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스마트폰 사용시간이 목뼈 및 허리뼈의 굽힘각도와 목뼈의 재현오차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the Duration of Smartphone Usage on Flexion Angles of the Cervical and Lumbar Spine and on Reposition Error in the Cervical Spine 원문보기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Physical Therapy Korea, v.20 no.1, 2013년, pp.10 - 17  

김양곤 (인제대학교 대학원 물리치료학과) ,  강민혁 (인제대학교 대학원 재활과학과) ,  김지원 (인제대학교 대학원 재활과학과) ,  장준혁 (해운대 자생한방병원 물리치료실) ,  오재섭 (인제대학교 의생명공학대학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influence of the duration of smartphone usage on cervical and lumbar spine flexion angles and reposition error in the cervical spine. The study included 18 healthy smartphone users (7 males and 11 females). We measured the kinematics of the upper and low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스마트폰 사용시간이 목뼈 및 허리뼈의 굽힘각도의 변화와 목뼈의 재현오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은 스마트폰 사용시간이 장기화 될수록 목뼈 및 허리뼈의 굽힘 각도는 증가될 것이고, 목뼈의 재현오차 역시 증가될 것이라고 설정하였다.
  • 본 연구는 경남 김해 소재 인제대학교에 재학 중인 성인 남녀 18명을 대상으로 스마트폰을 단기간 사용 및 장기간 사용한 경우 목뼈와 허리뼈의 굽힘각도 및 목뼈의 재현오차 정도를 알아보았다. 스마트폰 사용시간이 장기화 될수록 목뼈 및 허리뼈의 굽힘각도는 증가될 것이고, 목뼈의 재현오차 역시 증가될 것이라는 가설을 바탕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스마트폰 사용시간이 장기화됨에 따라 목뼈와 허리뼈의 굽힘각도 및 목뼈의 재현오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연구결과는 장기간 스마트폰 사용은 단기간 사용한 경우보다 하부목뼈 및 허리 뼈의 굽힘각도가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며(p<.

가설 설정

  • 따라서 본 연구는 스마트폰 사용시간이 목뼈 및 허리뼈의 굽힘각도의 변화와 목뼈의 재현오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은 스마트폰 사용시간이 장기화 될수록 목뼈 및 허리뼈의 굽힘 각도는 증가될 것이고, 목뼈의 재현오차 역시 증가될 것이라고 설정하였다.
  • 본 연구는 경남 김해 소재 인제대학교에 재학 중인 성인 남녀 18명을 대상으로 스마트폰을 단기간 사용 및 장기간 사용한 경우 목뼈와 허리뼈의 굽힘각도 및 목뼈의 재현오차 정도를 알아보았다. 스마트폰 사용시간이 장기화 될수록 목뼈 및 허리뼈의 굽힘각도는 증가될 것이고, 목뼈의 재현오차 역시 증가될 것이라는 가설을 바탕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스마트폰을 장기간 사용하였을 경우가 단기간 사용하였을 경우보다 하부목뼈와 허리뼈의 굽힘각도가 유의하게 증가되었다(p<.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스마트폰과 같은 영상단말기를 장시간 사용하게 되어 생기는 전방머리자세와 구부정한 자세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면 어떤 문제가 생기는가? 스마트폰과 같은 영상단말기를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전방머리자세(forward head posture)나 구부정한 자세(slouched posture)와 같은 부적절한 자세를 유발할 수 있다(Janwantanakul 등, 2012; Szeto와 Lee, 2002). 또한 지속적으로 전방머리자세와 구부정한 자세를 유지 하는 것은 목뼈 및 허리뼈 주변 구조물들은 물론 인대의 손상을 야기할 수 있다(Bonney와 Corlett, 2002; Fernández-de-las-Peñas 등, 2006; Kendall 등, 2005; Page 등, 2009). 이렇듯 척추 구조물은 서로 사슬(chain)과 같이 연결되어 목뼈 자세의 변형은 허리뼈 자세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Page 등, 2009).
척추의 고유수용성 감각의 기능은? 척추의 고유수용성 감각은 신체 각 부위의 협응된 움직임으로부터 관절의 위치와 움직임의 방향을 감지하는 기능을 한다(Dolan과 Green, 2006; Rowe 등, 2005; Swinkels와 Dolan, 1998). 하지만 고유수용성 감각은 근육, 인대 등에 존재하는 고유수용성 감각수용기로부터 제공되기 때문에 부적절한 자세에 의한 근육 활성 및 인대의 변성은 이러한 고유수용성 감각을 손상시킬 수 있다(Brumagne 등, 1999; McGill과 Brown, 1992).
스마트폰과 같은 영상단말기를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어떤 부적절한 자세를 유발할 수 있는가? 스마트폰과 같은 영상단말기를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전방머리자세(forward head posture)나 구부정한 자세(slouched posture)와 같은 부적절한 자세를 유발할 수 있다(Janwantanakul 등, 2012; Szeto와 Lee, 2002). 또한 지속적으로 전방머리자세와 구부정한 자세를 유지 하는 것은 목뼈 및 허리뼈 주변 구조물들은 물론 인대의 손상을 야기할 수 있다(Bonney와 Corlett, 2002; Fernández-de-las-Peñas 등, 2006; Kendall 등, 2005; Page 등,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Bababekova Y, Rosenfield M, Hue JE, et al. Font size and viewing distance of handheld smart phones. Optom Vis Sci. 2011;88(7):795-7. 

  2. Bendix T, Biering-Sørensen F. Posture of the trunk when sitting on forward inclining seats. Scand J Rehabil Med. 1983;15(4):197-203. 

  3. Bonney RA, Corlett EN. Head posture and loading of the cervical spine. Appl Ergon. 2002;33(5):415-417. 

  4. Brumagne S, Lysens R, Swinnen S, et al. Effect of paraspinal muscle vibration on position sense of the lumbosacral spine. Spine (Phila Pa 1976). 1999;24(13):1328-1331. 

  5. Burnett AF, Cornelius MW, Dankaerts W, et al. Spinal kinematics and trunk muscle activity in cyclists: A comparison between healthy controls and non-specific chronic low back pain subjects-a pilot investigation. Man Ther. 2004;9(4): 211-219. 

  6. Carter JB, Banister EW. Musculoskeletal problems in VDT work: A review. Ergonomics. 1994;37(10):1623-1648. 

  7. Cheng CH, Wang JL, Lin JJ, et al. Position accuracy and electromyographic responses during head reposition in young adults with chronic neck pain. J Electromyogr Kinesiol. 2010;20(5):1014-1020. 

  8. Dolan KJ, Green A. Lumbar spine reposition sense: The effect of a 'slouched' posture. Man Ther. 2006;11(3):202-207. 

  9. Dolan P, Adams MA, Hutton WC. Commonly adopted postures and their effect on the lumbar spine. Spine (Phila Pa 1976). 1988;13(2):197-201. 

  10. Fernandez-de-las-Penas C, Alonso-Blanco C, Cuadrado ML, et al. Forward head posture and neck mobility in chronic tension-type headache: A blinded, controlled study. Cephalalgia. 2006;26(3):314-319. 

  11. Fredriksson K, Alfredsson L, Ahlberg G, et al. Work environment and neck and shoulder pain: The influence of exposure time. Results from a population based case-control study. Occup Environ Med. 2002;59(3):182-188. 

  12. Hagberg M, Wegman DH. Prevalence rates and odds ratios of shoulder-neck diseases in different occupational groups. Br J Ind Med. 1987;44(9):602-610. 

  13. Han YS, Choi JK, Hwang BH, et al. A study on elderly for improvement of usability on smartphone. J Soc e-Bus Stud. 2012;17(1):39-52. 

  14. Harms-Ringdahl K, Ekholm J, Schuldt K, et al. Load moments and myoelectric activity when the cervical spine is held in full flexion and extension. Ergonomics. 1986;29(12):1539-1552. 

  15. Janwantanakul P, Sitthipornvorakul E, Paksaichol A. Risk factors for the onset of nonspecific low back pain in office workers: A systematic review of prospective cohort studies. J Manipulative Physiol Ther. 2012;35(7):568-577. 

  16. Jull G, Falla D, Treleaven J, et al. Retraining cervical joint position sense: The effect of two exercise regimes. J Orthop Res. 2007;25(3):404-412. 

  17. Kang JH, Park RY, Lee SJ, et al. The effect of the forward head posture on postural balance in long time computer based worker. Ann Rehabil Med. 2012;36(1):98-104. 

  18. Kendall FP, McCreary EK, Provance PG, et al. Muscles: Testing and function with posture and pain. 5th ed. Baltimore, MD,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5:85-93. 

  19. Kim DS, Chae WS. Biomechanical analysis of a smartphone task with different postures. Korean Journal of Sport Biomechanics. 2012;22(2):253-259. 

  20. Kuo YL, Tully EA, Galea MP. Video based measurement of sagittal range of spinal motion in young and older adults. Man Ther. 2009;14(6): 618-622. 

  21. Lee HY, Teng CC, Chai HM, et al. Test-retest reliability of cervicocephalic kinesthetic sensibility in three cardinal planes. Man Ther. 2006;11(1): 61-68. 

  22. Lee JH, Park SY, Yoo WG. Changes in craniocervical and trunk flexion angles and gluteal pressure during VDT work with continuous cross-legged sitting. J Occup Health. 2011;53(5): 350-355. 

  23. Loudon JK, Ruhl M, Field E. Ability to reproduce head position after whiplash injury. Spine (Phila Pa 1976). 1997;22(8):865-868. 

  24. Malmstrom EM, Karlberg M, Holmstrom E, et al. Influence of prolonged unilateral cervical muscle contraction on head repositioning-decreased overshoot after a 5-min static muscle contraction task. Man Ther. 2010;15(3):229-234. 

  25. Marcus M, Gerr F, Monteilh C, et al. A prospective study of computer users: II. Postural risk factors for musculoskeletal symptoms and disorders. Am J Ind Med. 2002;41(4):236-249. 

  26. McGill SM, Brown S. Creep response of the lumbar spine to prolonged full flexion. Clin Biomech (Bristol, Avon). 1992;7(1):43-46. 

  27. Mekhora K, Liston CB, Nanthavanij S, et al. The effect of ergonomic intervention on discomfort in computer users with tension neck syndrome. Int J Ind Ergon. 2000;26(3):367-379. 

  28. O'Sullivan PB, Burnett A, Floyd AN, et al. Lumbar repositioning deficit in a specific low back pain population. Spine (Phila Pa 1976). 2003;28(10): 1074-1079. 

  29. O'Sullivan PB, Mitchell T, Bulich P, et al.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ure and back muscle endurance in industrial workers with flexion-related low back pain. Man Ther. 2006;11(4): 264-271. 

  30. Page P, Frank C, Lardner R. Assessment and Treatment of Muscle Imbalance: The Janda approach. Champaign, IL, Human Kinetics, 2009:27-30. 

  31. Revel M, Andre-Deshays C, Minguet M. Cervicocephalic kinesthetic sensibility in patients with cervical pain. Arch Phys Med Rehabil. 1991;72(5):288-291. 

  32. Revel M, Minguet M, Gregoy P, et al. Changes in cervicocephalic kinesthesia after a proprioceptive rehabilitation program in patients with neck pain: A randomized controlled study. Arch Phys Med Rehabil. 1994;75(8):895-899. 

  33. Rix GD, Bagust J. Cervicocephalic kinesthetic sensibility in patients with chronic, nontraumatic cervical spine pain. Arch Phys Med Rehabil. 2001;82(7):911-919. 

  34. Rowe MJ, Tracey DJ, Mahns DA, et al. Mechanosensory perception: Are there contributions from bone-associated receptors? Clin Exp Pharmacol Physiol. 2005;32(1-2):100-108. 

  35. Schuldt K, Ekholm J, Harms-Ringdahl K, et al. Effects of changes in sitting work posture on static neck and shoulder muscle activity. Ergonomics. 1986;29(12):1525-1537. 

  36. Solomonow M, Baratta RV, Zhou BH, et al. Muscular dysfunction elicited by creep of lumbar viscoelastic tissue. J Electromyogr Kinesiol. 2003;13(4):381-396. 

  37. Straker LM, Coleman J, Skoss R, et al. A comparison of posture and muscle activity during tablet computer, desktop computer and paper use by young children. Ergonomics. 2008;51(4):540-555. 

  38. Swinkels A, Dolan P. Regional assessment of joint position sense in the spine. Spine (Phila Pa 1976). 1998;23(5):590-597. 

  39. Szeto GP, Lee R. An ergonomic evaluation comparing desktop, notebook, and subnotebook computers. Arch Phys Med Rehabil. 2002;83(4):527-532. 

  40. Veiersted KB, Westgaard RH. Development of trapezius myalgia among female workers performing light manual work. Scand J Work Environ Health. 1993;19(4):277-283. 

  41. Walsh JC, Quinlan JF, Stapleton R, et al. Three-dimensional motion analysis of the lumbar spine during "free squat" weight lift training. Am J Sports Med. 2007;35(6):927-93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