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로컬푸드 원칙의 인식구조와 준수실태
The perception and compliance of local food principles in Korea 원문보기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v.19 no.4, 2013년, pp.567 - 579  

이관률 (충남발전연구원) ,  송주연 (충남발전연구원) ,  허남혁 (대구대학교 지리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사회적으로 큰 흐름으로 자리잡고 있는 로컬푸드 원칙에 대한 인식도와 준수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주요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로컬푸드 인식도에서는 신뢰관계, 지역생산 지역소비가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고, 상대적으로 친환경성의 중요도는 낮게 나타났다. 이는 종사자와 전문가에서 통계적 차이를 나타내지 않는다. 따라서 로컬푸드 개념에서는 공간적 측면과 사회적 측면의 구성요소가 모두 중요하다. 둘째, 로컬푸드 준수도에서는 신뢰관계와 유통단계의 축소는 비교적 잘 지켜지는 반면, 친환경성과 이동거리는 상대적으로 잘 지켜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준수도의 경우 종사자와 전문가의 인식차이는 이동거리 축소에서만 나타나지 않고, 그 외 4개 요소에는 통계적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로컬푸드의 인식도와 준수도의 차이를 살펴보면, 친환경성과 신뢰관계, 그리고 유통단계 축소 등의 사회적 측면은 인식도와 준수도의 차이가 크지 않는 반면, 공간적 측면의 이동거리 축소와 지역생산 지역소비는 인식도와 준수도의 차이가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illuminating positively the perception and compliance rate of local food principles in Korea.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the perception rate, social trust and local production/consumption are the most important components rather than eco-friendlines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렇다면 우리나라에서 로컬푸드 원칙에 대한 인식도와 실제 준수도 간의 차이가 얼마나 있는가를 분석해 보고자 한다. 우선 5가지 원칙 모두에 있어서 인식도에 비해 준수도가 모두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앞서 지적한 바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로컬푸드의 원칙으로 설정한 5가지 원칙이 각각 얼마나 중요한가에 대한 인식도와 이들 원칙이 얼마나 준수되고 있는가를 로컬푸드 종사자와 관련전문가로 구분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들 5가지 원칙의 인식도과 준수도의 차이가 있는가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로컬푸드의 인식도와 준수도는 t-test를 통해서, 그리고 인식도와 준수도의 차이분석은 paired t-test를 통해 수행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최근 사회적으로 큰 흐름으로 자리잡고 있는 로컬푸드에 대한 인식도와 준수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는 로컬푸드라는 단어가 갖는 다원성으로 인해 로컬푸드에 대한 개념이 불명확하고, 이로 인해 로컬푸드 정책의 방향이 혼돈스러운 현실적 문제인식에서 시작된 것이다.
  • 특히 로컬푸드 사업체 선정의 경우 로컬푸드 사업체인가 아닌가를 판단하기가 곤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로컬푸드 사업체 선정의 객관성을 높이기 위해 1차적으로 기존 문헌에서 로컬푸드 업체로 소개된 목록을 확보하였고, 해당 사업체 중 스스로 로컬푸드 사업체임을 표방하는 곳을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한편 로컬푸드 전문가 집단의 선정은 로컬푸드 관련 연구경험이 있는 전문가와 현장에서 활동하고 있는 전문가, 공무원, 그리고 이들의 인적네트워크를 활용한 전문가 추천을 통해 이루어졌다.
  • 본 연구에서는 로컬푸드의 개념적 구성요소를 바탕으로 로컬푸드의 원칙을 도출하고, 이 원칙을 얼마나 중요하게 생각하고(인식도) 있는지, 그리고 이들 원칙을 얼마나 잘 준수하고(준수도) 있는지를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로컬푸드의 개념적 구성요소를 바탕으로 ① 지역생산・지역소비, ② 이동거리 축소, ③ 유통단계 축소, ④ 친환경성, ⑤ 신뢰관계의 5가지 원칙을 도출하였다.
  • 앞서 지적한 바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로컬푸드의 원칙으로 설정한 5가지 원칙이 각각 얼마나 중요한가에 대한 인식도와 이들 원칙이 얼마나 준수되고 있는가를 로컬푸드 종사자와 관련전문가로 구분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들 5가지 원칙의 인식도과 준수도의 차이가 있는가를 분석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성장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로컬푸드 상황에서 참여자들의 로컬푸드 원칙에 대한 인식도와 중요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론적 측면에서 로컬푸드가 지향하는 본질적인 개념을 논의하고, 이를 바탕으로 실증적인 측면에서 로컬푸드의 인지도와 준수도를 분석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일반적인 로컬푸드의 효과는 어떻게 구분되는가? 로컬푸드의 공간적・사회적 측면은 로컬푸드의 효과와 소비자들이 로컬푸드를 소비하는 이유에서도 찾을 수 있다. 일반적인 로컬푸드의 효과는 지역경제 활성화, 푸드마일 및 에너지 사용의 절감, 건강과 영양의 증진, 먹거리 안전성 제고 등 경제적, 사회적, 환경적 효과로 구분된다(허남혁 등, 2011). 그리고 소비자들은 보다 신선한 양질의 먹거리 소비, 지역의 생산자 지원, 먹거리 근원의 이해, 영양적으로 우수한 먹거리에 대한 수요, 친환경적이고 지속가능한 먹거리 구매 및 체험의 즐거움, 보다 다양하고 저렴한 먹거리 구입 등의 이유로 로컬푸드를 소비한다(Martinez et al.
EU의 지역위원회에서 정의한 로컬푸드란? 이렇듯 로컬푸드는 생산자에서 소비자에 이르기까지 가급적 적은 단계를 거치며, 소비자들이 생산과정을 알 수 있고, 종종 생산과정에 참여하기도 하며, 안전성을 보장하는 투명한 농산물 생산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생산자와 소비자 간 사회적 거리가 감소되고, 이로써 상대방을 신뢰할 수 있는 관계가 형성된다. EU의 지역위원회(EU Committee of the Regions, 2011)에 의하면, 로컬푸드는 지역에서 생산되고, 농촌발전전략에 기여하며, 그리고 소비자에게 짧은 유통구조(short chain)를 통해 지리적으로 근접되어 공급・소비되는 먹거리와 먹거리체계를 의미한다. 그리고 일본에서는 공간적 거리의 정도와 커뮤니케이션의 정도(사회적 측면)라는 두 요소를 사용하여 로컬푸드의 다양한 유형을 4개의 사분면으로 설명하기도 한다(허남혁 등, 2011).
로컬의 함정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이는 사회과학계에서 말하는 소위 ‘로컬의 함정(local trap)’을 회피하기 위해서라고 할 수 있다(Born and Purcell, 2006). 이는 생태적으로 건전하고 사회적으로 정의로운 것과 로컬을 등치시킬 경우 발생할 위험성을 말하는 것으로(김철규 등, 2013), 로컬이라는 공간적 스케일의 사회적 경합을 통한 사회적 구성 측면을 강조하는 것이다. 그러다보니 로컬푸드 개념 자체가 상대적이라는 점에 더하여 우리나라에서 로컬푸드의 공간적 측면을 확정지으려는 노력이 부족해지는 탓에, 로컬의 개념이 더 모호해지고 이로써 로컬푸드 운동의 실천화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측면이 있다는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