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지 Alcoholysis 반응물을 이용한 Oil-in-Water Emulsion의 포화도에 따른 산화특성 및 안정성 연구
Stability of Oil-in-Water Emulsions with Different Saturation Degrees from Beef Tallow Alcoholysis Product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2 no.6, 2013년, pp.933 - 940  

장화 (충남대학교 식품공학과) ,  이영화 (농촌진흥청) ,  신정아 (충남대학교 식품공학과) ,  이기택 (충남대학교 식품공학과) ,  홍순택 (충남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urea fractionation을 통하여 포화도 함량이 5.8%, 28.4%, 39.2%, 50.7%, 72.3%인 우지 alcoholysis 반응물을 제조하고, 이를 유상(oil phase)으로 ultrasonic processor 및 고압균질기를 이용하여 emulsion을 제조한 후 이에 대한 유화 안정성산화 안정성을 실험하였다. 유화 안정성(ES)을 관찰한 결과 ES값은 46.0(${\Sigma}$SFA5), 39.5(${\Sigma}$SFA28), 32.7(${\Sigma}$SFA39), 32.6(${\Sigma}$SFA50) 및 27.3(${\Sigma}$SFA72)로써 포화도가 낮은 emulsion일수록 높은 안정성을 보였으며, Turbiscan을 이용하여 시료 emulsion의 creaming 및 clarification 특성을 조사한 결과도 ES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고압균질기로 제조한 emulsion 시료에 대하여 30일간 산화특성 및 안정성 연구를 진행한 결과, 제조한 emulsion의 hydroperoxides 함량이 1.880(${\Sigma}$SFA5), 1.267(${\Sigma}$SFA28), 1.062(${\Sigma}$SFA39), 0.342(${\Sigma}$SFA50) 및 0.153(${\Sigma}$SFA72)mg $H_2O_2/mL$로 서로 유의적 차이(p<0.05)를 나타내면서 불포화도가 높은 emulsion 시료일수록 hydroperoxide의 함량이 높았고, TBARS 값은 저장 30일에 6.229(${\Sigma}$SFA5), 6.801(${\Sigma}$SFA28), 6.246(${\Sigma}$SFA39), 4.419(${\Sigma}$SFA50) 및 4.226(${\Sigma}$SFA72) mg TBA/mL로 ${\Sigma}$SFA50과 ${\Sigma}$SFA72가 다른 emulsion 시료보다 유의적으로(p<0.05) 낮은 값을 보이며 산화 안정성이 우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methyl esters with different saturated fatty acids (SFA) were prepared by urea fractionation to make an oil-in-water emulsion. Emulsion characteristics (emulsion stability and oxidative stability) of the methyl ester emulsion were then studied at different percentages of methyl ester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Ultrasonic processor로 제조한 포화도가 다른 emulsion 의 particle size 변화를 실온에서 9일간 저장하면서 측정하였다(Table 2). Volume-surface mean diameter(d32)의 경우 모든 emulsion 시료에서 0.
  • X축은 chemical shift로써 ppm으로 표시하였는데, 1H-NMR spectrum에서 chemical shift 3.65에 존재하는 methyl esters의-OCH3 peak와 chemical shift 5.25에 존재하는 trigly- cerides의 >CHOCOR peak를 이용하여 정량분석을 진행하였다(24).
  • 두 가지의 유화방법을 이용하여 emulsion을 제조하였다. 먼저 ultrasonic processor(Sonics & Materials Inc.
  • 또한 실험실 규모의 고압균질기(M-110Y, Microfluidics Newton, MA, USA)를 사용하여 3000 psi에서 emulsion(10 wt%의 우지 alcoholysis 반응물, 0.25 wt% L-α-phosphatidylcholine, 90 wt% 20 mM bis-tris buffer, pH 7)을 제조하고 emulsion의 산화안정성을 측정하였다(18).
  • 먼저 ultrasonic processor(Sonics & Materials Inc., Newtown, CT, USA)를 사용하여 유상 1 g과 수상으로 bis-tris buffer(pH 7) 9 mL, 0.025 g L-α-phosphatidylcholine을 첨가하고 20 kHz에서 20초 동안 처리하여 유화액을 제조하였으며, 이 유화액에 대한 emulsion activity, emulsion stability, Turbiscan test, 지방구 크기 관찰 실험을 진행하였다.
  • , curcumin)은 나노기술인 microemulsion 형태로 하여 건강기능성 식품 등에 첨가·사용하는데, 이 경우 유상(oil phase)으로 이들 기능성 성분들을 녹일 수 있는 지방산 에스테르가 이용되고 있다(13). 본 실험에서는 먼저 우지를 alcoholysis 반응하여 주로 ester로 구성된 반응물을 획득하고, 이를 요소와 반응시키는 요소포접화합물 결정화법(14)을 통하여 포화도가 72.3%인 우지 alcoholysis 반응물을 획득하였다. 이후 이 반응물을 유상으로 하여 포화도가 다른 oil-in-water emulsion[5(Σ SFA5)-72%(ΣSFA72)]을 제조하여 포화도 변화에 따른 emulsion의 유화안정성 및 산화안정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 본 연구는 urea fractionation을 통하여 포화도 함량이 5.8%, 28.4%, 39.2%, 50.7%, 72.3%인 우지 alcoholysis 반응 물을 제조하고, 이를 유상(oil phase)으로 ultrasonic processor 및 고압균질기를 이용하여 emulsion을 제조한 후 이에 대한 유화 안정성과 산화 안정성을 실험하였다. 유화 안정성(ES)을 관찰한 결과 ES값은 46.
  • 시료를 hydrogen nuclear magnetic resonance(1H-NMR)용 튜브에 50 mg을 채우고 700 μL의 CDCl3를 혼합하여 분석하였다(16).
  • 얻어진 액상 층과 요소 층의 우지 alcoholysis 반응물의 지방산 조성은 Zhang(17)의 방법에 의하여 gas chromatograph(Hewlett-Packard 6890 series, Hewlett-Packard, Avondale, PA, USA)로써 flame ionization detector를 사용하였고, 칼럼은 SPTM-2560(biscyanopropyl polysiloxane, 100 m×0.25 mm i.d., 0.2 μm film thickness, Supelco, Bellefonte, PA, USA)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실험에 사용된 유상들은 우지 alcoholysis 반응물을 요소 분획하여 액상층에서 획득한 분획물 (ΣSFA5), 우지 alcoholysis 반응물을 요소 분획하여 요소층에서 획득한 분획물(ΣSFA72) 그리고 ΣSFA5 66.7 wt%와ΣSFA72 33.3 wt%의 혼합물(ΣSFA28), ΣSFA5 50 wt%와ΣSFA72 50 wt% 혼합물(ΣSFA39) 및 ΣSFA5 33.3 wt%와ΣSFA72 66.7 wt% 혼합물(ΣSFA50)을 사용하였다.
  • 이후 밑층을 버리고 증류수로 여러 번 수세하였고 anhydrous sodium sulfate column을 이용하여 hexane 층의 수분 및 불순물을 제거한 후, rotary vacuum evaporator(N-1000, EYELA, Tokyo, Japan)와 질소를 이용하여 용매를 제거하면서 액상 층의 우지 반응물을 추출하였다. 요소 층에 포접된 포화지방산이 많은 우지 alcoholysis 반응물을 추출하기 위하여 먼저 획득된 포접 요소 층을 증류수로 용해한 후 위에 설명한 방법으로 추출하였다. 얻어진 액상 층과 요소 층의 우지 alcoholysis 반응물의 지방산 조성은 Zhang(17)의 방법에 의하여 gas chromatograph(Hewlett-Packard 6890 series, Hewlett-Packard, Avondale, PA, USA)로써 flame ionization detector를 사용하였고, 칼럼은 SPTM-2560(biscyanopropyl polysiloxane, 100 m×0.
  • 우지 alcoholysis 반응물(110 g)에 메탄올(1,100 mL)과 요소(220 g)을 첨가하여 65℃ water bath에서 용해시키고 2℃에서 14시간 동안 방치한 후, 감압여과 장치를 이용하여 액상 층과 요소 층으로 분리하였고 얻어진 액상 층을 separate funnel을 이용하여 200 mL 액상 층에 200 mL hexane을 첨가하여 층을 분리하였다.
  • 우지 alcoholysis 반응물의 구성성분을 측정하기 위하여 normal-phase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NP-HPLC, Younglin, Anyang, Korea) 분석을 실시하였다. 검출기는 evaporative light scattering detector(ELSD, SEDEX Model 75, Sedere, Alfortville, France)를 사용하였고 칼럼은 Hypersil BDS CPS 5 μ(250×4.
  • 유화안정도는 Turbiscan(Formulaction Co., Toulouse, France)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Emulsion 시료 10 mL를 취하여 측정용기(50 mm)에 넣은 후 28±2℃에서 유화안정도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후방산란(backscattering profile, %)에 근거하여 기울기 값으로 나타내었다(20).
  • 시료를 10분간 원심 분리(5,000 rpm)한 다음 상등 액의 형광광도를 UV-spectrophotometer로 532 nm에서 측정하였다. 이때 흡광도를 TBARS 값으로 표시하고, 1,1,3,3-tetraethoxypropane(TEP 표준물질을 이용한 표준 검량곡선에 의하여 산출하였다 (23).
  • 우지 alcoholysis 반응물(110 g)에 메탄올(1,100 mL)과 요소(220 g)을 첨가하여 65℃ water bath에서 용해시키고 2℃에서 14시간 동안 방치한 후, 감압여과 장치를 이용하여 액상 층과 요소 층으로 분리하였고 얻어진 액상 층을 separate funnel을 이용하여 200 mL 액상 층에 200 mL hexane을 첨가하여 층을 분리하였다. 이후 밑층을 버리고 증류수로 여러 번 수세하였고 anhydrous sodium sulfate column을 이용하여 hexane 층의 수분 및 불순물을 제거한 후, rotary vacuum evaporator(N-1000, EYELA, Tokyo, Japan)와 질소를 이용하여 용매를 제거하면서 액상 층의 우지 반응물을 추출하였다. 요소 층에 포접된 포화지방산이 많은 우지 alcoholysis 반응물을 추출하기 위하여 먼저 획득된 포접 요소 층을 증류수로 용해한 후 위에 설명한 방법으로 추출하였다.
  • 이후 이 반응물을 유상으로 하여 포화도가 다른 oil-in-water emulsion[5(Σ SFA5)-72%(ΣSFA72)]을 제조하여 포화도 변화에 따른 emulsion의 유화안정성 및 산화안정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 제조한 emulsion의 지방구 평균 입자 크기는 입도분석기 (Mastersizer S, Malvern Instrument, Worcestershire, UK) 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결과는 weight mean diameter (d43)와 volume-surface mean diameter(d32)로 표시하였다 (21).
  • 검출기의 분석 조건은 Jeon과 Lee(15)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한편 핵자기공명분광기(hydrogen nuclear magnetic resonance spectrum, Bruker Advance Ⅲ 600 spectrometer operating at 600.13 MHz, Bruker Corp., Karlsruhe, Germany)를 사용하여 우지 alcoholysis 반응물의 각 성분 mol%를 측정하였다. 시료를 hydrogen nuclear magnetic resonance(1H-NMR)용 튜브에 50 mg을 채우고 700 μL의 CDCl3를 혼합하여 분석하였다(16).

대상 데이터

  • , Ltd.(Tokyo, Japan)로부터 구입하였다. 요소 분획 시 사용된 methanol과 hexane은 normal-grade이었고, 이외의 용매는 분석용 특급시약을 사용하였다.
  • Emulsion 제조에 사용된 원료유는 우지 alcoholysis 반응물로써 농촌진흥청 바이오디젤 센터(전라남도 무안)에서 제공받았고, 유화제로 사용된 L-α-phosphatidylcholine(from soybean, type IV-S, ≥30)와 ammonium thiocyanate, barium chloride dihydrate, iron(Ⅱ) sulfate heptahydrate, trichloroacetic acid, deuterated chloroform(chloroform-d, 99.9 atom% D, containing 0.1% v/v, tetramethylsilane)은 Sigma-Aldrich(St. Louis, MO, USA)의 제품을 사용하였으며, 2,6-di-tert-butyl-4-methylphenol은 Junsei Chemical Co., Ltd.
  • 검출기는 evaporative light scattering detector(ELSD, SEDEX Model 75, Sedere, Alfortville, France)를 사용하였고 칼럼은 Hypersil BDS CPS 5 μ(250×4.6 mm, Thermo Hypersil Ltd., Cheshire, UK)를 사용하였다.

데이터처리

  • 실험별 결과는 SPSS(version 16.0, SPSS Inc., Chicago, IL, USA)를 이용하여 p<0.05 수준에서 Duncan's multiple range test(DMRT)로 샘플 간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이론/모형

  • ES 측정은 Lima와 Alegre(19)가 제시한 방법을 이용하였다. ES를 구하기 위하여 emulsion 20 μL를 bis-tris buffer(pH 7) 5 mL로 희석하여 540 nm에서 15분 간격으로 3,000 rpm에서 15분간 원심분리(centrifuge, HA1000-3, Hanil Science Industrial Co.
  • , Cheshire, UK)를 사용하였다. 검출기의 분석 조건은 Jeon과 Lee(15)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한편 핵자기공명분광기(hydrogen nuclear magnetic resonance spectrum, Bruker Advance Ⅲ 600 spectrometer operating at 60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중 유적형 Emulsion의 산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이때 분산된 입자 크기에 따라 macroemulsion (1~10 μm, 유백색), microemulsion(2~100 nm, 투명한 성상)과 nanoemulsion(20~200 nm, 푸른빛)으로도 구분된다 (1,2). 이들 emulsion에서도 산화가 진행되는데, 특히 수중 유적형(O/W) emulsion의 산화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emulsion을 구성하는 유지 particle의 조성과 관계가 있기도 하며, 또한 수용액상의 pH, 처리온도, ionic strength, 사용된 유화제의 성질, prooxidant의 농도 및 존재 위치, 그리고 packing parameter 등과도 연관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3-5). 한편 emulsion에서는 물과 접촉되는 지방구들의 표면적이 매우 크기 때문에 가수분해가 일어나기 쉬우므로 다른 지방질 식품이나 식용유지에 비하여 가수분해에 의한 산패가 중요시되기도 하는데, 이와 같은 산화의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peroxide values(POV), 공액이중결합측정법(CDA) 및 2-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TBARS)법, p-anisidine values(p-AV), 극성물질 측정법(total polar material, TPM) 등이 많이 이용된다(6-8)
emulsion의 산화정도를 알아보기 위해서 사용하는 방법은? 이들 emulsion에서도 산화가 진행되는데, 특히 수중 유적형(O/W) emulsion의 산화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emulsion을 구성하는 유지 particle의 조성과 관계가 있기도 하며, 또한 수용액상의 pH, 처리온도, ionic strength, 사용된 유화제의 성질, prooxidant의 농도 및 존재 위치, 그리고 packing parameter 등과도 연관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3-5). 한편 emulsion에서는 물과 접촉되는 지방구들의 표면적이 매우 크기 때문에 가수분해가 일어나기 쉬우므로 다른 지방질 식품이나 식용유지에 비하여 가수분해에 의한 산패가 중요시되기도 하는데, 이와 같은 산화의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peroxide values(POV), 공액이중결합측정법(CDA) 및 2-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TBARS)법, p-anisidine values(p-AV), 극성물질 측정법(total polar material, TPM) 등이 많이 이용된다(6-8)
분산 형태에 따른 emulsion의 종류는? 일반적으로 emulsion은 분산 형태에 따라 유중수적형인 W/O형과 수중유적형인 O/W형으로 구분하며 O/W emulsion에 오일을 재분산하여 만든 O/W/O 형과 W/O emulsion 에 물을 재분산하여 만든 W/O/W 형의 multiple emulsion도 존재한다. 이때 분산된 입자 크기에 따라 macroemulsion (1~10 μm, 유백색), microemulsion(2~100 nm, 투명한 성상)과 nanoemulsion(20~200 nm, 푸른빛)으로도 구분된다 (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Nisisako T. 2008. Microstructured devices for preparing controlled multiple emulsions. Chem Eng Technol 31:1091-1098. 

  2. Tadros T, Izquierdo P, Esquena J, Solans C. 2004. Formation and stability of nano-emulsions. Adv Colloid Interface Sci 108-109: 303-318. 

  3. Aruoma OI. 1998. Free radicals, oxidative stress and antioxidants in human health and disease. J Am Oil Chem Soc 75: 199-212. 

  4. McCLements DJ, Deker EA. 2000. Lipid oxidation in oil-inwater emulsions: lmpact of molecular environment on chemical reactions in heterogeneous food systems. J Food Sci 65: 1270-1282. 

  5. McClements DJ. 2004. Food emulsions: principles, practice and techniques. 2nd ed. CRC press, Boca Raton, FL, USA. p 336. 

  6. Loh SK, Chew SM, Choo YM. 2006. Oxidative stability and storage behavior of fatty acid methyl esters derived from used palm oil. J Am Oil Chem Soc 83: 947-952. 

  7. Zhang Y, Yang L, Zu Y, Chen X, Wang F, Liu F. 2010. Oxidative stability of sunflower oil supplemented with carnosic acid compared with synthetic antioxidants during accelerated storage. Food Chem 118: 656-662. 

  8. Di Mattia CD, Sacchetti G, Mastrocola D, Pittia P. 2009. Effect of phenolic antioxidants on the dispersion state and chemical stability of olive oil O/W emulsions. Food Res Int 42: 1163-1170. 

  9. Tadros T. 2004. Application of rheology for assessment and prediction of the long-term physical stability of emulsions. Adv Colloid Interface Sci 108-109: 227-258. 

  10. Gu YS, Decker EA, McClements DJ. 2005. Influence of pH and carrageeenan type on properties of ${\beta}$ -lactoglobulin stabilized oil-in-water emulsion. Food Hydrocolloids 19:83-91. 

  11. Hong ST. 2008. Changes in the stability properties of methylcellulose emulsions as affected by competitive adsorption between methylcellulose and tween 20.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278-1286. 

  12. Dickinson E, Williams A. 1994. Orthokinetic coalescence of protein-stabilized emulsions. Colloids Surf A 88: 317-326. 

  13. Lin CC, Lin HY, Chen HC, Yu MW, Lee MH. 2009. Stability and characterisation of phospholipid-based curcumin-encapsulated microemulsions. Food Chem 116: 923-928. 

  14. Abdullah BM, Salimon J. 2010. Optimization of process variables using D-optimal design for separating linoleic acid in J atropha curcas seed oil by urea complex fractionation. Biotechnology 9: 362-367. 

  15. Jeon MS, Lee KT. 2009. Enzymatic synthesis of diacylglycerol oil from glyceryl mono-oleate and conjugated linoleic acid using a stirred-batch type reactor. Korean J Food Preserv 16: 246-252. 

  16. Kim YC, Han KH, Ryu JG. 2004. A study on the various characteristics of ultrasonic-energy-added w/o type emulsified fuel (II)-attaching importance to micro-explosion of droplet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J Ilass-Korea 9:29-34. 

  17. Zhang H, Shin JA, Lee KT. 2011. Reduction of saturated fatty acid methyl esters of biodiesel produced from beef tallow by acetone fractionation. J Korean Oil Chem Soc 28:472-481. 

  18. Hong ST. 2008 Competitive displacement of methylcellulose from oil-water interface by various emulsifier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271-1277. 

  19. Lima AS, Alegre RM. 2009. Evaluation of emulsifier stability of biosurfactant produced by Saccharomyces lipolytica CCT-0913. Braz Arch Biol Technol 52: 285-290. 

  20. Park JS, Lee YJ, Chun SS.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 added with banana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509-1515. 

  21. McClements DJ. 2004. Food emulsions: principles, practice and techniques. 2nd ed. CRC press, Boca Raton, FL, USA. p 175-232, 461-515. 

  22. Mei L, McClements DJ, Decker EA. 1999. Lipid oxidation in emulsions as affected by charge status of antioxidants and emulsion droplets. J Agric Food Chem 47: 2267-2273. 

  23. McDonald RE, Hultin HO. 1987. Some characteristics of the enzymatic lipid-peroxidation system in the microsomal fraction of flounder skeletal muscle. J Food Sci 52: 15-21. 

  24. Guillen MD, Ruiz A. 2005. Monitoring the oxidation of unstaturated oils and formation of oxygenated aldehydes by proton NMR. Eur J Lipid Sci Technol 107: 36-47. 

  25. Lee HJ, Bae JS, Lee ES, Kang HC, Lee KT, Hong ST. 2012. Emulsifying properties of surface-active substances from defatted rice bran by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Food Eng Prog 16: 172-179. 

  26. Lee JY, Mok C. 2010. Dispersion stability determination of Saengshik beverage by optical methods. Food Eng Prog 14: 41-48. 

  27. Jafari SM, He Y, Bhandari B. 2007. Production of sub-micron emulsions by ultrasound and microfluidization techniques. J Food Eng 82: 478-488. 

  28. Roozen JP, Frankel, EN, Kinsella JE. 1994. Enzymic and autoxidation of lipids in low fat foods: model of linoleic acid in emulsified hexadecane. Food Chem 50: 33-3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