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구급차 내부 디자인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proving the interior design of ambulance 원문보기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v.17 no.3, 2013년, pp.9 - 20  

신동민 (한국교통대학교 응급구조학과) ,  박시은 (조선대학교 대학원 보건학과) ,  박신혜 (경기도소방재난본부 오산소방서)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research project addressed the need to designing more safe and efficient interior of the future ambulance in Korea. Methods: The study sample contained 760 paramedics in 4 districts. Data was collected by using a revised and complemented questionnaire based on literature review. Resul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구체적인 목적으로는 구급차량 내 업무 수행의 효율성과 안전성 인식, 물품적재위치와 구급업무 효율성과 안전성 관련, 구급차 내 업무 수행 시 힘든 점, 응급처치 시행 중 다친 경험 및 손상 원인과 운행 중 구급업무. 구급차 내 심폐소생술 관련 문항과 환자실 공간 등의 실체를 파악하고자 하는 조사 연구이다.
  • 구급차 내부 디자인의 구조 및 기능과 관련된 문제를 파악하고 구급차 주행 중 응급의료 서비스를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방향을 모색하여 한국형 미래 구급차 디자인 개선에 이바지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구급업무의 효율성과 차량 내부의 물품 적재 위치 관계에서 바꾸고 싶은 부분에 관한 응답과 구급차량 내부의 물품 적재 위치와 구급대원의 안전성 관계에서 꼭 바꾸고 싶은 부분에 관한 응답에 대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 구급차 내부 디자인의 구조 및 기능과 관련된 문제를 파악하고 구급차 주행 중 응급의료 서비스를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방향을 모색하여 한국형 미래 구급차 디자인 개선에 이바지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구급업무의 효율성과 차량 내부의 물품 적재 위치 관계에서 바꾸고 싶은 부분에 관한 응답과 구급차량 내부의 물품 적재 위치와 구급대원의 안전성 관계에서 꼭 바꾸고 싶은 부분에 관한 응답에 대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구급차 내부 디자인의 구조 및 기능과 관련된 문제를 파악하고 구급차 주행 중 응급의료 서비스를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방향을 모색하여, 한국형 미래 구급차 디자인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특히 구체적인 목적으로는 구급차량 내 업무 수행의 효율성과 안전성 인식, 물품적재위치와 구급업무 효율성과 안전성 관련, 구급차 내 업무 수행 시 힘든 점, 응급처치 시행 중 다친 경험 및 손상 원인과 운행 중 구급업무.
  • 본 연구는 119 구급대원 750명을 대상으로 구급차 내부 디자인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수집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구급대원으로 근무하고 있는 4개 시·도 소방공무원 등의 구급차량 내 디자인에 관한 의견을 듣고 개선안을 찾아내기 위해 시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구급차 형태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병원전 현장에서 발생된 응급환자를 병원으로 이송하는 도중, 움직이는 구급차에서 응급처치를 시행하는 동안 구급대원과 환자는 안전해야 하며 효율적인 응급의료서비스 제공이 가능해야 한다. 우리나라 구급차 형태는 화물차 개조형인 봉고Ⅲ와 리베로가 있으며, 승합차를 개조한 스타렉스(성우, 오텍), 수입차 개조형 벤츠와 포드가 있는데 승합차량을 개조한 일반형 구급차의 경우 내부 공간이 협소해 이송중 환자와 구급대원 모두가 불편한 실정이다. 또한 구급차 내부 주들것의 위치는 현재 국내 구급차량 대부분 좌측에 위치해 있으며 보조의자는 주들것 옆에 있고 구급대원 전용 의자는 주들것 머리 위에 역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승합차량을 개조한 일반형 구급차는 어떤 문제점이 있는가? 병원전 현장에서 발생된 응급환자를 병원으로 이송하는 도중, 움직이는 구급차에서 응급처치를 시행하는 동안 구급대원과 환자는 안전해야 하며 효율적인 응급의료서비스 제공이 가능해야 한다. 우리나라 구급차 형태는 화물차 개조형인 봉고Ⅲ와 리베로가 있으며, 승합차를 개조한 스타렉스(성우, 오텍), 수입차 개조형 벤츠와 포드가 있는데 승합차량을 개조한 일반형 구급차의 경우 내부 공간이 협소해 이송중 환자와 구급대원 모두가 불편한 실정이다. 또한 구급차 내부 주들것의 위치는 현재 국내 구급차량 대부분 좌측에 위치해 있으며 보조의자는 주들것 옆에 있고 구급대원 전용 의자는 주들것 머리 위에 역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구급차량 내 응급구조사가 안전벨트를 착용하지 않는 이유는 무엇인가? 안전벨트는 착용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그 이유는 불편해서가 가장 많았다. 미국 NIOSH[10]는 안전벨트를 하지 않은 응급구조사가 직면한 위험을 조사했으며 구급차 내 단단하고 날카로운 물체에 부딪히는 것을 예방하는 5점 고정식 안전벨트의 사용과 이동이 용이한 기능성 의자를 제안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Hong SG, Son IA.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the accuracy of chest compression dur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trying in a moving ambulance. J Korean Soc Emerg Med 2009;20(4):343-54. 

  2. Kim KS. Health hazards in firefighters. Hanyang Med Rev 2010;30(4):296-304. 

  3. Paul H. Ambulance re-design to reduce EMS injuries: Influencing design through standards development. NIOSH Division of Safety Research, 2001. 

  4. Go BJ. The study of comparison between korean and unites state of america an ambulance, NREMT in USA training course project 2009;9:249-82. 

  5. Coleman R, Harrow D. Ambulance design for patient safety: a comprehensive design study into how patient and ambulance staff safety can be improved. Royal College of Art, 2006. 

  6. Ibraheem AO, Rand G. Extensions to emergency vehicle location models. Computers & Operations Research 2006;33(9):2725-43. 

  7. Matthews E, Fusari G, Harrow D, Stevens P, Winsor R, Benger J. Redesigning the emergency ambulance: Improving Mobile Emergency Healthcare. Royal College of Art: Redlin Printing, 2011. 

  8. Ferreira J, Hignett S. Reviewing ambulance design for clinical efficiency and paramedic safety. Appl Ergon 2005;36(1):97-105. 

  9. Gilad I, Byran E. Ergonomic evaluation of the ambulance interior to reduce paramedic discomfort and posture stress. Hum Factors 2007;49(6):1019-32. 

  10. NIOSH. Ambulance design could increase safety for emergency responders. Emergency Management Alert March 17, 2009. 

  11. Stapleton ER. Comparing CPR during ambulance transport. Manual vs. mechanical methods. JEMS 1991;16(9):63-8. 

  12. Donald C. Reducing the risk of musculoskeletal injury for paramedics. Ambulance Paramedics of British Columbia 2001. 

  13. Chung TN, Kim SW, Cho YS, Chung SP, Park I, Kim SH. Effect of vehicle speed on the quality of closed-chest compression during ambulance transport. Resuscitation 2010;81(7):841-7. 

  14. Havel C, Schreiber W, Riedmuller E, Haugk M, Richling N, Trimmel H, et al. Quality of closed chest compression in ambulance vehicles, flying helicopters and at the scene. Resuscitation 2007;73(2):264-70. 

  15. Coleman R, Hignett S. Harrow D, Evans O, Kunur M, Halls S, et al. A designing for patient safety: Future Ambulances London: National Patient Safety Agency 2007. 

  16. Makhsous M, Hendrix R, Crowther Z, Nam E, Lin F. Reducing whole-body vibration and musculoskeletal injury with a new car seat design. Ergonomics 2005;48(9): 1183- 99. 

  17. Jones A, Hignett S. Safe access/egress systems for emergency ambulances. Emerg Med J 2007;24(3):200?5. 

  18. Wang HE, Weaver MD, Abo BN, Kaliappan R, Fairbanks RJ. Ambulance stretcher adverse events. Qual Saf Health Care 2009;18(3):213?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