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침입외래식물 가시상추의 확산과 생육지 유형별 분포 특성
Spreading and Distribution of Lactuca scariola, Invasive Alien Plant, by Habitat Types in Korea 원문보기

Weed & Turfgrass Science, v.2 no.2, 2013년, pp.138 - 151  

김영하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 환경자원연구부) ,  길지현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 환경자원연구부) ,  황선민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 환경자원연구부) ,  이창우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 환경자원연구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국화과에 속하는 유럽 원산의 외래잡초인 가시상추(Lactuca scariola)의 분포와 생육지 유형별 특성을 조사하여 관리 계획에 필요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가시상추는 전국의 211개 지점에서 분포가 확인되었고, 생육지 유형은 크게 나지, 도로변, 항구 및 항만 주변과 하천변 등 4가지로 구분되었다. 종순위-우점도 곡선을 이용한 종다양성 지수는 도로변에서 가장 높았고, 항구 및 항만주변, 나지, 도로변의 순서였다. 생육지 유형별로 총 32개 조사지역에서 공통 출현한 식물의 빈도는, 달맞이꽃이 24회로 가장 높았고, 돼지풀 17회, 쑥 16회 등이 조사되었다. 또한, 가시상추 생육지에서의 식물상은 총 26과 77속 89종 7변종 1품종으로 총 97분류군이 확인되었는데, 외래식물은 44종으로 전체의 45.4%를 차지하였다. 생활형을 분석한 결과, Th-D4-R5-e로 1년생 식물(Th)이 가장 높은 빈도를 차지하여 가시상추의 생육지가 인간 활동으로 인하여 교란된 지역임을 나타내었다. 가시상추는 주로 새롭게 건설되는 도로를 따라 바람길로 확산되고 있고, 나지에서는 선구종의 역할을 하고 있다. 생육지 유형별 도시화지수(UI)는 도로변 9.1%, 방조제항이 7.4%로 다른 생육지보다 높은 도시화지수를 나타내어, 이 유형이 가시상추뿐만 아니라 외래식물이 비교적 침입하기 좋은 입지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가시상추의 생육지는 분포면적에 비해 생육밀도가 비교적 낮고 인위적 교란이 자주 일어나는 천이 초기식생 지역이므로 지속적인 관리가 이루어질 경우 가시상추의 확산 방지효과가 클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and habitat types of prickly lettuce, Lactuca scariola of Europe origin for supplying the basic data of management plan. It showed fairly nation-wide distribution although excessive growth was rather limited in the wild. Its habitat types we...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와 같이 침입성이 있는 외래식물의 관리에 있어 최초 유입시기 이후 시간에 따른 전국적인 분포의 확산 및 생육지에 따른 생태적 영향을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최초 보고로부터 30여 년이 흐른 시점에서 가시상추의 전국적인 분포 양상을 확인하고, 가시상추의 생육지 유형별 생태계 영향을 조사하여 향후 가시상추의 확산방지 및 효과적인 관리방안을 도출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국화과에 속하는 유럽 원산의 외래잡초인 가시상추(Lactuca scariola)의 분포와 생육지 유형별 특성을 조사하여 관리 계획에 필요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가시상추는 전국의 211개 지점에서 분포가 확인되었고, 생육지 유형은 크게 나지, 도로변, 항구 및 항만 주변과 하천변 등 4가지로 구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침입외래종이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이 악화되게 하는 요인은? 새로운 서식지로 이동한 생물이 그 곳에서 위협적 존재가 되는 비율은 매우 낮지만 식품 안전이나 동식물 및 인간의 보건, 나아가 경제발전에 침입외래종이 미치는 부정적 영향은 크고 심각하다(Secretariat of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2009). 침입외래종이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은 기후의 변화, 서식지 파괴, 환경오염 및 인간에 의한 생태계 교란 등으로 인해 더욱 악화된다(Kil et al., 2012).
가시상추는 우리나라에서 언제 처음 발견되었는가? 가시상추(Lactuca scariola)는 유럽 원산의 국화과 식물로 알려져 있으며, 4~5월에 발아하여 그 해에 생활환을 완성시키는 하계 일년생과 10~12월에 발아해서 로제트 형태로 월동하여 이듬해 생활환을 완성시키는 동계 일년생(월년생)이 있다(Bae and Ri, 1996; Prince and Marks, 1982). 우리나라에는 외래식물의 도입시기 판단기준(Park, 1994)에 의해 제3기에 해당하는 1978년 김포공항에서 처음 발견되어(Jeon, 1993) 1980년 최초 기재되었다(Yim and Jeon, 1980). 가시상추는 천이의 초기단계에 출현하는 선구식물로(Bae and Ri, 1996; Oberdorfer, 1970) 유럽 전체에 걸쳐 분포하고, 북미, 남아프리카와 아르헨티나에서 잡초로 정착하였다(Boukema et al.
침입외래종은 무엇인가? , 2011). 이 가운데 특히 문제가 되는 침입외래종(Invasive Alien Species, IAS)이란 원래의 서식지에서 다른 곳으로 이동한 결과 생물다양성을 위협하게 된 생물종을 말한다. 새로운 서식지로 이동한 생물이 그 곳에서 위협적 존재가 되는 비율은 매우 낮지만 식품 안전이나 동식물 및 인간의 보건, 나아가 경제발전에 침입외래종이 미치는 부정적 영향은 크고 심각하다(Secretariat of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9)

  1. Bae, J.W. and Ri, C.U. 1996. Habitat of a neophyte, prickly lettuce (Lactuca serriola L.). J. Nat. Sci. 16: 243-252. (In Korean) 

  2. Boukema, I.W., Hazekamp, Th. and van Hintum, Th.J.L. 1990. The CGN collection reviews: The CGN lettuce collection. Centre for genetic resources, Wageningen, Netherlands. pp. 2-5. 

  3. Bowra, J.C. 1992. Prickly lettuce (Lactuca serriola) - a population explosion in Warwickshire. BSBI News 60:12-16. 

  4. Brant, V., Svobodova, M., Santrucek, J. and Belka, J. 1999. Locika kompasova na pude uvad ene do klidu (Prickly lettuce on soils transferred to the quiet). In: Badalikova, B. & R. Pokorny (eds.), Rostlinoleka nstvi (Plant Medicine). Proceedings of scientific conference, Brno 9-10 November 1999; Vyzkumny ustav picnina rsky s.r.o. Troubsko u Brna, Czech Republic. pp. 11-17. 

  5. Frietema de Vries, F.T., Van der Meijden, R. and Brandenburg, W.A. 1994. Botanical files on lettuce (Lactuca sativa). Gorteria Supp. 2:1-34. 

  6. Han, J.S., Cheon, K.S., Kim, K.A., Jung, H.J. and Yoo, K.O. 2011. Flora of the southeastern areas of Gangwon-do (Donghae-si, Samcheok-si). Korean J. Pl. Taxon 41(4):383-397. (In Korean) 

  7. Hill, M.O. 1979. DECORANA -A FORTRAN program for detrended correspondence analysis and reciprocal averaging-, Cornell University Ithaca, New York, USA. p.52. 

  8. Hooftman, D.A.P., Oostermeijer, J.G.B. and den Nijs, J.C.M. 2006. Invasive behaviour of Lactuca serriola (Asteraceae) in the Netherlands: Spatial distribution and ecological amplitude. Basic Appl. Ecol. 7:507-519. 

  9. Jeon, E.S. 1993. Newly reported naturalized plants (VII). Ama. Bot. Club of Korea 29:412-413. (In Korean) 

  10. Kil, J.H., Kim, Y.H., Lee, D.H., Lee, C.W., Hwang, S.M., et al. 2010. Monitoring of invasive alien species designated by the Wildlife Protection Act (IV).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Report, Incheon, Korea. (In Korean) 

  11. Kil, J.H., Kim, Y.H., Kim, H.M., Lee, D.H., Lee, C.W., et al. 2011. Monitoring of invasive alien species designated by the Wildlife Protection Act (V).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Report, Incheon, Korea. (In Korean) 

  12. Kil, J.H., Kim, Y.H., Kim, H.M., Lee, D.H., Lee, C.W., et al. 2012. Monitoring of invasive alien species designated by the Wildlife Protection Act (VI).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Report, Incheon, Korea. (In Korean) 

  13. Kim, C.N. 2001. Flora and forest vegetation of Mt. Hambaek. MD. Dissertation, Kangwon National Univ. Chuncheon, Korea. (In Korean) 

  14. Kim, C.H., Ahn, D.S., Kim, M.S. and Jeong, N.R. 2006. A study on the flora and vegetation of Konji neighborhood park, Jeonju. Korean Ins. Forest Recre. 10(2):41-52. (In Korean) 

  15. Kim, C.H., Choi, Y.E., Kim, J.W., Myong, H. and Lee, S.I. 2011. 3-year change of vegetation and life form at the man-made wetland in Shinpyeongcheon, Suncheon-City. Kor. J. Env. Eco. 25(1):57-64. (In Korean) 

  16. Kim, H.S. and Oh, C.H. 2011.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naturalized plants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landscape ecology in rural village of Korea. Kor. J. Env. Eco. 25(3):389-403. (In Korean) 

  17. Kim, Y.S., Kim, N.Y., Kim, Y.S., Lee, H.B., Kim, S.C., et al. 2012. Flora and vegetation of Mt. Gwaebyung and Galmi-bong, Gangwon province, Korea. J. Korean For. Soc. 101(2):226-235. (In Korean) 

  18. Koh, K.S., Kang, I.G., Suh, M.H., Kim, J.H. Kim, K.D., et al. 1995. Survey for ecological impact by naturalized organisms .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Report, Seoul, Korea. (In Korean) 

  19. Korea National Arboretum. 2011. A synonymic 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http://www.nature.go.kr/kpni (Accessed on February 2, 2013) 

  20. Lebeda, A., Dolezalova, I., Kristkova, E., Vinter, V., Vranova, et al. 1999. Complex research of taxonomy and ecobiology of wild Lactuca spp. genetic resources. In: Lebeda, A. & E. Kristkova (eds.), Eucarpia leafy vegetables '99. Palacky University, Olomouc, Czech Republic. pp. 17-131. 

  21. Lebeda, A., Dolezalova, I., Kristkova, E. and Mieslerova, B. 2001. Biodiversity and ecogeography of wild Lactuca spp. in some European countries. Genet. Resour. Crop Ev. 48:153-164. 

  22. Lebeda, A., Dolezalova, I., Ferakova, V. and Astley, D. 2004.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wild Lactuca species (Asteraceae, Lactuceae). Bot. Rev. 70(3):328-356. 

  23. Lee, C.S., You, Y.H., and Robinson, G.R. 2002. Secondary succession and natural habitat restoration in abandoned rice fields of central Korea. Restor. Ecol. 10:306-314. (In Korean) 

  24. Lee, H.J., Park, S.H., Ha, S.G., Hwang, H.S., Chang, K.S. and Lee, Y.M. 2012.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in Youngjongdo and Yongyudo. Kor. J. Env. Eco. 26(6):839-867. (In Korean) 

  25. Lee, T.B. 2003. Coloured flora of Korea. Vol. I, II. Hyangmunsa, Seoul, Korea. (In Korean) 

  26. Lee, W.T. 1996a. Standard illustrations of Korean plants. Academy Press, Seoul, Korea. (in Korean) 

  27. Lee, W.T. 1996b. Lineamenta florae Korea. Academy Press, Seoul, Korea. (In Korean) 

  28. Lee, Y.M., Yang, J.C. and Park, S.H. 2009. Floristic investigation of the invasive plants with emphasis on the areas of an industrial road in Korea. Pro. Kor. Soc. Env. Eco. Con. 19(2):166-168. (In Korean) 

  29. Magurran, A.E. 2003. Measuring biological diversity. Blackwell. New York, USA. p. 256. 

  30. Melchior, H. 1964. An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Band . Gebruder Borntraeger, Berlin. p. 666. 

  31. Numata, M. 1970. Illustrated plant ecology. Ashakura Book Co., Tokyo, Japan. (In Japanese) 

  32. Oberdorfer, E. 1970. Pflanzensoziologische exkursionsflora fur suddeutschland. 3. Aufl. Sttugart. p. 987. 

  33. Oh, H.K. and Shin, H.T. 2007. Distribution of resource plants and naturalized plants at the reclaimed seaside in Songdo, Incheon. Korean J. Plant Res. 20(4):312-320. (In Korean) 

  34. Park, S.H. 1994. A study on naturalized plants introduced into Korea. Korean Assoc. Conserv. Nature 85:39-50. (In Korean) 

  35. Park, S.H., Shin, J.H., Lee, Y.M., Lim, J.H. and Moon, J.S. 2002. Distributions of naturalized alien plants in Korea.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Korea National Arboretum. Ukgo Press. Seoul, Korea. (In Korean) 

  36. Park, S.H. 2009. New illustrations and photograph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Ilchokak, Seoul, Korea. (In Korean) 

  37. Prince, S.D. and Marks, M.K. 1982. Induction of flowering in wild lettuce (Lactuca serriola L.). 3. Vernalization-devernalization cycles in buried seeds. New Phytol. 91:661-668. 

  38. Raunkiaer, C. 1934. The life forms of plants and statistical plant geography, Oxford University Press, London, UK. 

  39. Ri, C.U. and Shin, S.C. 1998. Adaptation patterns of prickly lettuce in Korea. Korean J. Life Sci. 8(2):131-136. 

  40. Secretariat of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2009. Invasive alien species-A threat to biodiversity. www.cbd.int. (Accessed on February 2, 2013) 

  41. Shin, S.C. 1988. Study on the distribution and population dynamics of Lactuca serriola, naturalized plants. MD Dissertation, Youngnam University, Daegu, Korea. (In Korean) 

  42. Song, E.K. 2000. Flora and forest vegetation of Mt. Baekun (Gangwon-do). MD. Dissertation, Kangwon National Univ. Chuncheon, Korea. (In Korean) 

  43. Stohlgren, T.J., Otsuki, Y., Villa, C.A., Lee, M. and Belnap, J. 2001. Patterns of plant invasions: a case example in native species hotspots and rare habitats. Biol. Invasions 3:37-50. 

  44. Ter Braak, C.J.F. 1986. 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 a new eigenvector technique for multivariate direct gradient analysis. Ecology 67:1167-1179. 

  45. Van der Ham, R.W.J.M. 1981. Gifsla (Lactuca virosa L.) en kompassla (Lactuca serriola L.) in Nederland. Gorteria 10:179-183. 

  46. Werk, K.S. and Ehleringer, J. 1986. Field Water relations of a compass plant, Lactuca serriola L. Plant Cell Environ. 9:681-683. 

  47. Yim, Y.J. and Jeon, E.S. 1980. Distribution of naturalized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J. Plant Biol. 23(3-4):69-83. (In Korean) 

  48. Yim, Y.J., Park, G.H. and Shim, J.K. 1982. Geographical significance of raunkiaer's life form spectra in South Korea. Bull. Inst. Techn. & Sci. Chung-Ang Univ. 9:5-20. (In Korean) 

  49. Zohary, D. 1991. The wild genetic resources of cultivated lettuce (L. sativa L.). Euphytica 53:31-3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