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과 의사소통능력, 임상수행능력, 임상실습스트레스와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Communication skill, Clinical competence & Clinical practice stress in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4 no.6, 2013년, pp.2749 - 2759  

이외선 (창신대학교 간호학과) ,  구미옥 (경상대학교 간호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과 의사소통능력, 임상수행능력, 임상실습스트레스와의 관계를 파악하기위해 시도되었다. 간호대학 2학년에 재학중인 184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2년 1월 5일부터 2012년 2월 29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SPSS WIN18을 이용하여 빈도, t-test, ANOVA, 피어슨 상관계수,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과 의사소통능력, 임상수행능력, 임상실습스트레스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여 감성지능이 높을수록 의사소통능력 및 임상수행능력이 높고 임상실습스트레스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및 임상수행능력을 향상시키고 임상실습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감성지능을 증진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 및 검증을 제언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communication skill, clinical competence & clinical practice stress of nursing students. Subjects were 184 associate nursing students(2nd grade) in Korea.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self -report questionnaire fro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에서 감성지능의 중요성을 확인 하기 위해 설문지를 이용하여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과 의사소통능력, 임상수행능력, 임상실습스트레스와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과 의사소통능력, 임상수행능력 및 임상실습스트레스를 파악하고 감성지능과 의사소통능력, 임상수행능력 및 임상실습스트레스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과 의사소통능력, 임상수행능력, 임상실습 스트레스와의 관계를 규명하여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과 임상수행능력 향상시키고 임상실습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전략을 마련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과 의사소통능력, 임상수행능력, 임상실습스트레스와의 관계를 규명하여 간호대학생에서 감성지능의 중요성을 확인하고, 의사소통능력 및 임상수행능력을 향상시키고 임상실습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전략을 마련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과 의사소통능력, 임상수행능력, 임상실습스트레스와의 관계를 규명하므로써 간호교육에서 감성지능의 중요성을 확인하고, 앞으로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과 임상수행능력을 향상시키고 임상실습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전략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감성지능은 무엇인가? 감성지능(emotional intelligence)은 인간이 가지고 있는 심리적 성향 중 긍정적 감정 성향으로 다양한 상황에서 자신과 타인의 감성을 이해하고, 감성을 조절하고, 감성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12]. 또한 감성지능은 훈련이나 교육을 통해 향상될 수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13].
해외 선행연구에서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감성지능과 간호수행능력, 감성지능과 스트레스 대처, 심리적 안녕감, 스트레스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에 대하여 어떠한 연구결과가 나타났는가?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국외에서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감성지능과 간호수행능력[16], 감성지능과 스트레스 대처, 심리적 안녕감, 스트레스와의 관계[17]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연구결과 감성지능이 간호수행능력을 향상시키고[16], 문제중심대처와 안녕감을 증진시키고,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것[17]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아직 국내에서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감성지능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으로 1편[18]에 불과하며,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의사소통능력, 임상수행능력과의 관계를 본 연구는 없는 상태이다 .
간호교육의 목적은 무엇인가? 간호교육은 간호대학생이 간호실무 현장에서 요구하는 지식, 기술과 태도 등의 핵심간호역량을 갖추도록 준비시켜 향후 전문적인 간호서비스를 제공하는 역량 있는 간호사로 양성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D. Chan, "Development of the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inventory: Using of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learning environment studies to assess nursing students' perception of the hospital as a learning environment",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41(2), pp.69-75, 2002. 

  2. Trend Monitor, 2012 mVoIP Survey, TK_201207_NW_0876, trendmonitor.co.kr, 2012. 

  3. Venkatesh, V., Morris, M., Davis, G., & Davis, F.,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Toward a unified view", MIS Quarterly, 27(3), pp. 425-478, 2003 

  4. Casey, T., Wilson-Evered, E., "Predicting uptake of technology innovations in online family dispute resolution services: An application and extension of the UTAUT",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8(6), pp. 2034-2045, 2012. DOI: http://dx.doi.org/10.1016/j.chb.2012.05.022 

  5. Im, I., Hong, S., Kang, M. S., "An international comparison of technology adoption", Information & Management, 48(1), pp. 1-8, 2011. DOI: http://dx.doi.org/10.1016/j.im.2010.09.001 

  6. Kijsanayotin, B., Pannarunothai, S., Speedie, S. M., "Factors influencing health information technology adoption in Thailand's community health centers: applying the UTAUT model", International Journal of Medical Informatics, 78(6), pp. 404-416, 2009. DOI: http://dx.doi.org/10.1016/j.ijmedinf.2008.12.005 

  7. San Martin, H., Herrero, A., "Influence of the user's psychological factors on the online purchase intention in rural tourism: Integrating innovativeness to the UTAUT framework", Tourism Management, 33(2), pp. 341-350, 2012. DOI: http://dx.doi.org/10.1016/j.tourman.2011.04.003 

  8. Min, Q., Ji, S., Qu, G., "Mobile Commerce User Acceptance Study in China: A Revised UTAUT Model", Tsinghua Science & Technology, 13(3), pp. 257-264, 2008. DOI: http://dx.doi.org/10.1016/S1007-0214(08)70042-7 

  9. Shin, D.-H., "MVNO services: Policy implications for promoting MVNO diffusion", Telecommunications Policy, 34(10), pp. 616-632, 2010. DOI: http://dx.doi.org/10.1016/j.telpol.2010.07.001 

  10. Zhou, T., Lu, Y., Wang, B., "Integrating TTF and UTAUT to explain mobile banking user adoption",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6(4), pp. 760-767, 2010. DOI: http://dx.doi.org/10.1016/j.chb.2010.01.013 

  11. Shin, D., "What makes consumers use VoIP over mobile phones? Free riding or consumerization of new service", Telecommunications Policy, 36(4), pp. 311-323. 2012. DOI: http://dx.doi.org/10.1016/j.telpol.2012.01.004 

  12. Liao, C.-H., Tsou, C.-W., "User acceptance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The SkypeOut case", Expert Systems with Applications, 36(3), pp. 4595-4603, 2009. DOI: http://dx.doi.org/10.1016/j.eswa.2008.05.015 

  13. Kim, M., Park, J., Paik, J., "Factors Influencing Adoption for Activating Mobile VoIP", Management Enabling the Future Internet for Changing Business and New Computing Services, Lecture Notes in Computer Science, 5787, pp 470-472, 2009. 

  14. Davis, F. D.,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MIS Quarterly, 13(3), pp. 319-340, 1989. DOI: http://dx.doi.org/10.2307/249008 

  15. Davis, F. D., Bagozzi, R. P., Warshaw, P. R., "User Acceptance of Computer Technology: A Comparison of Two Theoretical Models", Management Science, 35(8), pp. 982-1003, 1989. DOI: http://dx.doi.org/10.1287/mnsc.35.8.982 

  16. Ajzen, Icek.,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50(2), pp. 179-211, 1991. DOI: http://dx.doi.org/10.1016/0749-5978(91)90020-T 

  17. Taylor, Shirley, Peter A Todd, "Understanding Information Technology Usage: A Test of Competing Models",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6(2), pp. 144-176, 1995. DOI: http://dx.doi.org/10.1287/isre.6.2.144 

  18. Taylor, Shirley, Peter Todd, "Assessing IT Usage: The Role of Prior Experience", MIS Quarterly, 19(4), pp. 561-570, 1995. DOI: http://dx.doi.org/10.2307/249633 

  19. Moon, J, Y Kim, "Extending the TAM for a World-Wide-Web Context", Information & Management, 38(4), pp 217-230, 2001. DOI: http://dx.doi.org/10.1016/S0378-7206(00)00061-6 

  20. Bollen, K. A., Structural equations with latent variables, Wiley, 1989. 

  21. Chau, P. Y. K., "Re-examining a Model for Evaluating Information Center Success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pproach", Decision Sciences, 28(2), pp. 309-334, 1997. DOI: http://dx.doi.org/10.1111/j.1540-5915.1997.tb01313.x 

  22. Kim, Bo Youn, Mincheol Kang, Sang-Gun Lee, "The Effect of Cognitive Absorption on the Individual Intention of Technology Acceptance: An Empirical Study on the MP3 Player",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16(1), pp. 45-68, 2006. 

  23. Browne, M. W. Cudeck, R.,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Sociological Methods and Research, 21(2), pp. 230-258, 1992. DOI: http://dx.doi.org/10.1177/0049124192021002005 

  24. C. Barrett, & F.Myrick, "Job satisfaction in preceptorship and its effect on the clinical performance of the preceptee", Journal Advence Nursing, 27(2), 364-371, 1998. DOI: http://dx.doi.org/10.1046/j.1365-2648.1998.00511.x 

  25. W. H. Lee, C. J. Kim, J. S. Yoo, H. K. Hur, K. S. Kim, & S. M. Lim. "Development of clinical competency measurement tool for student", Journal Nursing Science, 13, pp.17-29, 1990. 

  26. M. S. Choi,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ing Effectiveness of Clinical Nursing Education and Clinical Competency in Nursing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005. 

  27. R. S.Lazarus, & S.Folkman,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 York Springer Publishing Company, 1984. 

  28. S. J. Whang, "Development and verification of a tool for the nursing students' clinical stress", Journal of the Margaret Pritchard Colleage of Nursing, 14(1), pp.35-54, 2002. 

  29. E. J. Choi,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Rearing Attitude, Emotional Intelligenc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egu University, Gyeongbuk,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