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본 연구는 해역이용협의제도의 실효성 확보를 위하여 해양 개발사업의 사후환경관리에 대한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협의내용 이행 및 점검 소홀, 사후관리조치 및 결과보고 미흡, 사후관리 인식저하 및 전문성 부족 등으로 개발사업의 사후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또한 사후 해양환경영향조사의 경우도 사업전후 결과의 검증이 매우 중요한 사항인데도 형식적으로 추진되는 등 사후환경관리에 많은 문제가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해역 이용협의제도의 실효성을 확보하기 위한 사후환경관리 개선방안으로 관계자들의 사후관리 인식제고 및 이행력 확보가 절실히 요구되며, 갈등해소를 위한 사후관리시스템 구축, 협의내용 미 이행 사항에 대한 제재 및 책임성을 강화해야 하고, 아울러 체계적인 사후 해양환경영향조사 모니터링방안이 정립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tatus and problems of the post-project environmental management for development projects and suggested improvements of the system to achieve effectiveness for the system of the sea area utilization consultation. The post-project environmental management has had several 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해역이용협의제도의 실효성 확보 측면에서 협의내용의 사후환경관리에 대한 문제점을 진단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여 협의내용의 이행에 대한 실효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해역이용협의제도의 실효성 확보 측면에서 협의 내용의 사후환경관리에 대한 문제점을 제시하고 개선방안을 마련하여 협의내용의 이행에 대한 실효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협의 내용의 사후관리부분에서 처분기관이 협의내용 이행여부 등 사후관리결과를 해양수산부로 보고하도록 되어 있으나, 협의과정에서 제시한 의견의 반영 여부 및 사업의 추진 유무 등에 대한 협의기관으로의 통보 미흡으로 실효성 있는 협의와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 사후환경관리는 해역이용협의과정에서 제시된 환경영향에 대한 예측 및 저감방안의 수립이 적정하게 이루어졌는지를 파악하고 공사 시와 운영 시에 발생할 수 있는 예상치 못한 환경피해를 예방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장래에 유사한 개발사업에 대해 협의 시 환경영향 예측의 실증적 자료로 활용이 가능하여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Choi et al.
  • 해양환경영향조사는 개발사업으로 인하여 공사 시와 운영 시 변화하는 환경질에 대하여 조사 ·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해역이용협의 당시의 예측치와 실측치를 비교 · 평가하여 사후환경관리의 신뢰성과 실효성을 높이는데 하나의 목적이 있다.

가설 설정

  • 다섯째, 협의내용 미 이행 사항에 대한 제재수단의 강화가 필요할 것이다. 현재 해양환경관리법에서 처분기관은 해역이용사업자가 해역이용협의 등의 내용 및 협의 등에 대한 의견을 이행하지 아니하면 그 이행을 위하여 필요한 조치를 명하여야 하고, 조치명령을 이행하지 아니할 경우에는 2차 조치명령을 하고, 그래도 명령시한까지 이행하지 아니할 때에는 조치명령 이행 시 까지 해당사업에 대한 중지를 명하도록 되어 있다.
  • 둘째, 협의기관의 사후환경관리 담당 전문 인력이 시급히 확보되어야 할 것이다. 현재 협의기관인 각 지방해양항만청 별로 사후관리 담당 인력이 1명으로 배정되어 있으나, 실질적으로는 사후관리업무만을 담당하는 것이 아니라 해역이용협의업무 및 공유수면점 · 사용업무 등 해양환경업무 전반을 담당하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해양 개발사업의 사후환경관리의 목적은? 본 연구는 해역이용협의제도의 실효성 확보를 위하여 해양 개발사업의 사후환경관리에 대한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협의내용 이행 및 점검 소홀, 사후관리조치 및 결과보고 미흡, 사후관리 인식저하 및 전문성 부족 등으로 개발사업의 사후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또한 사후 해양환경영향조사의 경우도 사업전후 결과의 검증이 매우 중요한 사항인데도 형식적으로 추진되는 등 사후환경관리에 많은 문제가 나타나고 있다.
사후환경관리는 협의내용의 사후관리와 해양 환경영향조사로 구분되는데 각각 그 특징은 무엇인가? 사후환경관리는 협의내용의 사후관리와 해양환경영향조사로 구분된다. 협의내용 사후관리조사는 사업자가 제출한 사업계획 및 인 · 허가승인기관의 승인내용, 해역이용협의단계에서 제시된 각종 저감대책을 사업자가 이행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조사 · 확인하는 것이다. 그리고 해양환경영향조사는 대상사업의 실제공사 및 운영 시 발생되는 환경영향을 조사하여 사전예측결과 및 저감대책의 실효성 여부를 확인하고 필요 시 이에 대한 추가적인 대책을 마련하여 해양환경을 보호하는 해역이용협의의 목적을 구현하는데 있다(Choi et al. [2003]).
해양의 실정은? 해양은 공유재로서 국민 누구나가 이용할 수 있으므로 무분별한 개발과 이용 시에는 회복할 수 없는 수준으로 해양환경이 훼손되고 해양자원이 고갈될 수 있으며(Lee et al. [2011]), 최근에는 해양 개발 · 이용행위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고(MLTM [2013]), 그 개발 · 이용 형태도 다양화, 대형화 되고 있어 그로 인한 해양생태계의 훼손과 해양오염이 가중되고 있는 실정이다(MLTM [2011]). 따라서 해양에서 이뤄지는 각종 개발 및 이용행위가 해당 해역의 해양환경 수용력의 범위 내에서 환경적으로 건전하고 지속가능하게 이루어지도록 유도 · 지원하기 위한 해역이용협의 및 평가제도가 해양환경관리법이 전면 개정되면서 2008년부터 본격적으로 시행되고 있다(Lee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Choi, J.K., Kang, Y.H. and Joo, Y.J., 2003, Improvement of Post-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i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Korea Environment Institute (KEI) environmental forum, Vol.7, No.5, 201-207. 

  2. Choi, S.K., Kim, T.H. and Song, Y.I., 2011, Institutional Discussions concerning Agreements on Effective Implementation of EIA, Korea Environment Institute (KEI) working paper, 2011-08, 1-28. 

  3. Kim, G.Y., Lee, D.I., Jeon, K.A., Eom, K.H. and Woo, Y.S., 2009, "Diagnosis for Review of Statement and System Improvement of Consultation on the Coastal Area Utiliz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ol.15, No.4, 345-354. 

  4. Lee, D.I., Kim, G.Y., Jeon, K.A., Eom, K.H. Yu, J., Kim, Y.T., Moon, J.H. and Kam. M.J., 2011, "An Application Status and Consideration of System Improvement on the Sea Area Utilization Conference and Impact Assessm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al Engineering, Vol.14, No.4, 239-248. 

  5. Maeng, J.H. and Joo, Y.J., 2008, "Studies on Establishing and Effective System for the Management after Construction in the EIA Process",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Vol.17, No.1, 57-66. 

  6. ME (Ministry of Environment), 2006, Studies on Improvement of Environmental Impact Monitoring and Post Management in EIA System. 

  7. MLTM (Ministry of Land, Transport & Maritime Affairs), 2011, Establishment of the Assessment Guideline for Development Type of Sea Area Utilization, The final report, 11-1611000-001647-01, MLTM. 

  8. MLTM (Ministry of Land, Transport & Maritime Affairs), 2012, Marine Environmental Management Act. 

  9. MLTM (Ministry of Land, Transport & Maritime Affairs), 2013, The Continuous Increasing of Developments and Utilizing Projects on Sea Area, Press release of MLTM, 14, Feb.,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