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국 도시재정비사업 추진실태 분석을 통한 개선방안 고찰: 주택재개발사업 및 주택재건축사업을 중심으로
Analyzing the Current Situation and Issues of Urban Renewal Projects in Korea: Focused on Housing Redevelopment Projects and Housing Reconstruction Projects 원문보기

LHI journal of land, housing, and urban affairs, v.4 no.4, 2013년, pp.333 - 348  

임정민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  이영환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  김재승 (동의대학교 도시공학과) ,  김성연 (감사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정비사업은 부동산 경기침체에 따른 사업성 악화, 정비구역의 과다 지정, 사업추진 과정상 이해관계자 간의 갈등 및 비리 발생 등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수도권 일부지역을 제외한 전국 대부분의 지역에서 사업 추진이 매우 부진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전국의 각 지역별 정비사업 추진실태에 대한 면밀한 조사 분석과 함께 사업추진 단계별 문제점 분석을 통하여 정비사업 정상화를 위한 제도적 개선방안의 마련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전국 개별 정비구역에 대한 구체적 현황자료 및 언론보도자료를 바탕으로 전국적 정비사업 추진실태에 대해서 지역별 사업별로 비교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정비사업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보다 장기적 관점에서 정비기본계획의 수립 및 정비예정구역의 지정이 필요하다. 둘째, 대규모 정비사업보다는 지역의 다양한 여건에 부합할 수 있는 소규모 단위의 점진적 정비사업으로 전환되어야 한다. 셋째, 지방의 여건을 고려한 중앙정부의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민간 중심의 사업방식에서 벗어나 민간과 공공의 파트너십 형성과 통하여 정비사업의 투명성 제고, 사업여건 개선, 공공의 역할 확대를 통한 새로운 방향의 협력적 정비사업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detailed current situation of urban renewal projects which have implemented in all over the country is sorted by regional and divisional groups, researching press reports. Problems in the progress of promoting urban renewal projects made the paper are analyzed in this research. This research exa...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비구역으로 지정된 이후 어떤 문제가 발생따르는가? 그러나, 최근 정비사업은 부동산 경기침체에 따른 사업성 악화, 정비구역의 과다 지정, 사업추진 과정상 이해관계자 간의 갈등 및 비리 발생 등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수도권 일부지역을 제외한 전국 대부분의 지역에서 사업 추진이 매우 부진한 실정이다. 정비구역으로 지정된 이후 사업추진의 부진 및 중단에 따라 정비구역내 주거환경의 슬럼화 및 우범지대화, 사업지연에 따른 주민의 경제적 부담 가중, 사업 찬반 주민간의 갈등, 행위제한에 따른 개별 주거환경 개선의 한계 등 많은 문제점 발생으로 정비구역내 주민 피해가 점점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전국의 각 지역별 정비사업 추진실태에 대한 면밀한 조사・분석과 함께 사업추진 단계별 문제점 분석을 통하여 정비사업 정상화를 위한 제도적 개선방안의 마련이 필요하다.
전국적 정비사업 추진실태에 대해서 지역별 사업별로 비교 분석하여 이 분석을 토대로 어떤 개선방안을 제시하는가?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정비사업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보다 장기적 관점에서 정비기본계획의 수립 및 정비예정구역의 지정이 필요하다. 둘째, 대규모 정비사업보다는 지역의 다양한 여건에 부합할 수 있는 소규모 단위의 점진적 정비사업으로 전환되어야 한다. 셋째, 지방의 여건을 고려한 중앙정부의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민간 중심의 사업방식에서 벗어나 민간과 공공의 파트너십 형성과 통하여 정비사업의 투명성 제고, 사업여건 개선, 공공의 역할 확대를 통한 새로운 방향의 협력적 정비사업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정비사업의 최근 실정은 어떠한가? 2000년대 중반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이하 도정법) 제정과 함께 부동산 경기과열, 정치권 공약, 지역주민의 기대심리 등으로 주택재개발사업, 주택재건축사업 등 도시재정비사업(이하 정비사업)은 전국적으로 활발하게 추진되었다. 그러나, 최근 정비사업은 부동산 경기침체에 따른 사업성 악화, 정비구역의 과다 지정, 사업추진 과정상 이해관계자 간의 갈등 및 비리 발생 등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수도권 일부지역을 제외한 전국 대부분의 지역에서 사업 추진이 매우 부진한 실정이다. 정비구역으로 지정된 이후 사업추진의 부진 및 중단에 따라 정비구역내 주거환경의 슬럼화 및 우범지대화, 사업지연에 따른 주민의 경제적 부담 가중, 사업 찬반 주민간의 갈등, 행위제한에 따른 개별 주거환경 개선의 한계 등 많은 문제점 발생으로 정비구역내 주민 피해가 점점 커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국토해양부(2011), 정비사업 추진 실태조사 및 개선방안 연구. 

  2. 국토해양 통계누리, http://stat.mltm.go.kr/ 

  3. 김동현(2011), "주거환경정비사업 추진시 사업지연에 미치는 요소별 영향 분석-서울시 주거환경정비사업을 대상으로-", 도시설계, 47: 163-178. 

  4. 김미성(2009), 청주 주택재개발사업 현황분석 및 개선방안,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성연, 이영환, 박윤재(2010), 공공참여를 통한 주택재개발사업 갈등관리방안, 토지주택연구원. 

  6. 김호철(2004),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론, 지샘. 

  7. 나인수(2012), "도시환경정비사업에서 토지등소유자방식의 갈등요인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8(7): 243-261. 

  8. 백종철(2009), 도시정비사업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대구광역시를 중심으로-, 대구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송기백(2010), "도시재생을 위한 도시정비사업의 문제점 분석 및 제도개선 방향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6(1): 307-314. 

  10. 이슬기(2009), "도시재생사업에서의 갈등사례 유형 분석",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10(6): 78-87. 

  11. 정우곤(2008), 노후불량주거지 정비사업시행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광주시를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조주현(2010), 도시.주거환경 정비사업의 효율적 추진을 위한 법제도적 개선방안 연구 -주택 재개발.재건축의 갈등관리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조필규(2010), "정비사업의 소송유형 및 처리방안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181: 67-81. 

  14. 천현숙(2009), "뉴타운사업지구 내 주민민원 실태분석과 개선 방안", 주거환경, 11: 105-120.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