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화피 추출물 첨가 설기떡의 항산화활성 및 품질특성
Antioxidant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prepared with Prunus yedoensis Matsumura Extract 원문보기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v.29 no.2, 2013년, pp.115 - 122  

주신윤 (숙명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quality and antioxidative properties of a Korean steamed-rice cake, Sulgidduk added with Prunus yedoensis Matsumura extract, and vitamin C. Sulgidduk was prepared by adding Prunus yedoensis Matsumura extract at 0, 0.1, 0.2, and 0.3% of rice powder. Antioxidant activitie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 식품 개발의 일환으로 항산화 활성이 있다고 알려진 화피 추출물을 설기떡에 첨가하고 그 품질특성과 항산화활성을 측정함으로써 떡에 대한 화피의 적용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화피란 무엇인가? 그 열매나 수피를 식용을 하기도 하고, 민간 의학에서는 각기병, 수종, 유선염, 치통과 통경제 등으로 사용하였다(Kim CH 등 1998). 또한 왕벚나무의 껍질을 화피(樺皮)라고 하여 한약 재료로도 사용되며, 기침, 담마진, 우육체 등의 민간약으로 이용되어 왔다(Park ES 등 1998). 왕벚나무에 대한 선행연구로는 화피 추출물의 아토피성 염증 억제 효과(Kang GJ 2006), 화피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Jung HA 등 2002), 왕벚나무 잎 추출물의 멜라닌(melanin) 생성 억제 효과(Matsuda H 등 1994) 등으로 그에 대한 연구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설기떡의 제조 방법은? 떡의 종류로는 만드는 방법에 따라 찐떡, 친떡, 지진떡, 삶는떡으로 구분되며, 찌는떡은 시루떡이라 하여 찌는 방법에 따라 설기떡과 켜떡으로 구분한다. 그 중 설기떡은 찌는 떡의 가장 기본으로 멥쌀가루에 물을 내려 한 덩어리가 되게 찌는 떡이다(Yoon SJ 2007). 설기떡은 재료에 따라 멥쌀가루로 만든 백설기, 백설기에 콩이나 감, 밤 등을 넣은 콩설기, 감설기, 밤설기 등으로 이름이 달라진다.
화피 추출물을 달리하여 제조한 설기떡의 경도를 관찰한 결과, 무첨가군 대비 경도가 증가한 이유는 무엇인가? 이는 부재료의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설기떡의 경도가 증가한다고 보고한 Park SS 등(2011)의 연구, Hwang SJ와 Kim IW(2007)의 연구, Kim GY 등(1999)의 연구 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냈다. 본 연구에서 시료 첨가량이 매우 적었음에도 쌀가루보다 적은 수분함량을 가진 화피 추출물 분말이 쌀가루의 수분을 흡수하고 전반적으로 첨가된 물의 양이 감소하는 결과를 초래하여 쌀가루 전분의 노화에 영향을 주어 나타난 결과라 생각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OAC. 200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8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pp 33-36 

  2. Choi HY. 2009. Antimicrobial activity of Paeonia japonica extract and its quality characteristics effect in Sulgidduk. Korean J Food Cookery Sci 25(4): 435-444 

  3. Choi HY. 2009. Antimicrobial activity of Salvia miltiorrhiza Bunge extract and its effects on quality characteristics in Sulgidduk. Korean J Food & Nutr 22(3): 321-331 

  4. Doo HJ, Shin JY.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black rice Sulgiddeok with black garlic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6(6): 677-684 

  5. Hwang HS, Han BR, Han BJ. 1989. Korean traditional food. Kyomunsa, Gyeonggi, Korea. pp 453-455 

  6. Hwang SJ, Kim IW. 2007. Effects of roots powder of ballonflowers on general composi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Korean J Food Culture 22(1): 77-82 

  7. Jung HA, Kim AR, Chung HY, Choi JS. 2002. In vitro antioxidant activity of some selected Prunus species in Korea. Arch Pharm Res 25(6): 865-872 

  8. Kang GJ. 2006. Inhibitory effect of organic extracts from Prunus yedoensis Matsumura barks on the atopic dermatitis-like inflammation. Master thesis. The Cheju national university of Korea. pp 1-3 

  9. Kang IH. 1997. The rice cake and sweets of Korea. Daehane Corp., Seoul, Korea. pp 1-4 

  10. Kim CH, Lee KY, Moon MO, Hyun HJ, Ihm BS, Kim MH. 1998. Natural habitat of Prunus yedoensis Matsumura and its morphological variation. Kor J Plant Tax 28(2): 117-137 

  11. Kim GY, Kang WW, Choi SW. 1999. A study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added with persimmon leaves powde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9(4): 461-467 

  12. Kim JH, Kim MY.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supplemented with citrus peel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7): 993-998 

  13. Lee MH. 2011.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urcuma longa L powder Sulgitteok.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17(5): 184-192 

  14. Lee YJ, Kim EH.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added with Hizikia fusiformis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7(6): 723-733 

  15. Lee YU, Huang GW, Liang ZC, Mau JL. 2007. Antioxidant properties of three extracts from Pleurotus citrinopileatus. LWT Food Sci Technol 40(5): 823-833 

  16. Liu F, Ooi VEC, Chang ST. 1997. Free radicals scavenging activity of mushroom polysaccharide extract. Life Science 60(10): 763-771 

  17. Maski H, Skai S, Astsumi T, Sakurai H. 1995. Active oxygen scavenging activity of plant extracts. Biol Pharm Bull 18(1): 162-166 

  18. Matsuda H, Nakamura S, Kubo M. 1994. Studies of cuticle drugs from natural sources. II. Inhibitory effects of Prunus plants on melanin biosynthesis. Biological and Pharmaceutical Bulletin 17(10): 1417-1420 

  19. Oyaizu M. 1986. Studies on product of the browning reaction prepared from glucoseamine. Jap J Nutr 44(6): 307-315 

  20. Park ES, Shin MK, Song HJ. 1998. A study on the antiallergin effect of Cortex Betula Platyphyllae or Cortex Pruni Serrulatae extract. Kor J Herbology 13(2): 57-68 

  21. Park SS, Kim SI, Sim KH. 2011.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Sulgidduk supplemented with ramie leaf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7(6): 763-772 

  22.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Pannala A, Yang M, Rice-Evans C.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al Biology and Medicine 26(9): 1231-1237 

  23. Ryu KY, Kim YO, Kim KM.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by the addition of tofu. Korea J Food Cookery Sci 24(6): 856-860 

  24. Shin JH, Kim YA, Kang MJ, Yang SM, Sung NJ. 2010. Preparation and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containing different amounts of black garlic extract. Korean J Food Cookery Sci 26(5): 559-566 

  25. Yoon SJ.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tteok added with Lotus leaf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3(4): 433-442 

  26. Youn JS, Shin SY, Wu Y, Hwang YJ, Cho JH, Ha YG, Kim JK, Park MJ, Lee SH, Kim TH, Kim TW. 2012. Antioxidant and anti-wrinkling effects of Aruncus dioicus var. kamtschaticus extract. Korean J Food Preserv 19(3): 393-399 

  27. Zhao GR, Xiang ZJ, Ye TX, Yuan YJ, Guo ZX. 2006. Antioxidant activities of Salvia miltiorrhiza and Panax notoginseng. Food Chem 99(4): 767-774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