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ISSR 표지자를 이용한 느릅나무 자연집단의 유전변이 분석
Population Genetic Variation of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in South Korea Based on ISSR Markers 원문보기

韓國林學會誌 =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v.102 no.4, 2013년, pp.560 - 565  

안지영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유전자원과) ,  홍경낙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유전자원과) ,  이제완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유전자원과) ,  양병훈 (산림청 산림환경보호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내의 느릅나무(Ulmus davidiana var. japonica) 집단에 대한 유전구조와 유전다양성을 분석하였다. 느릅나무 7개 자연집단, 171개체에 대하여 7개 ISSR 표지자를 이용하여 총45개의 다형적 증폭산물을 확인하였다. 유효대립인자와 다형적 유전자좌 비율의 평균값은 1.5개와 89%이었다. Shannon의 다양성 지수(I)가 0.435, 빈도주의 방법에 의한 이형접합도 기대치($H_e$)는 0.289, 베이즈 추정에 의한 이형접합도 기대치(hs)가 0.323으로 나타났다. AMOVA 분석에서 느릅나무 집단의 유전변이 중 4.2%가 집단간 차이(${\Phi}_{ST}=0.042$)에 기인하였으며, 95.8%를 집단내 개체들이 보유하고 있었다. 베이즈 추정에 의한 집단간 유전분화율(${\theta}^{II}$)은 0.043으로 나타났다. 국내 느릅나무 집단의 유전다양성은 다른 느릅나무속 수종과 유사한 수준에 해당하였으나, 집단간 유전분화 정도는 매우 낮았다. 베이즈 근사추정에서 집단별 고정지수(평균 $PS-F_{IS}=0.822$)나 집단 특이적 유전분화율(평균 $PS-F_{ST}=0.101$)에서 유의할 만한 차이를 보이는 집단은 없었다. 군집분석주성분분석에서 7개의 집단들을 3개 군집으로 나눌 수 있었으나, 두 방법의 군집 양상은 일치하지 않았다. 또한 베이즈 군집분석에서 집단간 유연관계와 지리적 분포의 상관성을 확인할 수 없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opulation genetic structure and diversity of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in South Korea were studied using ISSR markers. A total of 45 polymorphic ISSR amplicons were cropped from 7 ISSR primers and 171 individuals of 7 populations. The average of effective alleles and the proportion of polymorp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식물종의 효과적인 유전자원 보존을 위해서는 해당 자원에 대한 유전변이 분포 정보가 필수요건중 하나이다(Kramer and Havens, 2009). 본 연구는 느릅나무 유전자원 보존을 위해 필요한 느릅나무 집단의 유전다양성과 유전구조를 ISSR 표지들을 이용하여 파악하고, 집단간 유연관계를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가설 설정

  • 043으로 추정되었다(Table 5). 베이즈 추론의 모델 선택에서 집단내 근친교배와 유전분화 발생을 가정한 Full 모델의 편차정보기준(DIC=1376.27)이 최소로 계산되어서 최적 모델로 선정하였다. Full 모델에서 입력자료의 정보량은 근친교배율(f; IE=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느릅나무란? 느릅나무(Ulmus davidiana var. japonica)는 느릅나무과 (Ulmaceae)에 속하는 자웅동주의 낙엽활엽교목으로 3-4월에 꽃이 피고, 4-5월에 시과가 익는다. 느릅나무과 수목들은 바람에 의해 수분을 하고 주로 천연하종으로 갱신되는데 맹아 번식도 가능하며, 2n=28의 염색체형을 갖는다.
느릅나무과 수목의 염색체형은? japonica)는 느릅나무과 (Ulmaceae)에 속하는 자웅동주의 낙엽활엽교목으로 3-4월에 꽃이 피고, 4-5월에 시과가 익는다. 느릅나무과 수목들은 바람에 의해 수분을 하고 주로 천연하종으로 갱신되는데 맹아 번식도 가능하며, 2n=28의 염색체형을 갖는다. 세계적으로 느릅나무 속에는 약 30수종이 알려져 있으며, 이중 아시아지역에 20종이 분포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7수종이 보고되어있다(Kim, 1996).
ISSR 표지자의 한계점은? , 2002). 그러나 중합효소반응(PCR; Polymerase chain reaction)에서 우성의 표현 형을 나타내서 정확한 유전자형 정보를 확보할 수 없고, 근친교배 정도나 대립유전자 빈도의 추정에 제약이 있다 (Ouborg et al., 199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Ahn, J.J. and Park, J.H. 2010. Antioxidant activity and protective effect on DNA damage of extracts from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The Journal of Applied Oriental Medicine 10(2): 9-16. 

  2. Cho, K.J., Jung, J.M., Kim, W.W., Kim Y.M., and Hong, Y.P. 2002. Genetic variation of populations of Fraxinus mandshurica Rupr. in korea (Oleaceae) based on I-SSR marker analysis. Proceedings of Korean Forest Society. pp. 114-115. 

  3. Evanno, G., Reanaut, S., and Goudet, J. 2005. Detecting the number of clusters of individuals using the software STRUCTURE: a simulation study. Molecular Ecology 14: 2611-2620. 

  4. Felsenstein, J. 1993. PHYLIP (Phylogeny Inference Pakage) version 3.5c. Distributed by the author. Department of Genetics. University of Washington. Seattle, WA. USA. 

  5. Foll, M., Beaumont, M.A., and Gaggiotti, O. 2008. An Approximate Bayesian Computation Approach to overcome biases that arise when using amplified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markers to study population structure. Genetics 179: 927-939. 

  6. Hans, A.S. 1981. Compatibility and crossbility studies in Ulmus. Silvae Genetica 30(4-5): 149-152. 

  7. Lynch, M., and Milligan, B. 1994. Analysis of population genetic structure using RAPD markers. Molecular Ecology 3: 91-99. 

  8. Hedrick, P.W. 2004. Recent development in conservation genetics.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197: 3-19. 

  9. Holsinger, K.E., Lewis, P.O., and Dey, D.K. 2002. A Bayesian approach to inferring population structure from dominant markers. Molecular Ecology 11: 1157-1164. 

  10. Jang, S.S., Lee, S.W., Kim, C.S., Kim, Y.M., and Kim, H.E. 2003. Genetic diversity and structure of natural populations of Cornus controversa in south korea.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92(1): 42-51. 

  11. Kim, M.Y. and Lee, S.T. 1989. Taxonomical study of the Korean Ulmaceae. Korean Journal of Taxonomy 19(1): 31-78. 

  12. Kim, M.Y. 1996. A Taxonomic study of the Korean Ulmaceae based on morphological characters. Korean Journal of Taxonomy 6(3): 163-181. 

  13. Kim, Z.S., Lee, S.W., and Hyun, J.O. 1993. Allozyme variation in six native oak species in Korea. Annals Forest Science 50: 253s-260s. 

  14. Kramer, A. and Havens, K. 2009. Plant conservation genetics in a changing world. Trends in Plant Science 14(1): 599-607. 

  15. Lee, K.H., Cho, C.H., and Yoon, W.H. 2004. In vivo antitumor activity of Mansonone E isolated from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Nakai. Korean Journal of Pharmacognosy 35(3): 199-202. 

  16. Lee, M.K., Sung, S.H., Lee, H.S., Cho, J.H., and Kim, Y.C. 2001. Lignan and neolignan glycosides from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24(3): 198-201. 

  17. Lee, S.E., Kim, Y.S., Kim, J.E., Bang, J.K., and Seong, N.S. 2004. Antioxidant activity of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N. and Hemipteleae davidii P.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2(4): 321-327. 

  18. Lee, S.T and Kim, M.Y. 1985. A palynotaxonomy study of Korean Ulmaceae.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15(3): 163-174. 

  19. Machon, N., Lefranc, M., Bilger, I. Mazer, S.J., and Sarr, A. 1997. Allozyme variation in Ulmus species from France: analysis of differentiation. Heredity 78: 12-20. 

  20. Nybom, H. 2004. Comparison of different nuclear DNA markers for estimating intraspecific genetic diversity in plants. Molecular Ecology 13: 1143-1155. 

  21. Nybom, H. and Bartish, I.V. 2000. Effects of life history traits and sampling strategies on genetic diversity estimates obtained with RAPD markers in plants. Evolution and Systematics 3(2): 93-114. 

  22. Oubborg, N.J., Piquot, Y., and Groenendael, J.M.V. 1999. Population genetics, molecular markers and the study of dispersal in plants. Journal of Ecology 87: 551-568. 

  23. Peakall, R. and Smouse, P.E. 2006. GENEALEX 6: genetic analysis in Excel. population genetic software for teaching and research. Molecular Ecology Notes 6: 288-295. 

  24. Potenko, V.V., Koren, O.G., and Verkholat, V.P. 2007. Genetic variation and differentiation in populations of Japanese emperor oak (Quercus dentata Thunb.) and Mongolian oak (Quercus mongolica Fisch. ex Ledeb.) in the south of the Russian far east. Russian Journal of Genetics 43(4): 387-395. 

  25. Pritchard, J.K., Stephens, M., and Donnelly, P. 2000. Inference of population structure using multilocus genotype data. Genetics 155: 945-959. 

  26. Reddy, M.P., Sarla, N., and Siddiq, E.A. 2002. Inter simple sequence repeat (ISSR) polymorphism and its application in plant breeding. Euphytica 128: 9-17. 

  27. Sherman-Broyles, S.L., Broyles, S.B., and Hamrick, J.L. 1992. Geographic distribution of allozyme variation in Ulmus crassifolia. Systematic Botany 17(1): 33-41. 

  28. Song, J.H., Kim, N.S., Yi, Y.S., Kim, Y.J., Song, J.M., and Lee, J.S. 2002. Genetic variation of Quercus variabilis in Korea based on RAPD marker analysis. Korean Journal of Genetics 24(2): 189-195. 

  29. Song, J.H., Jang, K.H., Lim, H.I., Park, W.G., and Bae. K.H. 2011. Variation of samara, seed, germination and growth characteristcs of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Nakai populations.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100(2): 226-231. 

  30. Tak, W.S., Choi, C.H., and Kim, T.S. 2006. Change in the seed characteristics and germination properties of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according to seed collection time.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95(3): 316-322. 

  31. Vakkari, P., Mari, R., and Karkkainen, K. 2009. High genetic diffrentiation in marginal populations of European white elm (Ulmus laevis). Silva Fennica 43(2): 185-196. 

  32. Yang, B.H., Han, S.D., Gu, Y.B., and Park, Y.G., 2006. Genetic Variation in the Natural Populations of Korean Stewartia (Stewartia koreana Nakai) Based on I-SSR Analysis. Journal of Korean Plant Resources Society 19(1): 189-195. 

  33. Zalapa, J.E., Brunet, J., and Guries, R.P. 2009. Patterns of hybridization and introgression between invasive Ulmus pumila (Ulmaceae) and native Ulmus rubra. American Journal of Botany 96(6): 1116-1128. 

  34. Zalapa, J.E., Brunet, J., and Guries, R.P. 2010. The extent of hybridization and its impact on the genetic diversity and population structure of an invasive tree, Ulmus pumila (Ulmaceae). Evolutionary Applications 3(2): 157-168. 

  35. Zhang, X.P., Li, X.H., and Qiu, Y.X. 2006. Genetic diversity of the endangered species Kirengeshoma palmata (Saxifragaceae) in China. Biochemical Systematics and Ecology 34: 38-4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