활동에 있어 교사가 학생 간의 진정한 대화는 능동적 지식구성을 위한 매우 필요한 요인이며, 지식구성은 자신과 타인간의 상호작용적 대화를 통해 형성하는 것이므로 유아는 자기의 말을 진정으로 들어주는 청자를 만나야 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교사는 진정한 대화를 통해 학습자 스스로가 능동적으로 자신의 학습과 발달을 조장하므로 최적의 교육적 환경인 대화적 환경을 제공해야 한다.
만 3세 유아들의 궁금증을 해결하는 방법으로써 '책을 통한 유아들 간의 의견나누기'과정을 통해 만 3세 유아들의 존재와 그 의미를 찾아가기 위하여 연구한 결과는? 자료 수집은 2010년 4월 2일부터 9월 10일까지이며, 수집한 자료는 교사의 수업 기록물, 사진, 협의노트, 면담 자료이다. 연구결과, 책을 통한 유아들 간의 의견나누기는 유아가 탐구할 주제 정하기, 유아의 궁금증을 해결할 적합한 책 선정하기, 책의 그림으로 유아간의 대화 시간, 이해를 공유하는 과정이 있었다. 이 과정을 통해 유아교사는 도움이 필요하지만 능력, 아이디어, 그리고 탐구 의욕이 많은 유아들을 만났다. 유아교사는 유아에게 어려울 것이라는 지식 그림책에 대한 선입견을 해소하였으며, 유아들이 학습을 주도함으로써 다양한 수업을 경험하였다. 지식 그림책은 유아의 대화 통로가 되어 유아들에게 사고가 담긴 앎 체득으로 작용함으로써 '책을 통한 유아들 간의 의견나누기' 활동이 유아주도적인 탐구학습 교수 전략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교육활동에 있어서 교사가 학생 간의 진정한 대화는 무엇을 위해 필요한 요인인가? 교육활동에 있어 교사가 학생 간의 진정한 대화는 능동적 지식구성을 위한 매우 필요한 요인이며, 지식구성은 자신과 타인간의 상호작용적 대화를 통해 형성하는 것이므로 유아는 자기의 말을 진정으로 들어주는 청자를 만나야 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교사는 진정한 대화를 통해 학습자 스스로가 능동적으로 자신의 학습과 발달을 조장하므로 최적의 교육적 환경인 대화적 환경을 제공해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김미숙, 최미숙(2005). 그림책을 활용한 과학통합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과정기술 및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0(2), 1-20 

  2. 김수향(2008). 교사-유아 이야기 나누기 시간에 나타난 교사의 질문방법 및 언어적 상호작용 분석. 아동교육, 17(1), 81-94. 

  3. 김유정, 이지현(2004). 생활문제 중심의 소집단 이야기 나누기가 유아의 수연산 발달에 미치는 효과. 유아교육연구, 24(1), 165-185. 

  4. 김정래(2000). 아동권리협약과 아동의 이익. 한국아동권리학회 추계학술대회자료집, 9-21. 

  5. 김현희, 박상희(2003). 유아문학교육(8쇄). 서울: 학지사. 

  6. 김혜선, 조복희(2002). 이야기 나누기 활동과 프로젝트 활동에서의 교사와 또래의 scaffolding 분석. 유아교육연구, 22(3), 125-151. 

  7. 서혜성, 고민경(2013). 보육교사의 반성적 저널을 통해 나타난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분석: 그림책 활동을 중심으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4), 159-184. 

  8. 서혜정, 윤경옥(2013). 컨설팅 장학에서 컨설턴트의 역할과 유치원 교사의 경험에 대한 의미. 유아교육학논집, 17(5), 137-164. 

  9. 송순옥, 최미숙(2013). 그림책을 활용한 정서표현활동이유아의 정서지능 및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0(1), 43-78. 

  10. 심향분(2011). 정보그림책 읽기에서 교사의 역할. 한국유아교육학회(정기학술발표 논문집), 11(1), 143. 

  11. 심향분, 성소영(2011). 그림책 읽기 맥락에서 또래 상호작용의 탐색: 소집단활동을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31(1), 325-350. 

  12. 심향분, 현은자(2009). 유아들의 정보그림책 읽기과정 탐구. 유아교육연구, 29(5), 225-244. 

  13. 유수경(2007).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이야기 나누기시간'의 의미. 아동학회지, 28(3), 267-285. 

  14. 유혜령(2004). 유아교육에 있어서의 대화와 이해. 2004-4 KCCT 월례강좌. 

  15. 이지현(1995). 또래간 상호작용의 내용 및 효율성에 대한 질적믄석. 유아교육연구, 15(2), 105-133. 

  16. 이철환, 김종희, 정재흠, 하동훈(2000). 초등학교 사회과 협동 학습을 위한 인터넷 통신 활용방안. 정보교육학회논문지, 5(1), 344-359. 

  17. 임부연 유정미, 류미향(2010). '내러티브'중심 이야기나누기시간에서 유아들의 지식형성에 대한 의미 탐구. 유아교육연구, 30(4), 123-143. 

  18. 임춘금(2007). 그림책을 활용한 이야기나누기가 유아의 언어능력 및 마음이론 발달에 미치는 영향. 아동교육, 16(4), 223-233. 

  19. 임희준, 노태희(2001). 이질적으로 구성된 소집단 협동학습에서의 언어적 상호작용.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1(4), 668-676. 

  20. 임향교, 서은경(2006). 명품꼬마자연관찰: 꽃을 사랑하는 나비와 나방. 서울: 한국차일드아카데미. 

  21. 정남미(2011). 그림책 중심 놀이 프로그램이 유아의 놀이성과 놀이행동,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15(2), 267-289. 

  22. 정환금(1995). 미래를 향한 열린 교육의 이상에 대한 토론(I). 열린교육연구, 3(2), 21-24. 

  23. 조정숙, 유향선, 김은심(2007). 유아언어교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 : 파란마음. 

  24. 최형주, 김영주(2008). 그림책을 활용한 용서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공격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지, 4(2), 156-179. 

  25. 허미애(2007). 우리나라 유치원에서의 이야기나누기에 대한 역사적 고찰. 유아교육학논집, 11(3), 181-205. 

  26. 허미애(2008). 유아교사의 사고성향수준과 질문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12(2), 233-257. 

  27. Apple, M. W. (2002). Official knowledge : Democratic education in a conservative age, 학교지식의 정치학(2쇄)(박부권, 심연미, 김수연 옮김). 서울 : 우리교육. 

  28. Banner, J. M., & Cannon, H. C. (2003). The elements of teaching, 훌륭한 교사는 이렇게 가르친다(이창신 옮김). 서울 : 풀빛. 

  29. Berk, L. E., & Winsler, A. (1995). Scaffolding children's learning : Vygotsky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어린이들의 학습에 비계 설정(scaffolding)-비고스키와 유아교육(홍용희 옮김). 서울 : 창지사(원판 1995). 

  30. Cazden, C. B. (2001). Classroom discourse: The language of teaching and learning(2nd ed.). Portsmouth, NH : Heinemann. 

  31. Dahlberg, G., Moss, P., & Pence, A. (1999). Beyond qualit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Postmodern Perspectives. London and New York : RoutledgeFalmer. 

  32. Dewey, D. (1995). Experience and education, 경험과 교육(강윤중 옮김). 서울 : 배영사. 

  33. Freire, P. (1997). Pedagogy of the oppressed, 페다고지: 억눌린자를 위한 교육(3쇄)(성찬성 옮김). 서울 : 한마당. 

  34. Freire, P. (2003). Teachers as cultural workers, 프레이리의 교사론(10쇄)(교육문화연구회 옮김). 서울 : 아침이슬. 

  35. Freire, P. (2006). Pedagogy of hope, 희망의 교육학(3쇄)(교육문화연구회 옮김). 서울: 아침이슬. 

  36. Fu, V., Stremmenl, A. J., & Hill, L. T. (2001). Teaching and learning. Merrill Prentice Hall. 

  37. Lancy, D. F. (1994). Children's emergent literacy: from research to practice. USA : Greenwood. 

  38. McGee, L. M., & Richgels, D. J. (2000). Literacy's beginings, 영유아의 문해 발달 및 교육(김명순, 신유림 옮김). 서울 : 학지사. 

  39. Merleau-Ponty, M. (2005). Le langage indirect et lex voix du silence, 간접적인 언어와 침묵의 목소리(김화자 옮김). 서울 : 책세상. 

  40. Tschapka, J. (2007). Taken serious-How to involve teachers and students into AR process. 청주대학교 국제학술대회, 65-72. 

  41. von Glasersfeld, E. (1999). Redical constructivism: A way of knowing and learning, 교육과 구성주의(김판수, 박수자, 심성보, 유병길, 이형철, 임채성, 허승희 옮김). 서울 : 원미사(원판 1995). 

  42. Woolfolk, A. E. (2001). Educational psychology, 교육심리학(김아영, 백화정 설인자, 양혜영, 이선자, 정명숙 옮김). 서울 : 학문사(원판 1980). 

  43. Wahl, S. (2007). Understanding the graduate diploma process. 청주대학교 국제학술대회, 27-38. 

  44. Wu, L. J., & Tyan, N. C. (2007). Action research-The bridge of transition. 청주대학교 국제학술대회, 2-14. 

  45. Young, R. E. (2003). A critical theory of education : Habermas and our children's future, 하버마스, 비판이론, 교육(이정화, 이지헌 옮김). 서울 : 교육과학사. 

  46. Zhending, H. (2007). Two norms in action research in teacher education. 청주대학교 국제학술대회, 59-6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