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처리 조건 및 건조방법에 따른 건조대추의 품질특성 및 항산화 활성
Effects of Pretreatment and Drying Methods on Quality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Dried Jujube (Zizyphus jujuba) Fruit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2 no.8, 2013년, pp.1242 - 1248  

김재원 (대구가톨릭대학교 식품공학전공) ,  이신호 (대구가톨릭대학교 식품공학전공) ,  노홍균 (대구가톨릭대학교 식품공학전공) ,  홍주헌 (대구가톨릭대학교 식품공학전공) ,  박창수 (대구가톨릭대학교 식품공학전공) ,  윤광섭 (대구가톨릭대학교 식품공학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건조 전처리와 건조방법에 따른 대추의 건조특성과 품질의 변화를 비교분석 하였다. 수분함량은 glyceol 전처리에서 유의적으로 낮았고 열풍건조가 천일 및 냉풍건조에 비해 건조효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밀도는 NaCl boiling 처리에서 가장 높았고, 가용성 고형분의 함량의 경우 열풍건조, 냉풍건조, 천일건조 순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전반적으로 glycerol 침지에서 높은 함량을 보였다. 적정산도는 열풍건조가 타 건조 방법에 비해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전처리에 따라서는 무처리 및 glycerol 침지에서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반면 boiling 처리 시 대추 고유의 산도는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당산비의 경우 천일건조에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냉풍건조 열풍건조 순으로 나타났고, 전처리에 따라서는 NaCl boiling> glycerol> 무처리 순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갈변도는 열풍건조, 냉풍건조, 천일건조 순으로, 전처리 방법에 따라서는 NaCl boiling, 무처리, glycerol 침지 순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적색도의 경우 무처리가 NaCl boiling 및 glycerol 침지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boiling 처리한 건조 대추의 경우 적색도는 감소하고 황색도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기호성이 다소 저하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건조방법에 따른 폴리페놀 함량은 열풍건조> 냉풍건조> 천일건조순으로 높은 함량이 검출되었으며, 전처리 방법 간에는 무처리 및 glycerol 침지가 NaCl boiling 처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반면 플라보노이드 함량에서는 boiling 전처리를 행한 모든 건조방법에서 높은 함량이 검출되었다. DPPH,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은 유용성분의 함량과 항산화 활성간의 비례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열풍건조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라디칼 소거활성을 나타내었다. 관능검사 결과 NaCl boiling 처리는 외관과 함께 품질이 가장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종합적 기호도는 glycerol 침지가 가장 기호성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고 다음으로 무처리, boiling 순이었다. 이상의 결과 종합적 기호도 및 이화학적, 기능적 품질특성을 고려해 보았을 때 glycerol 전처리와 열풍건조 방법을 효과적으로 이용하는 것이 건조효율 증대 및 품질손상을 억제할 수 있는 방안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pretreatment (NT: non-treatment, BTS: boiling treatment with 3% sodium chloride, DTG: dipping treatment in glycerol) and drying methods (sun drying, hot air drying, and cold air drying)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품질의 건조대추를 얻기 위한 방법으로 blanching이나 삼투처리, dipping과 같은 전처리 방법을 다양한 건조방법에 응용하여 건조효율 및 품질의 향상을 기하고 각 전처리 및 건조방법에 따른 품질을 고찰하여 대추의 건조효율 및 품질 향상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2)SS/TA=soluble solids content/ titratable acidity.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천일건조, 열풍건조, 냉풍건조로 서로 다른 건조방법에 따른 건조대추의 건조 소요시간 차이는? 전처리(non-treated, NaCl boiling, glycerol dipping) 및 건조방법(sun drying, hot air drying, cold air drying)에 따른 건조대추의 수분함량, 가용성 고형분 함량, 적정산도 및 당산비를 측정한 결과는 Table 1과 같다. 건조방법에 따라 수분함량은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었는데 천일건조에서는 20일, 열풍건조는 30시간, 냉풍건조의 경우 4일 정도의 건조시간이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처리 방법 중 glycerol로 전처리한 것이 유의적으로 낮은 수분함량을 나타내어 건조효율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추란 무엇인가? 대추는 갈매나무과(Rhamnaceae)에 속하는 낙엽활엽교목의 열매로서 중국계 대추(Zizyphus jujube Miller)와 인도계 대추(Zizyphus mauritiana Lam) 등 생태형이 전혀 다른 2종으로 분류되며, 중국계 대추의 경우 우리나라를 비롯한 아시아 남부 및 동부, 유럽 서남부 지역에서 재배되고 있다(1). 우리나라에서는 재래종인 묏대추(Zizyphus jujuba Milller), 대추(Zizyphus jujuba var.
대추가 가진 약용 효과는 무엇인가? intermis Rehder), 보은대추(Zizyphus jujuba forma hoonensis) 등 1속 3종류의 재래종이 주로 분포하고 있으며, 개량종인 월출, 금성, 무등대추 등이 일부지역에서 재배되고 있다(2). 대추는 강장작용(3), 항암(4), 항염증(5), 결핵, 기관지염 및 신경쇠약 치료효과(6) 등의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약용으로도 이용되고 있으며, 과용에 따른 부작용이 없으면서도 약용성분과 기능성 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약선식품으로 인스턴트식품의 섭취가 많은 현대인의 건강에 도움이 되는 식품 중의 하나로 여겨지고 있다. 특히 당질과 ascorbic acid가 다량 함유되어 있고, 약용성분으로는 각종 sterols, alkaloids, saponins, vitamins, 유기산류 및 amino acids 등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7)됨에 따라 다과, 대추차, 기타 식품가공에 널리 이용되는 등 건강 지향적 식품 개발이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bbas MF, Al-Niami JH, Al-Ani RF. 1998. Some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fruits of jujube different stage of maturity. J Hort Sci 63: 337-339. 

  2. Lee HB. 1988. Studies on the change of chemical components of dried jujube (Zizyphus jujuba Miller) during storage. J Agric Sci 15: 95-113. 

  3. Na HS, Kim KS, Lee MY. 1996. Effect of jujube methanol extract on the hepatotoxicity in CCl4-treated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5: 839-845. 

  4. Choi KS, Kwon KI, Lee JG, Lee RK. 2003. Studies on the chemical compositions and antitumor activities of jujube tea products. J Resource Development 22: 23-29. 

  5. Al-Reza SM, Yoon JI, Kim HJ, Kim JS, Kang SC. 2010.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seed essential oil from Zizyphus jujuba. Food Chem Toxicol 48: 639-643. 

  6. Lee YG, Cho SY. 1995. Effect of jujube methanol extract on benzo(a)pyrene induced hepatotoxicity. J Korean Soc Food Nutr 24: 127-132. 

  7. Okamura N, Nohara T, Yagi A, Nishioka I. 1981. Studies on the constituents of Zizyphi fructus. III. Structures of dammarane-type saponins. Chem Pharm Bull 29: 676-683. 

  8. Lee DS, An DS. 1998. Effect of packaging conditions on keeping quality of fresh jujube. J Korean Food Sci Technol 30: 461-467. 

  9. Holdsworth SD. 1971. Dehydration of food products. J Food Technol 6: 331-334. 

  10. Quenzer NM, Burns EE. 1981. Effects of microwave, steam and water blanching on freeze-dried spinach. J Food Sci 46: 410-413. 

  11. Langdon TT. 1987. Preventing of browning in fresh prepared potatoes without the use of sulfiting agents. Food Technol 41: 64-67. 

  12. Chang SK, Lee HH, Hong SI, Han YS. 2010. Effect of organic acid treatment on the quality attributes of buckwheat sprout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42: 190-197. 

  13. Kim GC, Lee SY, Kim KM, Kim Y, Kim JS, Kim HR.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hot-air and freeze dried apples slices after osmotic dehydr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848-852. 

  14. Jeon HL, Oh HL, Kim CR, Hwang MH, Kim HD, Lee SW, Kim MR. 2013. Antioxidant activitie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supplemented with mulberry poma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234-243. 

  15. Kim HK, Lee BY, Shin DB, Kwon JH. 1998. Effect of roasting conditions o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chicory roo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1279-1284. 

  16. Kim JW, Youn KS. 2012.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in infrared dried peach processed by different pretreatment. Korean J Food Preserv 19: 849-857. 

  17. Dewanto V, Wu X, Adom KK, Liu RH. 2002. Thermal processing enhances the nutritional value of tomatoes by increasing total antioxidant activity. J Agric Food Chem 50:3010-3014. 

  18. Saleh ES, Hameed A. 2008. Total phenolic contents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certain Egyptian Ficus species leaf samples. Food Chem 114: 1271-1277. 

  19.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20.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Pannala A, Yang M, Rice-Evans C.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 Biol Med 26: 1231-1237. 

  21. Nieto AB, Salvotori DM, Castro MA, Alzamora SM. 2004. Structural changes in apple tissue during glucose and sucrose osmotic dehydration: shrinkage, porosity, density and microscopic features. J Food Eng 61: 269-278. 

  22. Lee YJ, Lee HO, Kim JY, Kwon KH, Cha HS, Kim BS.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frozen Doraji (Platycodon grandiflorum) according to various blanching treatment conditions. Korean J Food Preserv 18: 661-668. 

  23. Jee JH, Lee HD, Chung SK, CHoi JU. 1999. Changes in color value and chemical components of hoelen by various drying meth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575-580. 

  24. Kang HK, Yoo YK, Lee SK. 2003. Effects of prestorage heat treatment on changes of phenolic compound contents and incidence of skin blackening in 'Niitaka' pear fruits during cold storage. J Korea Soc Hort Sci 44: 197-200. 

  25. Wink M. 1997. Compartmentation of secondary metabolites and xenobiotics in plant vacuoles. Adv Botan Res 25: 141-169. 

  26. Johnson JE, Walford R, Harma D, Miquel J. 1986. Free radicals, aging and degenerative disease. Alan R. Liss, New York, NY, USA. p 3-49. 

  27. Kim JH, Kwak DY, Choi MS, Moon KD. 1999. Comparison of the chemical compositions of Korean and Chinese safflower (Carthamus tinctororius L.). Korean J Nutr 31: 912-918. 

  28. Yen GC. 1990. Influence of seed roasting process on the changes in composition and quality of sesame (Sesame indicum) oil. J Sci Food Agric 50: 563-570. 

  29. Lee SH, Hwang IG, Lee YR, Joung EM, Jeong HS, Lee HB. 2009.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heated radish (Raphanus sativus L.)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490-49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