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미숙아, 후기 미숙아와 조기 만삭아의 모유수유 실태 및 모유수유 임파워먼트 비교
Comparison of breast feeding practice rates and mothers' breast feeding empowerment in preterm, late preterm and early term infant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24 no.4, 2013년, pp.713 - 721  

김태임 (대전대학교 간호학과) ,  장군자 (대구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모유는 아기에게 필요한 풍부한 영양분을 고루 갖춘 우수한 영양 공급원으로 특히 미숙아의 성장발달에 매우 중요하지만 미숙아의 모유수유 실천정도는 매우 저조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재태 연령을 기준으로 34주 미만 미숙아, 34주 0일에서 36주 6일의 후기 미숙아, 37주 0일에서 38주 6일의 조기 만삭아를 분만한 어머니를 대상으로 모유수유 실천율과 모유수유 임파워먼트를 비교 분석하기 위함이다. 병원 퇴원 당시 모유수유 실천율은 세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후기 미숙아와 34주 미만 미숙아의 모유수유 실천율은 조기 만삭아의 모유수유 실천율보다 낮았다. 또 모유수유 임파워먼트 총점에서도 34주 미만 미숙아 모와 후기 미숙아 모는 조기 만삭아 모보다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국내 모유수유 실천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미숙아 모를 대상으로 한 모유수유 증진 방안이 마련되어야 하고 이 때 모유수유 실천에 대한 자신감 부여가 필요함을 나타내는 결과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breast feeding practice rates and mothers' breast feeding empowerment in preterm (gestation age [GA]<34), late preterm ($34{\leq}$GA<37), early term infants ($37{\leq}$GA<39). We surveyed 33 preterm, 22 late preterm, and 30 early t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모유수유 권장에 앞장서는 ‘아기에게 친근한 병원’에 입원한 34주 미만 미숙아, 후기 미숙아, 조기 만삭아의 모유수유 실천율을 비교하고 이들을 분만한 어머니를 대상으로 모유수유 임파워먼트 정도를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 재태 연령을 기준으로 34주 미만 미숙아, 후기 미숙아, 조기 만삭아의 병원 퇴원 시 모유수유 실천율을 비교하고, 이들을 분만한 어머니를 대상으로 모유수유 임파워먼트 정도를 비교 분석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34주 미만 미숙아 및 후기 미숙아의 성공적인 모유수유 확립과 장기 지속을 위해 신생아의 성장 특성에 맞는 모유수유 교육 지침 개발과 임상 적용을 목적으로 이에 앞서 34주 미만 미숙아, 후기 미숙아, 조기 만삭아의 모유수유 실천율을 비교하고, 이들을 분만한 어머니를 대상으로 모유수유 임파워먼트 정도를 비교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모유란? 모유는 아기에게 필요한 풍부한 영양분을 고루 갖춘 우수한 영양 공급원으로 특히 미숙아의 성장발달에 매우 중요하지만 미숙아의 모유수유 실천정도는 매우 저조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재태 연령을 기준으로 34주 미만 미숙아, 34주 0일에서 36주 6일의 후기 미숙아, 37주 0일에서 38주 6일의 조기 만삭아를 분만한 어머니를 대상으로 모유수유 실천율과 모유수유 임파워먼트를 비교 분석하기 위함이다.
재태 연령이란? 재태 연령은 신생아의 질병 이환율과 사망률을 결정짓는 중요한 기준이다. 재태 연령에 따른 신생아 분류는 1950년대 세계보건기구가 정한 바 있는데, 37주 미만 출생 신생아를 미숙아, 37주∼41주를 만삭아, 42주 이상을 과숙아로 분류한 방식이 지금까지 이용되고 있다 (Askin과 Wilson, 2007).
차별화된 모유수유 교육 방안이 마련되어 임상 실무에서 활용되어야 하는 이유는? 이상의 고찰 결과 후기 미숙아는 신체 성숙도가 만삭아와 유사하지만 성공적인 모유수유 확립의 측면에서 후기 미숙아의 신체적 특성 및 어머니의 모유수유 자신감 정도는 34주 미만 미숙아모와 유사하였다. 따라서 임상에서 34주 미만 미숙아모, 후기 미숙아모, 조기 만삭모를 위한 차별화된 모유수유 교육 방안이 마련되어 임상 실무에서 활용되어야 할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damkin, D. H. (2006). Feeding problems in the late preterm infant. Clinics in Perinatology, 33, 831-837. 

  2. Askin, D. F. and Wilson, D. (2007). The high-risk newborn and family. In Wong's Nursing Care of Infants and Children, 8th Ed., edited by M J. Hockenbery and D. Wilson, Mosby, St. Louis, 345-421. 

  3. Bakr, A. F. and Abbas, M. M. (2006). Severe respiratory distress in term infants born electively at high altitude. BMC Pregnancy Childbirth, 6, 1-4. 

  4.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 2nd ed., Lawrence Erlbaum Associates, New York. 

  5. Colaizy, T. T. and Morris, F. H. (2008). Positive effect of NICU admission on breastfeeding of preterm US infants in 2000 to 2003. Journal of Perinatology, 28, 505-510. 

  6. Engle, W. A. (2006). A recommendation for the definition of "late preterm" (near term) and the birth weight-gestational age classification system. Seminars in Perinatology, 30, 2-7. 

  7. Engle, W. A. and Kominiarek, M. A. (2008). Late preterm infants, early term infants, and timing of elective deliveries. Clinics in Perinatology, 35, 325-3421. 

  8. Hurst, N. M. and Meier, P. P. (2010). Breastfeeding the preterm infant. In Breastfeeding and Human Lactation, 4th Ed., edited by J. Riordan and K. Wambach,, Jones and Bartlett Publishers, Sudbury, MA, 425-470. 

  9. Jang, G. J. and Ki m, S. H. (2010). Effects of breast-feeding education and support services on breastfeeding rates and infant's growth.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0, 277-286. 

  10. Jang, G. J., Lee, S. L. and Kim, H. M. (2012). Breast feeding rates and factors influencing breast feeding practice in late preterm infants : Comparison with preterm born at less than 34 weeks gestational ag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2, 181-189. 

  11. Jeong, G. H. (1997). Effect of the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on promotion the breast-feeding practice in primipara, Ph. D.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2. Kang, J. S., Choi, S. Y. and Ryu, E. J. (2008). Effects of a breastfeeding empowerment programme on Korean breastfeeding mothers: A quasi experimental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45, 14-23. 

  13. Killersteiter, B., Grimmer, I., Buhrer, C. Dudenhausen, J. W. and Obladen, M. (2001). Early cessation of breast milk feeding in very low birthweight infants. Early Human Development, 60, 193-205. 

  14. Kim. M. H. (2008). Changes in birth rates of low birth weight and premature infants in Korea over the past 7 years. Korean Journal of Pediatrics, 51, 233-236. 

  15. Kim. M. J. (2009). Readmission of late preterm infants after discharge from nursey. Korean Journal of Pediatrics, 52, 888-892. 

  16. Kim, M. S., Kim, J. U., Ahn, Y. M., Bae, S. M. and Kim, M. J. (2003). The research on the breast feeding and its related factors of premature infan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9, 272-284. 

  17. Kim, J. Y., Hwang, S. J., Park, H. K., Lee, H. B. and Kim, N. S. (2008). Analysis of online breastfeeding consultation on the website of the Korean Pediatric Society. Korean Journal of Pediatrics, 51, 1152-1157. 

  18. Kim. Y. M. (2009). Effects of a breast-feeding empowerment program on exclusive breast-feeding.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9, 279-287. 

  19. Kim. Y. M. and Park, Y. S. (2004).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breastfeeding empowerment scale.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0, 360-367. 

  20. Lee. S. L. (2008). A survey on general characteristics and feeding methods of the premature infants. Journal of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14, 361-370. 

  21. Ludwig, S. M. (2007). Oral feeding and the late preterm infant. Newborn and Infant Nursing Reviews, 7, 72-75. 

  22. Meier, P. P. Furman, L. M. and Degenhardt, M. (2007). Increased lactation risk for late preterm infants and mothers: evidence and management strategies to protect breastfeeding. Journal of Midwifery & Women's Health, 52, 579-587. 

  23. Na. J. Y. (2009). Short-term clinical outcomes of late preterm infants. Korean Journal of Pediatrics, 52, 303-309. 

  24. Nyqvist, K. H. (2008). Breastfeeding preterm infants. In Supporting Sucking Skills in Breastfeeding Infants, edited by C. W. Genna, Jones and Bartlett Publishers, Sudbury, MA, 153-180. 

  25. Tomashek, K. M., Shapiro-Mendoza, C. K., Weiss, J., Kotelchuck, M., Barfield, W., Evans, S., Naninni, A. and Declercq, E. (2006). Early discharge among late preterm and term newborns and risk of neonatal morbidity. Seminars in Perinatology, 30, 61-68. 

  26. Weiss, J. N., Bassett, V. and Cragg, B. (2006). Developing a prenatal breastfeeding workshop to support maternal breastfeeding self-efficacy. Journal of Obstetric, gynecologic and Neonatal Nursing, 35, 349-35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