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폐경기 여성의 신체활동 정도와 대사증후군과의 관련성
Relation of Physical Activities and Metabolic Syndrome in Postmenopausal Women 원문보기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v.8 no.4, 2013년, pp.649 - 658  

고대식 (금호타이어(광주공장) 재활센터) ,  석경휴 (순천청암대학교 병원의료정보과) ,  정문성 (서남대학교 사회과학부 부동산학과) ,  김소희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천인애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김용남 (남부대학교 물리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우리나라 폐경기 여성의 신체활동 정도와 대사증후군과의 관계를 알아보고, 추후 대사증후군 환자의 건강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국민건강영양조사 제4기 2차년도 자료 중 폐경기 여성 1,007명을 대상으로 알아본 결과 우리나라 폐경기 여성의 대사증후군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신체활동 정도가 낮을수록 유의하게 높았다는 결과를 얻었다. 폐경기 여성의 대사증후군을 관리 예방하기 위해서는 연령을 고려하여 환자의 운동 선호도, 운동제약 그리고 환자의 특성을 고려한 중간 신체활동프로그램 개발 및 프로그램 효과검증과 같은 연구가 매우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discover the relations between physical activities and metabolic syndrome in postmenopausal women, in order to present basic data for health promotion of patients with metabolic syndrome. Based on Year 2 data of the 4th Korean National Health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this st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우리나라 폐경기 여성을 대상으로 대사 증후군 유무에 따른 신체활동 정도의 실태를 조사하여 추후 대사증후군 환자들의 건강증진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 본 연구는 제4기 1차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폐경기 여성의 신체활동 정도와 대사증후군과의 연관성을 알아봄으로써 폐경기 여성의 심혈관질환 예방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 따라서 국내 대사증후군 환자들의 신체활동의 실태 조사는 매우 시급하다. 이에 본 연구는 2007년 2차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폐경기 여성의 신체활동 실태를 조사하여 대사증후군 환자의 건강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사증후군이란? 대사증후군은 인슐린저항성을 공통적인 특징으로 하여 복부비만, 고혈압, 고혈당증, 이상지혈증과 같은 대사적 위험인자들이 군집을 이루어 나타나는 상태로, 2001년 발표된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Adult Treatment Panel Ⅲ(NCEP-ATP Ⅲ)에서 대사증후군에 대해 임상적으로 손쉽게 적용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하면서 심혈관질환의 관리를 위해 대사증후군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4]. 미국의 대사증후군 유병률은 남자 33.
폐경기는 어떤 시기인가? 폐경기는 여성에게 신체적, 생리적, 신경내분비적 변화가 진행되는 시기로[13], 여성의 심혈관질환 발생은 연령이 같은 남성과 비교하여 폐경 전까지 2.5~4.
폐경 후 심혈관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방법 중 운동의 효능은? 이러한 폐경 후 심혈관질환을 예방하기 위해 호르몬 치료, 식이요법, 운동 등이 권장되고 있다. 특히, 운동은 호르몬 치료나 식이요법에 비해 부작용이 적고 적은 비용으로 체중의 증가경향을 완화시키면서 심혈관질환 위험요인을 감소시키며, 관상동맥질환, 고혈압, 2형 당뇨병, 골다공증 등 만성질환의 발생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17]. Chobanian 등은 매일 30분 이상 걷기와 같은 규칙적인 저강도 신체활동은 수축기 혈압을 4~9㎜Hg 감소시킬 수 있다고 보고하였으며[18], Tjonna 등은 32명의 대사증후군 환자를 대상으로 중강도 운동과 고강도 운동을 16주간 실시한 결과 두 강도 모두 혈압을 낮추고 체중과 체지방 감량에 동등한 효과를 보였지만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의 증가와 인슐린 민감도의 증가는 고강도 운동군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고 보고하였다[1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김범준, "버퍼 크기 기반 자동재전송 프로토골의 재전송 지속성 제어",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6권, 4호, pp. 487-492, 2011. 

  2. 김정자, 김진, "고령세대의 환경과 헬스케어시스템 주택에 관한 연구",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7권, 4호, pp. 925-930, 2012. 

  3. 정미화, 석경휴, 박형수, "우리나라 성인의 배우자 유무와 비만과의 관련성",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7권, 3호, pp. 679-685, 2012. 

  4. 보건복지부. "2007년 보건복지통계연보". 2008. 

  5. Expert Panel 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Cholesterol in Adults, "Executive Summary of the Third Report of the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NCEP) Expert Panel 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Cholesterol in Adults(Adult Treatment Panel III)", JAMA, Vol. 285, No. 19, pp. 2486-97, 2001. 

  6. 고윤석, 이우철, 김인수, "열전 냉각장치의 비만치료 적용 방법론 고찰",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7권, 6호, pp. 1437-1442, 2012. 

  7. 통계청, "2007년 한국의 주요 사망원인", URL : http://www.nso.go.kr, 2009. 

  8. Ford ES, "Prevalence of the metabolic syndrome defined by the International Diabetes Federation among adults in the U.S.", Diabetes Care, Vol. 28, No. 11, pp. 2745-2749, 2005. 

  9. 이창수, "장기간의 생활체육 축구종목참여가 대사증후군과 HOMA index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Isomaa B, Almgren P, Tuomi T, et al, "Cardiovascular morbidity associated with the metabolic syndrome", Diabetes Care, Vol. 24, No. 4, pp. 683-689, 2001. 

  11. Meigs JB, "Epidemiology of the metabolic syndrome", Am J Manag Care, Vol. 8, No. 11, pp. 283-292, 2002. 

  12. 대한순환기학회 편집부, 심장학 교과서. 서울, 대한순환기학회, 2004. 

  13. Innes KE, Selfe TK, Taylor AG, "Menopause, the metabolic syndrome and mind-body therapies. Menopause", Vol. 15, No. 5, pp. 1005-1013, 2008. 

  14. Kafonek SD, "Postmenopausal hormone replacement therapy and cardiovascular risk reduction", Drugs, Vol. 27, pp. 16-24, 1994. 

  15. Kalin MF, Zumoff B, "Sex hormone and coronary disease: a review of the clinical studies, Steroids", Vol. 55, No. 8, pp. 330-352, 1990. 

  16. Kim GJ, Kim TH, Rhu WS, Ryoo UH, "Influence of menopause on high 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and lipids", J Korean Med, Vol. 15, No. 4, pp. 380-386, 2000. 

  17.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2008 physical activity guidelines for americans", ww.health.gov/paguidelines, 2008. 

  18. Chobanian AV, Bakris GL, Black HR, et al, Seventh report of the Joint National Committee on Preventi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Pressure, Hypertension", Vol. 42, No. 6, pp. 1206-1252, 2003. 

  19. Tjonna AE, Lee SJ, Rognmo O, et al, "Aerobic interval training versus continuous moderate exercise as a treatment for the metabolic syndrome: a pilot study", Circulation, Vol. 118, No. 4, pp. 346-354, 2008. 

  20. 강설중과 김병로, "운동강도별 유산소 운동이 대사증후군 환자의 인슐린저항성, 레닌-안지오텐신 II 및 C-반응성 단백에 미치는 영향", 운동과학, 18권, 4호, pp. 443-454, 2009. 

  21. Mosca L, Banka CL, Benjamin EJ, et al, "Evidence-based guidelines for cardiovascular disease prevention in women: 2007 update", J Am Coll Cardiol, Vol. 49, No. 11, pp. 1230-50, 2007. 

  22. 정정자, 김남초, "폐경 후 여성의 관상동맥질환 위험요인과 자각증상, 관련지식 및 예방적 건강실천", 여성건강간호학회지, 12권, 1호, pp. 29-36, 2006. 

  23. 정영호, "우리나라 국민의 건강결정요인 분석",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6. 

  24. IPAQ Research Committee, Guideline for data processing and analysis of the IPAQ-Short and Long Forms, Revised Nov 2005. 

  25. 신선애, 강현식, "폐경전후 여성의 비만지표, 심폐체력, 그리고 대사증후군 비교", 운동과학, 14권, 2호, pp. 193-202, 2005. 

  26. 최명자, "파크골프운동이 노인의 신체구성 및 수면에 미치는 영향",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7권, 6호, pp. 1529-1536, 2012. 

  27. Gower BA, "Syndrom X in children: Influence of ethnicity and visceral fat", Am J Hum Biol, Vol. 11, No. 2, pp. 249-257, 1999. 

  28. LeMura LM, von Duvillard SP, Andreacci J, et al, "Lipid and lipoprotein profiles, cardiovascular fitness, body composition, and diet during and after resistance, aerobic and combination training in young women", Eur J Appl Physiol, Vol. 82, No. 5-6, pp. 451-458, 2000. 

  29. Kelly DE, Mandarino U, "Fuel selection in human skeletal muscle in insulin resistance: A reexamination", Diabetes, Vol. 49, No. 5, pp. 677-683, 2000. 

  30. Tuomilehto J, "Cardiovascular risk: Prevention and treatment of the metabolic syndrome", Diabetes Res Clin Pract, Vol. 68, No. 2, pp. S28-S35, 2005. 

  31. Lovejoy JC, "The menopause and obesity", Prim Care, Vol. 30, No. 2, pp. 317-25, 2003. 

  32. Li Z, McNamara JR, Fruchart JC, et al, "Effects of gender and menopausal status on plasma lipoprotein subspecies and particle sizes", J Lipid Res, Vol. 37, No. 9, pp. 1886-96, 1996. 

  33. Carr MC, "The emergence of the metabolic syndrome with menopause", J Clin Endocrinol Metab, Vol. 88, No. 6, pp. 2404-11, 2003. 

  34. Casperson CJ, Powell KE, Christenson GM, "Physical activity, exercise, and physical fitness : Definitions and Distinctions for Health-Related Research", public Health Report, Vol. 100, No. 2, pp. 125-131, 1985. 

  35. Glasgow RE, Ory MG, Klesges LM, et al, "Practical and relevant self-report measures of patient health behaviors for primary care research", Anna Fam Med, Vol. 3, No. 1, pp. 73-81, 2005. 

  36. Bertoli A, Di Daniele N, Ceccobelli M, et al, "Lipid profile, BMI, body fat distribution, and aerobic fitness in men with metabolic syndrome", Acta Diabetol, Vol. 40, pp. 130-133, 2003. 

  37. Sternfeld B, Bhat AK, Wang H, Sharp T, Quesenberry CP Jr, Menopause, "physical activity, and body composition/fatdistribution in midlife women", Med Sci Sports Exerc, Vol. 37, No. 7, pp. 1195-1202, 2005. 

  38. Myers J, Prakash M, Froelicher V, Do D, Partington S, Atwood E, "Exercise capacity and mortality among men referred for exercise testing", N Engl J Med, Vol. 346, No. 11, pp. 793-801, 2002. 

  39. Johnson JL, Slentz CA, Houmar, JA, et al, "Exercise training amount and intensity effects on metabolic syndrome(form Studies of a Targeted Risk Reduction intervention through Defined Exercise)", Am J Cardiol, Vol. 100, No. 12, pp. 1759-1766, 2007. 

  40. Mougios V, Kazaki M, Christoulas K, Ziogas G, Petridou A, "Does the intensity of an exercise programme modulate body composition changes?", Int J Sports Med, Vol. 27, No. 3, pp. 178-181, 2006. 

  41. Asikainen TM, Millunpalo S, Kukkonen-Harjula K, et al, "Walking trails in postmenopausal women: effect of low doses of exercise and exercise fractionzation on coronary risk factor", Scand J Med Sci Sports, Vol. 13, No. 5, pp. 284-292, 2003. 

  42. 박수현, "규칙적인 운동을 통한 비만관련 대사증후군의 예방 및 치료의 가능성",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43. Saris WHM, Blair SN, van Baak, MA, et al, "How much physical activity is enough to prevent unhealthy weight gain? Outcome of the IASO 1st Stock Conference and consensus statement", Obes revi, Vol. 4, No. 2, pp. 101-114, 2003. 

  44. 하희승, "일부 농촌지역의 대사증후군 유병률과 위험요인",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45. 임훈영, "여성대사증후군의 유병률과 관련요인 분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46. 박정식, 박덕현, 윤중원, 정찬희, 이원영, 김선우, "도시지역 검진수진자 40,698명에서 NCEP-ATP III 기준에 의한 대사증후군의 유병률", 대한내과학회지, 63권, 3호, pp. 290-298, 20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