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소년의 휴대폰 중독에 대한 성별 시간관 차이와 자기효능감과의 관계 분석
Analysis of Gender Difference in Time Perspectives and Relationship with Self-Efficacy about Mobile Phone Addiction of Adolescent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3 no.6, 2013년, pp.412 - 424  

현정석 (제주대학교 경영정보학과) ,  박찬정 (제주대학교 컴퓨터교육과) ,  하환호 (경남과학기술대학교 벤처경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정보기술의 발달과 함께 휴대폰 보급이 확대되면서 휴대폰 중독의 역기능이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휴대폰 중독은 아직 정신적으로 발달단계에 있는 청소년에게 심각한 악영향을 미치기 쉽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휴대폰 중독 예방을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성별과 시간관의 차이, 시간관과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1차로 1,224명의 중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성별 학교급별 시간관과 휴대폰 중독의 차이 분석을 실시하고 기존 연구와의 차이점을 기술하였다. 2차로 269명의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시간관과 자기효능감이 휴대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자기효능감이 매개변수 역할을 함을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중 고등학교 학생들의 휴대폰 중독 예방을 위한 교육적 제언을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ue to the rapid increase in mobile-phone use, various kinds of malfunctions have occurred recently. Among them, the mobile-phone addiction causes serious social problems. In particular, since teenagers are immature, they are easily addicted to new technology. In order to prevent from the mobile-ph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1차 설문은 현재지향적 시간관과 미래지향적 시간관, 휴대폰 중독에 대해서 성별간 및 학교급별간 차이를 분석하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2차 설문은 1차 설문의 후속 연구를 위한 것으로, 휴대폰 중독에 관한 주요 요인 중 자기효능감과 현재지향적 시간관의 인과관계를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 본 연구에서는 우선, 휴대폰 중독값과 시간관에 대해 성별의 차이를 학교급별로 비교해 봄으로써 단지 점수차 뿐만 아니라 변화 추이를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휴대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 간의 인과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시간관과 자기효능감, 휴대폰 중독과의 인과관계를 파악하는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 기존의 연구에서 중독에는 미래지향적 시간관보다 현재지향적 시간관이 훨씬 중요하다고 밝히고 있다[31]. 본 연구는 현재지향적 시간관을 현재쾌락적 시간관과 현재숙명론적 시간관으로 나누어 휴대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데 자기효능감이 매개변수 효과를 가지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1차와 2차 설문은 인구 50만 정도의 지방 소도시에서 실시되었으며, 설문 기간은 각각 30일 정도 소요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개인적인 특성 요인 중에서 시간관과 자기효능감에 초점을 두고 이 요인들이 어떻게 스마트폰을 포함한 휴대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한다. 이 때, 기존 연구와는 다르게 성별, 학교급별로 성장하면서 요인에 어떤 변화가 생기는지 분석하고 휴대폰 중독과 시간관에 각각 어떤 조절 효과 (moderation effect)를 갖는지 분석한다.
  • 본 연구에서는 우선 휴대폰 중독의 예방을 위해 휴대폰 중독값을 시간관과 성별, 학교급별로 어떤 특성을 갖는지를 중·고등학교 학생들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우선, 휴대폰 중독값과 시간관에 대해 성별의 차이를 학교급별로 비교해 봄으로써 단지 점수차 뿐만 아니라 변화 추이를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휴대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 간의 인과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시간관과 자기효능감, 휴대폰 중독과의 인과관계를 파악하는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 이 절에는 현재지향적 시간관과 자기효능감, 휴대폰 중독값이 서로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한다. 이를 통해 [가설 3]이 채택되는지의 여부를 살펴본다.
  • 이 절에서는 본 연구에서 사용하는 시간관, 자기효능감, 휴대폰 중독에 대한 조작적 정의를 내리고 연구를 진행하기 위한 설문항목의 작성과 내용을 기술한다.

가설 설정

  • [가설 1] 여학생의 휴대폰 중독값은 학년이 증가하면 감소하는 반면, 남학생의 휴대폰 중독값은 학년이 증가하면 증가할 것이다.
  • [가설 2] 여학생의 현재지향적 시간관은 학년이 증가하면 감소하는 반면, 남학생의 현재지향적 시간관은 학년이 증가하면 증가할 것이다.
  • [가설 3] 현재지향적 시간관이 휴대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효능감이 매개변수 역할을 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페트리(Petry)와 그의 동료의 연구에 의하면, 일반인과 마약중독자의 미래를 생각하는 시간지평은 어떠한 차이점을 보이는가? 중독자들이 미래를 생각하는 시간지평은 일반인보다 훨씬 짧다. 페트리(Petry)와 그의 동료의 연구에 의하면 일반인의 미래를 생각하는 시간지평이 4.7년 후를 생각하는 반면에 마약중독자의 미래를 생각하는 시간지평은 9일 후인 것으로 나타났다[16]. 미래지향적 시간관을 가진 사람은 현재지향적 시간관을 가진 사람보다 훨씬 더 눈앞의 만족을 미래로 미루고 미래의 보상을 기대한다[10].
자기효능감이란 무엇인가? 자기효능감이란 어떤 상황에서 적절한 행동을 할 수 있다는 기대와 신념이다[18]. 또한 주어진 상황에서 얼마나 유능할 것인가에 대한 개인의 판단으로서, 어떤 과업을 수행할 수 있다는 능력에 대한 믿음이기도 하다 26].
짐바르도 (Zimbardo)는 시간에 대한 가치관을 객관적인 척도로 나타내고자 어떻게 구분하였는가? 그는 시간에 대한 가치관을 객관적인 척도로 나타내고자 6 가지로 구분하였다. 즉, 과거긍정적, 과거부정적, 현재쾌락적, 현재숙명론적, 미래지향적, 초월적 미래지향적 시간관으로 구분하였다[10]. 시간관에 대한 측정은 과거와 현재 미래 중 언제의 일을 더 생각하며 높은 가중치를 두는가와 과거나 현재, 미래를 생각할 때 드는 느낌을 조사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http://www.newshankuk.com/news/content.asp?fs1&ss3&news_idx201209111110101173 

  2. 이만제,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 수준에 따른 감성지능 및 대인관계성향 차이",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9권, 제11호, pp.201-211, 2009. 

  3. 박찬정, 고영민, 김형철, 현정석, 김철민, "10대 청소년의 인터넷.휴대폰 중독 관점에서의 정보문화지수에 대한 고찰", 한국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제14권, 제3호, pp.13-24, 2011. 

  4. 김희재, 김종완, "인터넷 주활동 분석을 통한 사용자의 인터넷 중독진단에 관한 연구",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제16권, 제3호, pp.35-45, 2011. 

  5. 진은영, 서영미, "남자 고등학생의 분노표현, 자살생각 및 인터넷 중독 정도간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1호, pp.430-437, 2012. 

  6. 장성화, 조경덕, "청소년의 우울, 대인불안, 학교적응이 휴대전화 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9호, pp.285-293, 2010. 

  7. C. S. Dweck, Self-Theories: Their Role in Motivation, Personality, and Development, Psychology Press, 2008. 

  8. 정승교, 김춘길, "대학생의 우울, 스트레스, 자기효능감이 휴대폰 중독적 사용에 미치는 영향", 성인간호학회지, 제22권, 제1호, pp.41-50, 2010. 

  9. 김형지, 김정환, 정세훈, "스마트폰 중독의 예측 요인과 이용 행동에 관한 연구", 사이버커뮤니케이션 학보, 제29권, 제4호, pp.53-93, 2012. 

  10. 필립 짐바르도, 존 보이드, 타임 패러독스, 미디어윌, 2008. 

  11. Z. Mello and F. Worrell, "The Relationship of Time Perspective to Age, Gender, and Academic Achievement among Academically Talented Adolescents," Journal of the Education of the Gifted, Vol.29, No.3, pp.271-289, 2006. 

  12. L. K. Barber, D. C. Munz, P. G. Bagsby, and M. J. Grawitch, "When Does Time Perspective Matter? Self-Control as a Moderator between Time Perspective and Academic Achievement,"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Vol.46, pp.250-253, 2008. 

  13. N. Fieulaine and F. Martinez, "Time under Control: Time Perspective and Desire for Control in Substance Use," Addictive Behaviors, Vol.35, pp.799-802, 2010. 

  14. 박찬정, 김동환, 현정석, "초등.중학생의 시간관이 인터넷과 휴대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보교육학회논문지, 제15권, 제3호, pp.399-411, 2011. 

  15. http://www.thetimeparadox.com/zimbardo-time-perspective-inventory/ 

  16. N. M. Petry, W. K. Bickel, and M. Arnett, "Shortened Time Horizons and Insensitivity to Future Consequences in Heroin Addicts," Addiction, Vol.93, No.5, pp.729-738, 1998. 

  17. L. C. Guthrie, S. C. Butler, and M. M. Ward, "Time Perspective and Socio-economic Status: A Link to Socioeconomic Disparities in Health?" Social Science and Medicine, Vol.68, pp.2145-2151, 2009. 

  18. A. Bandura, Self-Efficacy Mechanism in Human Agency, American Psychologists, Vol.37, No.2, pp.122-147, 1982. 

  19. A. Bandura (박영신, 김의철 옮김), 자기효능감과 삶의 질 : 교육, 건강, 운동, 조직에서의 성취, 교육과학사, 1997. 

  20. 차정은, 일반적 자기효능감 척도개발을 위한 일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7. 

  21. A. Bandura, Self-Efficacy Beliefs of Adolescents, Information Age Publishing, 307-337, 2006. 

  22. 한국정보화진흥원, 스마트폰중독 진단 척도 개발 연구, 한국정보화진흥원 연구개발보고서, 2011. 

  23. 구현영, 박현숙, "청소년의 휴대전화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아동간호학회지, 제16권, 제1호, pp.56-65, 2010. 

  24. 최은숙, 중소도시 청소년의 휴대전화 중독의 원인과 실태- 포천시 중고등학생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국민대학교, 2006. 

  25. Z. Mello and F. Worrell, "The Relationship of Time Perspective to Age, Gender, and Academic Achievement among Academically Talented Adolescents," Journal of the Education of the Gifted, Vol.29, No.3, pp.271-289, 2006. 

  26. W. S. Silver, T. R. Mitchell, and M. E. Gist, "Responses to successful and unsuccessful performance: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ormance and Attributions,"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Vol.62, pp.286-299, 1995. 

  27. 황용석, 박남수, "청소년 휴대전화 중독 요인과 중독 예방에 있어 부모. 교사의 역할 연구", 한국방송학보, 제25권, 제5호, pp.309-348, 2011. 

  28. 남진열, "대학생의 개인특성과 인터넷 및 휴대전화 중독과의 관계 연구", 한국청소년연구, 제22권, 제4호, pp.5-32, 2011. 

  29. D. Romer, "Adolescent Risk Taking, Impulsivity, and Brain Development: Implications for Prevention," Development Psychology, Vol.52, No.3, pp.263-276, 2010. 

  30. C. Ko, J. Yen, C. Chen, S, Chen, and C. Yen, "Gender Differences and Related Factors Affecting Online Gaming Addiction Among Taiwanese Adolescent," Journal of Nervous and Mental Disease, Vol.193, No.4, pp.273-277, 2005. 

  31. K. A. Keough, "Who's Smoking, Drinking, and Using Drugs? Time Perspective as a Predictor of Substance Use," Basic and Applied Social Psychology, Vol.21, No.2, pp.149-164, 1999. 

  32. 장희선, 문용린, "도덕판단력검사(KDIT)의 초등학생 이해도 분석-딜레마 이해와 수행절차 이해를 중심으로," 교육심리연구, 제24권, 제2호, pp.347-370, 2010. 

  33. 박찬정, 현정석, 하환호, "구조방정식 모형과 우세 분석을 통한 청소년의 인터넷.휴대폰 중독 비교,"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제16권, 제2호, pp.11-22, 2013. 

  34. Y. Trope and N. Liberman, "Construal-level Theory of Psychological Distance," Psychological Review, Vol.117, No.2, pp.440-463, 2010. 

  35. L. Steinberg, S. Graham, L. O'Brian, J. Woolard, E. Cauffman, and M. Banich, "Age Difference in Future Orientation and Delay Discounting," Child Development, Vol.80, No.1, pp.28-44, 2009. 

  36. 도재우, 양용칠, "행동조절 촉진전략을 반영한 학습플래너가 자기조절학습기능의 향상에 미치는 효과", 사고개발, 제7권, 제2호, pp.1-17, 2011. 

  37. C. Townsend and W. Liu, "Is Planning Good For You? The Differential Impact of Planning on Self Regulation,"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39, No.4, pp.688-703,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