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국의 사서교사 전문성 평가기준과 도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Standards and Tools of the Performance of School Librarians in the United States 원문보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47 no.2, 2013년, pp.103 - 121  

김성준 (전북 이리여자고등학교)

초록

이 연구는 미국의 사서교사 전문성과 관련된 기본 배경을 이해하고, 현재 미국에서 활용되고 있는 국가 수준과 주정부 수준의 사서교사 평가기준과 도구 그리고 자기평가 도구를 분석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설정하고 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미국은 국가 수준의 학교도서관 기준에 맞추어 사서교사 양성, 자격기준, 평가기준의 일관성 있는 전문성 계발 구조를 갖추었으며, 국가 수준의 사서교사 전문성 기준은 미국 전문교사자격 기준위원회의 자격기준과 미국학교도서관협회에서 발표한 "평생교육을 위한 학습" 기준의 사서교사 평가도구가 대표적으로 제시되고 있다. 미국의 여러 주정부에서는 국가 수준의 학교도서관 기준을 바탕으로 주정부의 실정에 맞는 사서교사 평가기준과 도구를 개발하여 실제 평가에 활용하고 있다. 더불어 미국학교도서관협회는 2012년에 사서교사의 자기평가 도구인 "사서교사 평가의 21세기 접근법"을 발표하여, 사서교사가 국가수준의 기준에서 제시한 전문성에 도달할 수 있는 실천적 방향을 안내하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basic structure of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school librarians and to analyze the national evaluation standards, and the states' evaluation tools and self-assessment tool currently used in the United States. The result is as follows: the structure of the school lib...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에서는 사서교사 전문성 계발 체제를 비교적 명확하게 갖춘 미국의 사례를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의 주요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 연구에서는 사서교사 전문성 계발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사서교사 평가기준과 도구의 미국 사례를 살펴보았다. 연구내용을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국학교도서관협회의 설립 년도는? 미국의 경우 미국도서관협회 산하기관으로 1914년에 설립된 미국학교도서관협회(American Association of School Librarians)가 학교 도서관의 변화를 주도하고 있는데, 이 단체의 여러 역할 중에서 가장 의미 있는 활동을 손꼽으면 1920년대부터 최근까지 학교도서관이 나가야 할 방향을 설정한 국가 수준의 기준을 지속적으로 발표해 온 것이라 할 수 있다. 이 기준들은 당시에 학교도서관과 사서교사의 실제 역할 수준을 넘은 혁신적인 역할을 제시함으로써 학교도서관이 변화하는 환경에 맞추어 발전할 수 있는 동력을 제공했으며, 더불어 사서교사가 학교도서관의 새로운 역할을 지원하기 위해 전문성을 계발해야 하는 동기와 방향, 그리고 방법을 제공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그동안 학교도서관의 주요 발전 요소로 언급되어 온 것은? 이 말은 보다 높은 수준의 교육을 추구하기 위해서 교사가 그에 맞는 전문성을 갖추어야 한다는 의미이며, 이는 비단 교직뿐만 아니라 모든 직종의 발전을 위해서는 소속 직원의 전문성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하는 표현이라 할 수 있다. 논점을 학교도서관으로 좁혀보면 학교도서관의 주요 발전 요소로 그동안 학교도서관에 대한 사회적 인식, 시설 및 환경, 교육과정, 각종 법률과 같은 요소들이 언급되어 왔다. 그러나 이 중에서 가장 근간이 되는 부분은 바로 학교 도서관의 목적달성을 위해 현장에서 노력하는 사서교사이며, 보다 구체적으로 학교도서관의 현재와 미래는 사서교사의 전문성에서 시작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교육현장에서 흔히 회자되고 있는 격언 중 '교육의 질은 교사의 질을 넘을 수 없다'는 말이 의미하는 것은 무엇인가? 교육현장에서 흔히 회자되고 있는 격언 중에 ‘교육의 질은 교사의 질을 넘을 수 없다’는 말이 있다. 이 말은 보다 높은 수준의 교육을 추구하기 위해서 교사가 그에 맞는 전문성을 갖추어야 한다는 의미이며, 이는 비단 교직뿐만 아니라 모든 직종의 발전을 위해서는 소속 직원의 전문성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하는 표현이라 할 수 있다. 논점을 학교도서관으로 좁혀보면 학교도서관의 주요 발전 요소로 그동안 학교도서관에 대한 사회적 인식, 시설 및 환경, 교육과정, 각종 법률과 같은 요소들이 언급되어 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이병기. 2009. 미국 학교도서관 기준 관련 문서 21세기 학습자를 위한 기준의 구조와 내용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0(3): 203-223. (Lee, Byeong-Ki. 2009. "Study on the Structure and Contents Analysis of America New School Library Standards Sets Standards for the 21st-Century Learner."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0(3): 203-223.) 

  2. AASL. 2007. "Standards for the 21st-Century Learner." [online]. [cited 2013.3.18]. . 

  3. AASL. 2008. "Learning4Life." [online]. [cited 2013.3.18]. . 

  4. AASL. 2009a. "AASL's L4L Sample School Librarian Performance and Evaluation System." [online]. [cited 2013.3.20]. . 

  5. AASL. 2009b. Empowering learners: Guidelines for School Library Programs. Chicago: AASL. 

  6. AASL. 2010. "Sample Job Description Title: School Librarian." [online]. [cited 2013.3.18]. . 

  7. AASL. 2012a. A 21st-Century Approach to School Librarian Evaluation. Chicago: ALA. 

  8. AASL. 2012b. "Performance Evaluation of School Librarians." [online]. [cited 2013.4.2]. . 

  9. AASL. 2013. "Guidelines and Standards." [online]. [cited 2013.3.18]. . 

  10. AASL & AECT. 1998. Information Power: Building Partnerships for Learning. Chicago and London: ALA. 

  11. ALA & AASL. 2003. "ALA/AASL Standards: For Initial Programs for School Library Media Specialist Preparation." [online]. [cited 2013.3.14]. . 

  12. ALA & AASL. 2010. "ALA/AASL Standards for Initial Preparation of School Librarians." [online]. [cited 2013.3.18]. . 

  13. Alabama Department of Education. 2002. "Alabama PEPE Program." [online]. [cited 2013.3.18]. . 

  14. Association of Indiana School Library Educator. 2012. "School Librarian Evaluation Rubric." [online]. [cited 2013.3.19]. . 

  15. Craver, Kathleen W. 1986. "The Changing Instructional Role of the High School Library Media Specialist, 1950-84: A Survey of Professional Literature, Standards, and Research Studies." SLMQ, 14(4). [online]. [cited 2013.3.18]. . 

  16. Missouri Department of Elementary & Secondary Education. 2007. "Library Media Specialist (K-12) Competencies." [online]. [cited 2013.3.21]. . 

  17. NBPTS. 2001. "Library Media Standards." [online]. [cited 2013.3.14]. . 

  18. NBPTS. 2012. "Library Media Standards." 2nd ed. [online]. [cited 2013.3.18]. . 

  19. New York State Education Department. 2012. "Teacher and Principal Practice Rubrics." [online]. [cited 2013.3.19]. . 

  20. Schon, I., Helmstadter, C., & Robinson, D. 1991. "The Role of School Library Media Specialists." School Library Media Quarterly, 19(4): 228-233. 

  21. Shannon, D. 2002. "The Education and Competencies of School Library Media Specialists: A Review of the Literature." School Library Media Research, 5. [online]. [cited 2013.3.13].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