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한국생활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v.22 no.1, 2013년, pp.89 - 98
장영애 (인천대학교 소비자아동학과) , 박주은 (인천대학교 소비자아동학과)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ttachment with parent and peer on the adolescent's leadership life skills. The subjects were 281 students from three middle schools in Incheon city. The data were analyzed by multiple and hierarchical regression. Major findings of this stu...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리더십 생활기술이란 무엇인가? | 리더십이 일상생활을 살아가면서 필요한 생활기술이라는 측면에서 ‘리더십’과 ‘생활기술’이란 용어를 연결한 ‘리더십 생활기술(leadership life skill)’ 개념이 제안된 이래로 이에 대한 연구가 국내외에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리더십 생활기술이란 실제 생활 속에서 리더십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가정, 학교, 사회 등 우리 생활의 모든 장에서 요구되는 기술을 말하며, 동시에 우리의 삶과 우리가 속한 집단과 사회를 개선해 나가기 위해 우리 모두가 지녀야 하는 생활기술을 말한다(Kang, 2012; Kim & Lee, 2011). | |
리더십이란 무엇인가? | ‘lead’라는 영어단어에서 파생된 ‘리더십(leadership)’이라는 용어는 ‘이끌다’, ‘앞서 나가다’라는 뜻으로 다른 사람을 이끌어 나가는 사람이 가지고 있는 특성을 말한다. 리더십이 일상생활을 살아가면서 필요한 생활기술이라는 측면에서 ‘리더십’과 ‘생활기술’이란 용어를 연결한 ‘리더십 생활기술(leadership life skill)’ 개념이 제안된 이래로 이에 대한 연구가 국내외에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 |
청소년 리더십 생활기술 개발에 관한 부모와 또래관계의 기여정도를 분석한 결과는 어떠한가? | 본 연구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조사대상 청소년들의 부모 및 또래와의 애착은 전반적으로 보통 이상의 평균점수를 나타냈다. 따라서 이들은 부모에 대한 적절한 신뢰감과 부모로부터 사랑받는다는 느낌을 갖고 있었으며 부모와 편안한 대화를 하는데 어려움이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조사대상 청소년들에게 있어서 또래관계는 고민을 나누고 도움을 받는 등 실제적인 관계 이상으로 정서적으로 가까운 관계를 유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또래애착 점수가 부모 애착 점수보다 높게 나타나 청소년기는 부모와의 정서적 유대보다는 또래들과의 정서적 유대가 더 중요하고 의미 있는 시기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청소년들의 리더십 생활기술 역시 전반적으로 보통 이상의 평균점수를 나타내, 적절한 의사소통 기술을 통해 또래들과 상호작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고 집단 내에서 조화로운 생활을 조성해 나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 시기에 리더십 생활기술 개발을 위한 적절한 교육적 개입이 이루어지는 것이 매우 시기적절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결론은 청소년기가 리더십 생활기술 발달의 결정적인 시기라는 Linden과 Fertman(1998), Kern et al.(1996)의 주장을 뒷받침하고 있다. 둘째, 조사대상 청소년들의 리더십 생활기술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애착과 또래애착의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우선 청소년들의 부모애착은 대체적으로 리더십 생활기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특히 부모에게 자신의 감정이나 의견, 생각을 전달하는데 있어서 편안한 관계를 형성한 청소년들일수록 타인과 적절한 의사소통을 통해 상호작용할 수 있고 효과적으로 의사결정을 할 수 있으며 타인과 적절한 관계를 형성하면서 문제를 잘 해결해 나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본 연구를 통해 청소년의 의사결정 기술은 부모와의 의사소통 애착관계가 적절하게 형성되었을 때 잘 발달할 수 있음을 보여 주고 있다. 청소년의 관계기술은 부모와 신뢰로운 관계를 형성할수록 타인과의 조화로운 관계를 형성할 수 있음을 나타내 주고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확고한 애착관계가 형성된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관계적으로나 의사소통 측면에서 더 뛰어나고 감정표현을 조절하여 잘 표현할 수 있으며, 사회적 유능감이나 변헉적 및 카르스마적 리더십을 잘 수행한다는 기존의 연구결과를 뒷받침해주고 있다(Jang & Han, 2008; Guerrero & Jones, 2003; Popper et al., 2000; Towler, 2005). 따라서 리더십 생활기술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부모와 어떻게 정서적, 심리적 유대감과 친밀감을 형성하느냐가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었다. |
Armsden, G. C. & Greenberg, M. T. (1987). The 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 Individual differences and their relationship to psychological well-being in adolescence.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16(5), 427-453.
Bowlby, J. (1982). Attachment and Loss: Vol. 1, Attachment(2nd ed.), New York: Basic Books.
Bretherton, I., Ridgeway, D., & Cassidy, J. (1990). Assessing internal working models of the attachment relationship. In M. T. Greenberg, D., Cicchetti & M. Cummings (Eds.), Attachment in the preschool years(pp.273-308). Chicago and London: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Choi, C. W. (2001). The related variables of adolescent's leadership life skill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Dormody, T. J. & Seevers, B. S. (1995). Predicting youth leadership and skills among FFA members in Arizona, Colorado, and New Mexico. The Journal of Agricultural Education, 35(2). 65-71.
Eom, Y. K. (2009). The effect of parental and peer attachment on parenting behavior and parent-child communic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Incheon University.
Freeman, H. & Brown, B. B. (2000). Primary attachment to parents and peers during adolescence: Differences by attachment style.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30(6). 93-114.
Greenberg, M. T., Siegel, J. M., & Leitch, C. J. (1983). The nature and importance of attachment relationships to parents and peers during adolescence. Journal of Adolescence, 12(5), 373-386.
Guerrero, L. K. & Jones, S. M. (2003). Differences in one's own and one's partner's perceptions of social skills as a function of attachment style. Communication Quarterly, 51(3), 277-295.
Jang, H. E., & Han, J. L. (2008). The effects of adolescent's communication with parents and attachment with parents on their leadership life skill. Korean Journal of Family Relations, 13(1), 207-226.
Jang, W. S. (2001). Social-emotional development: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nd five characteristics.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development, 14(2). 105-119.
Kang, S. H. (2012). Casual setucture analysis among leadership life skills, emotional intelligence, moral intelligence, and prosocial behavior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Child Education. 21(3). pp.129-145.
Kenny, M. (1987). The extent and function of parental attachment among first year college students,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16, 17-27.
Kern, L. R., Klepac, L., & Cole, A. K. (1996). Peer relationships and preadolescent's perception of security in the child-mother relationship. Developmental Psychology, 32, 457-466.
Kim, J. D. (2002). The development of leadership life skills through adolescent's participa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Dongkuk University.
Kim, J. H. (1999). The relationship between secure attachment, empathy, and conflict resolution strategy among peer relationship.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Kim, Y. J. (2009). The effect of personal growth on volunteer activity among adolescen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of Christianity. Baekseok University.
Laird, R. D., Petti, G. S., Dodge, K. A., & Bates, J. E. (1999). Best Friendships, Group Relationships, and antisocial Behavior in Early Adolescence. Journal of Early Adolescence, 19(4), 413-437.
Lee, C. J. (1998). The understanding of adolescents. Seoul: The educational institute of Seoul. 42-46.
Lee, H. J. (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hip life skills and communication with adolesc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Myungji University.
Linden, J. A. & Fertman (1998). Youth Leadership: A guide to understanding leadership development in Adolescents. San Francisco, California: Jossey-Bass Inc.
Perry, D. G. & Bussey, K. (1984). Social Development.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Popper, M., Mayseless, O., & Castelnovo, O. (2000).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attachment. Leadership Quarterly, 11(2), 267-289.
Ryan, R. M., Stiller, J. D., & Lynch, J. H. (1994). Representation of relationships to teachers, parents, and friends as predictors of academic motivation and self-esteem. Journal of Early Adolescence, 14, 226-249.
Santrock, J. W. (1990). Adolescence: An International. Dubuque, Iowa:Wm. C. Brown.
Towler, A. (2005). Charismatic leadership development: Role of parental attachment style and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Journal of Leadership & Organizational Studies, 11(4), 15-25.
Yoon, J. A. (2010). A study on the effects of perceived parenting attitude and parent attachment on peer attachment and aggression in adolesc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nam University.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