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 임상실습스트레스와 임상수행능력의 융복합적 관계

Convergence Relationship among Interpersonal Competence, Clinical Stress and Clinical Competence in Nursing Students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7 no.5, 2019년, pp.279 - 286  

임은정 (대전과학기술대학교 간호학과) ,  이미향 (건양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과 임상실습스트레스가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을 높이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임상실습을 경험한 3, 4학년 242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조사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대인관계능력은 3.36점, 임상실습스트레스는 2.80점, 임상수행능력은 3.48점으로 나타났다. 대인관계능력과 임상실습스트레스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임상실습스트레스와 임상수행능력은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전공만족도와 대인관계능력으로 설명력은 26.4%로 나타났다.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교육과정 개발시 전공만족도와 대인관계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material that can strengthen the clinical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by understanding the impact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clinical stress have on clinical competence. Research was conducted on 242 students in the junior and senior years of colleg...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대인관계능력, 임상실습스트레스 및 임상수행능력 정도를 확인하고, 임상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 임상실습스트레스 및 임상수행능력 정도를 확인하고 임상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된 연구이다. 그 결과 대인관계능력과 임상수행능력은 양의 상관관계이며 임상실습스트레스와 임상수행능력과는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 임상실습스트레스 및 임상수행능력을 파악하고,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여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 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목적은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 능력, 임상실습 스트레스 및 임상수행능력의 정도를 파악하고 임상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함이다.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전공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학교 교수들의 다양한 교육방법과 전략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고 임상실습 전까지 학생들의 대인관계능력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역할극 체험 등의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의 의의는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 향상 프로그램 개발시 기초자료를 제공한 것에 의의가 있다고 본다. 그러나 본 연구 대상자는 일부 지역에 국한하여 임의 표집으로 조사하여 선정하였으므로 연구 결과의 해석과 일반화에 제한점이 있다.
  • 이에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 임상실습 스트레스 및 임상실습수행능력 정도를 파악하고 임상수행능력을 높일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임상실습 스트레스란 무엇인가? 임상실습교육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실제 교육현장에서 배운 이론적인 지식을 의료현장에서 확인하고 실제 환자에게 적용하는 과정의 어려움, 의료진 및 대상자와의 대인관계에서 겪는 어려움, 간호기술 및 수행능력의 미흡으로 발생하는 무력감으로 인해 임상실습 스트레스를 경험하며 심리적 불안이 증가하고 있다[8-10]. 임상실습 스트레스는 임상실습에 대한 긴장, 불안 등의 부정적인 요인으로 인하여 효율적으로 임상실습을 진행하는데 방해가 되는 상태[11]를 말한다. 간호대학생은 임상실습이라는 낯선 환경, 자신감 결여, 과도한 과제물, 전문지식부족, 이론과 실습의 차이로 인한 혼돈, 예상치 못한 위기상황 등으로 임상실습스트레스를 경험한다[8].
대인관계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한 이유는? 임상현장에서 간호사의 역할을 수행할 때 간호대학생 때 보다 더 많은 대인관계 갈등이 예측되므로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을 확인하고 학부 교육과정에서부터 대인관계능력을 향상시킬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
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다양한 중재전략 수립 및 수행이 필요한 이유는?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스트레스의 선행연구를 보면 임상실습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자아존중감과 임상수행능력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12,13]. 즉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스트레스가 임상수행능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환자에게도 제공되는 간호서비스의 질을 낮추는 결과를 초래할 것을 예측된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한 다양한 중재전략 수립 및 수행은 질적인 간호서비스 제공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H. S. Cho. (2005). A Study on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clinical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1(2), 222-23. 

  2. K. E. Lee, N. S. Ha & S. Y. Kil. (2000).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sclosure and clinical competency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0(3), 571-583. 

  3. S. J. Han. (2000).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empowerment and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in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6(1), 132-146. 

  4. H. W. Kwak & J. E. Yi. (2016). Relation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clinical stress and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7(2), 147-155. DOI : 162/KAIS.2016.17.2.147 

  5. Y. K. Yang. (2018). Influences of communication skill and interpersonal ability on clinical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5(2), 99-108. DOI : 10.7769/jkafn.2018.25.2.99 

  6. Y. E. Kwon, S. Y. Kim. (2019). Factors influencing communication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clinical practice. Journal of Lea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9(3), 967-981. DOI : 10.22251/jlcci.2019.19.3.967 

  7. H. E. Peplau. (1997). Peplau's theory of interpersonal relations. Nursing Sceience Quarterly, 10(4), 162-167. 

  8. S. L. Kim & J. E. Lee. (2005). Relationship among stress, coping strategies, and self-esteem in nursing students taking clinical experience.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1(1), 98-106. 

  9. H. S. Kim. (2002).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stress of clinical practice and clinical competency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16(1), 64-76. 

  10. Y. S. Song. (2018). Clinical practice stress and burnout in nursing students : the mediating effect of empathy.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4(4), 406-414. DOI : 10.5977/jkasne.2018.24.4.406 

  11. S. J. Whang. (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clinical stress, self-efficacy, and self-esteem of nursing college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2(2), 205-213 

  12. I. S. Kim, Y. K. Jang, S. H. Park & S. H. Song. (2011).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stress of clinical practice and clinical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7(3), 337-345. 

  13. H. S. Yu. (2015). Relationship among stress of clinical practice, practice satisfaction and clinical competence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7(2), 1129-1144. 

  14. C. Barrett & F. Myrick. (1998). Job satisfaction in preceptorship and its effect on the clinical performance of the precepte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7(2), 364-371. 

  15. J. Lee-Hsieh, K. Chihui, K. Chienlin & H. F. Tseng. (2003). Clinical nursing competence of RN-to-BSN students in a nursing concept-based curriculum in taiwan.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42(12), 536-545. 

  16. E. H. Choi. (2009).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identity and clinical competency in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5(1), 15-21. 

  17. J. J. Yang. (2009). The influencing factors on clinical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5(2), 159-165. 

  18. H. S. Kang, Y. Y. Kim & H. S. Lee. (2018). Predictive factors influencing clinical competence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c-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9(3), 389-398. DOI : 10.5762/KAIS.2018.19.3.389 

  19. R. F. Baumeister & M. R. Leary. (1995). The need to belong: desire for interpersonal attachment as a fundamental human motivation. Psychological Bulletin, 117, 497-529. 

  20. N. R. Han & D. G. Lee. (2010). Validation of the korean in korean college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ling and Psychotherapy, 22(1), 137-156. 

  21. D. L. Beck & R. Srivastava. (1991). Perceived level and sources of stress in baccalaureate nursing students.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30(3), 127-133. 

  22. O. H. Lee, J. J. Kim, J. S. Yoo, H. K. Hur, K. S. Kim & O. M. Im. (1990). Development of clinical performance measurement tools for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Yonsei University, 50(13). 17-29. 

  23. M. S. Choi. (2005).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ing effectiveness of clinical nursing education and clinical competency in nursing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University. Seoul. 

  24. M. O. Chae. (2016). Ego resilience, empathic abil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7(5), 95-103. DOI : 10.5762/KAIS.2016.17.5.95 

  25. H. S. Jeong & K. L. Lee. (2012). Factors affecting nursing students'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4(5), 2635-2647. 

  26. M. O. Kim & J. A. Cha. (2018). Convergence relationship between clinical practice stress after gerontological nursing practice,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and nursing image of nursi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6(9), 247-256. DOI : 10.14400/JDC.2018.16.9.247 

  27. M. S. Chung. (2014). Relations on self-estem, empath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for reinforcing competence in communication of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2), 332-340. DOI : 10.5977/jkasne.2014.20.2.332 

  28. H. J. Kwon, H. S. Kim, G. S. Choi, K. S. Lee & Y. H. Sung. (2008). A study on verbal abuse experienced at medical center.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3(2), 113-12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보고서와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