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비만아동을 위한 정서적 자기조절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혼합방법론의 적용
An Emotional Self-Regulation Program for Obese Children: Pilot Study Using Mixed Methods 원문보기

CHNR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19 no.3, 2013년, pp.187 - 197  

김희순 (연세대학교 간호정책연구소) ,  마유미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  박지영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  김승현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음악치료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비만아동을 위한 이론기반의 정서적 자기조절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고자 함. 방법 본 연구는 혼합방법 중 실험연구를 위한 끼워넣기 모형을 활용함. 즉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를 이용하여 본 프로그램이 비만아동의 우울, 식습관, 체질량지수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고 추가적으로 질적 자료를 통해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함. 결과 본 연구결과 정서적 자기조절 프로그램은 비만아동의 우울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으며, 대상자는 '자신감 고취', '충동 조절', '또래와의 친밀감', '행복감', '체중감소를 위한 노력 및 경험' 등을 표현함. 결론 본 연구결과 정서적 자기조절 능력의 강화는 비만관리에 있어 효과적인 전략임을 확인하였으며 추후 대상자와 지역을 확대한 반복연구와 무작위 대조군 실험연구를 제언하는 바임. 본 연구는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보다 풍부한 이해를 위해 혼합방법을 적용하고 프로그램의 개발 운영 평가에 있어 실무와의 연계성을 강조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velop an emotional self-regulation program for obese children and to examine the program's effectiveness on depression, eating habits, and body mass index. Methods: The emotional self-regulation program was developed from theory-based strategies and a pre-p...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만아동을 위한 정서적 자기조절 프로그램의 효과 평가를 위한 가설은 무엇인가? 개발된 프로그램의 효과 평가를 위한 가설은 다음과 같다. 가설 1.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우울 정도가 낮을 것이다. 가설 2.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식습관 점수가 높을 것이다. 가설 3.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체질량지수가 낮을 것이다.
아동비만의 관리가 중요시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8%에 비해 10년 사이 두 배 가량 증가하였으며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09). 아동비만의 관리가 중요시되는 이유는 아동비만은 성인기의 고혈압, 고지혈증, 당뇨병 등의 이환율을 높이고 조기사망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아동기 비만은 우울, 자존감 저하, 또래관계 문제, 비만관련 낙인, 낮은 건강 관련 삶의 질과 같은 사회 심리적 문제와 관련되기 때문에 발달기에 있는 아동에 있어 아동비만의 관리를 위한 효과적인 중재가 요구된다(Oude et al.
국내 아동비만율은 어떤 추세를 보이는가? 비만한 아동 인구의 급격한 증가로 인해 아동비만의 예방 및 관리는 건강증진 분야에서 한 국가를 넘어 전 세계적으로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국내 아동비만율 또한 2008년 10.8%로 1997년 5.8%에 비해 10년 사이 두 배 가량 증가하였으며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09). 아동비만의 관리가 중요시되는 이유는 아동비만은 성인기의 고혈압, 고지혈증, 당뇨병 등의 이환율을 높이고 조기사망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sarnow, J. R., Scott, C. V., & Mintz, J. (2002). A combined cognitive-behavioral family education intervention for depression in children: A treatment development study.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26, 221-229. http://dx.doi.org/10.1023/A:1014573803928 

  2. Bartholomew, L. K., & Mullen, P. D. (2011). Five roles for using theory and evidence in the design and testing of behavior change interventions. Journal of Public Health Dentistry, 71, 20-33. http://dx.doi.org/ 10.1111/j.1752-7325.2011.00223.x 

  3. Bartholomew, L. K., Parcel, G. S., Kok, G., Gottlieb, N. H., & Fernandez, M. E. (2011). Planning health promotion programs: An intervention mapping approach (3rd ed.). San Francisco, CA: Jossey-Bass. 

  4. Berking, M., & Wupperman, P. (2012). Emotion regulation and mental health: Recent findings, current challenges, and future directions. Current Opinion in Psychiatry, 25, 128-134. http://dx.doi.org/10.1097/YCO. 0b013e3283503669 

  5. Cho, I. S., Ryu, H. S., Park, I. H., & Kang, S. Y. (2007). Effects of an obesity management program on obesity, dietary attitudes, dietary habits, and exercise habits of obese elementary school childr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3(4), 399-406. 

  6. Cho, S. C., & Lee, Y. S. (1990). Development of the Korean form of the Kovacs' 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29, 943-956. 

  7. Creswell, W. J., & Plano Clark, V. (2007). Designing and conducting mixed methods research (1st ed.). CA: Sage Publication. 

  8. Czaja, J., Rief, W., & Hilbert, A. (2009). Emotion regulation and binge eating in children.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Eating Disorders, 42, 356-362. http://dx.doi.org/10.1002/eat.20630 

  9. Garland, A. F., Plemmons, D., & Koontz, L. (2006). Research-practice partnership in mental health: Lessons from participants. Administration and Policy in Mental Health and Mental Health Services, 33, 517-528. http://dx.doi.org/10.1007/s10488-006-0062-2 

  10. Graziano, P. A., Calkins, S. D., & Keane, S. P. (2010). Toddler self-regulation skills predict risk for pediatric obesity. International Journal of Obesity, 34, 633-641. http://dx.doi.org/10.1038/ijo.2009.288 

  11. Jacobson, D., & Melnyk, B. M. (2011). Psychosocial correlates of healthy beliefs, choices, and behaviors in overweight and obese school-age children: A primary care healthy choices intervention pilot study. Journal of Pediatric Nursing, 26(5), 456-464. doi: S0882-5963 (11)00525-2 [pii] 10.1016/j.pedn.2011.07.001 

  12. Kim, B. M., Jung, H. S., & Park, H. J. (2009). Effects of Self-Efficacy Promotion Program on Obesity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22(1), 119-128. 

  13. Kim, H. S. (2001). Effects of behavior modification on physical variables, habit and self-esteem in obese elementary school childr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7(3), 308-321. 

  14. Kim, H. S., Chu, S. H., Lee, H. K., Im, J. A., & Park, J. Y. (2011). Biobehavioral characteristics and risk factors related to obesity in school age children participating in health camp.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7, 207-214. http://dx.doi.org/10.4094/jkachn. 2011.17.4.207 

  15. Klassen, A. C., Creswell, J., Plano Clark, V. L., Smith, K. C., & Meissner, H. I. (2012). Best practices in mixed methods for quality of life research. Quality of Life Research, 21, 377-380. http://dx.doi.org/10.1007/s11136-012-0122-x 

  16. Kovacs, M. (1985). The 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 Psychopharmachology Bulletin, 27, 955-988. 

  17. Lavender, J. M., De Young, K. P., & Anderson, D. A. (2010). Eating disorder examination questionnare (EDE-Q): Norms for undergraduate men. Eating Behaviors, 11, 119-121. http://dx.doi.org/10.1016/j.eatbeh.2009.09.005 

  18. Lenze, S. N., Pautsch, J., & Luby, J. (2011). Parent-child interaction theraphy emotion development: A novel treatment for depression in preschol children. Depression Anxiety, 28, 153-159. http://dx.doi.org/ 10.1002/da.20770 

  19. Lloyd, J. J., Logan, S., Greaves, C. J., & Wyatt, K. M. (2011). Evidence, theory and context- using intervention mapping to develop a school-based intervention to prevent obesity in children.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Nutrition and Physical Activity, 8(73), 1-15. http://dx.doi.org/10.1186/1479-5868-8-73 

  20. Luppino, F. S., de Wit, L. M., Bouvy, P. F., Stijnen, T., Cuijpers, P., Penninx, B. W., et al. (2010). Overweight, obesity, and depressio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longitudinal studies.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67(3), 220-229. 

  21.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09). The four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V), 2008 (2nd year). Seoul: Author. 

  22. Nederkoorn, C., Jansen, E., Mulken, S., & Jansen, A. (2007). Impulsivity predicts treatment outcome in obese children.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hy, 45, 1071-1075. http://dx.doi.org/10.1016/j.brat.2006.05.009 

  23. Oude, L. H., Baur, L., Jansen, H., Shrewsbury, V. A., O'Malley, C., Stolk, R. P., et al. (2009). Interventions for treating obesity in children. Cochrane Database Systematic Review, 21, CD001872. 

  24. Pittson, H., & Wallace, L. (2011). Using intervention mapping to developing a family-based children weight management programme. Journal of Health Services Research & Policy, 16, 2-7. http://dx.doi.org/10.1258/jhsrp.2010.010076 

  25. Puder, J. J., & Munsch, S. (2010). Psychological correlates of childhood obesity. International Journal of Obesity, 34, s37-s43. 

  26. Rakowski, W., & Breslau, E. S. (2004). Perspectives on behavioral and social science research on cancer screening. Cancer, 101, 1118-1130. http://dx.doi.org/10.1002/cncr.20503 

  27. Stone, E. G., Morton, S. C., Hulscher, M. E., Maglione, M. A., Roth, E. A., Grimshaw, J. M., et al. (2002). Interventions that increase use of adult immunization and cancer screening services: A meta-analysis. Annals of Internal Medicine, 136, 641-651. 

  28. Thompson, R. A. (1994). Emotion regulation: A theme in search of definition. Monographs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59, 25-52. 

  29. U. S. Department of Agriculture & U. 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2010). Let' s eat for the health of it. Retrieved August 28, 2012, from http://publications.usa.gov/ USA Pubs.php?PubID135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