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HPLC-PDA를 이용한 반하, 호장남성, 수반하의 분류 및 함량분석
Content Comparative Analysis and Classification for Piniellia ternate, P. pedatisecta and Typhonium flagelliforme by HPLC-PDA analysis 원문보기

大韓本草學會誌 = The Korea journal of herbology, v.28 no.5, 2013년, pp.95 - 101  

조지은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약자원그룹) ,  이아영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약자원그룹) ,  김효선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약자원그룹) ,  문병철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약자원그룹) ,  최고야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약자원그룹) ,  지윤의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약자원그룹) ,  김호경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약자원그룹)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A quantitative method using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with a photodiode array detector(HPLC-PDA) was established for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four main compound and pattern analysis to classification Piiellia ternate, P. pedatisecta and Typhonium flagelliforme. Me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실험에서는 KP에서 정품으로 규정하고 있는 반하와 위 품으로 혼용되는 호장남성과 수반하 총 44점을 수집하여 그기원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실험은 HPLC-PDA 분석법을 성공적으로 확립하였고, 분석법의 검증을 통한 적합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半夏는 대한민국약전, 대한민국약전외한약 규격집에서 법으로 제한하는 이유는? 半夏(Pinellia Tuber)는 대한민국약전, 대한민국약전외한약 (생약)규격집에서 법으로 고시하고 있는 547종 한약재 중, 독성이나 부작용의 원인으로 식품으로 제한하고 있는 162품목중 하나이다. 반하(Pinellia ternata Breitenbach)의 덩이줄기로서 주피를 완전히 제거한 것으로 그 기원을 규정하고 있고, 독성 및 부작용 완화를 위하여 수치 등의 가공법을 거쳐 임상에서 사용 되어 왔다.
半夏의 성분은? 半夏는 오랫동안 동양에서 구토약, 진경약, 가래삭힘 약으로써 위하수, 임신구토, 기침, 어지러움증, 두통, 급성위염, 인후통 등의 치료에 전통적으로 사용되어온 약재이다3-7). 약리학적으로는 자궁경부암8), 항경련9), 항궤양10), 구토 및 진정 작용11,12)에관한보고가있으며, 성분은 정유와 소량의 지방, 전분, nicotine, 점액질, asparagine acid, glutamine, β-amino acid 등의 amino acid 과 uridinSe, β-sitosterol, choline, uracil, guanosine, adenosine 등이 함유하는 약재로13-15) 半夏를 포함한 처방들에 관해서도 여러 연구가 보고되었다16,17).
半夏는 무엇인가? 半夏는 오랫동안 동양에서 구토약, 진경약, 가래삭힘 약으로써 위하수, 임신구토, 기침, 어지러움증, 두통, 급성위염, 인후통 등의 치료에 전통적으로 사용되어온 약재이다3-7). 약리학적으로는 자궁경부암8), 항경련9), 항궤양10), 구토 및 진정 작용11,12)에관한보고가있으며, 성분은 정유와 소량의 지방, 전분, nicotine, 점액질, asparagine acid, glutamine, β-amino acid 등의 amino acid 과 uridinSe, β-sitosterol, choline, uracil, guanosine, adenosine 등이 함유하는 약재로13-15) 半夏를 포함한 처방들에 관해서도 여러 연구가 보고되었다16,1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Chang IM. Current Trend of Natural Products Industry and Utilization of Herbal Materials. KOREAN. 2002 : 28-37. 

  2. Park JH. Studies on the Origin of Korean Folk Medicine. Kor J Pharmacongn. 1993 ; 24(4) : 322-7. 

  3. Wang XS, Wu YF, Ma JY, Shi QL. Study on chemical components and pharmacological activities of Pinellia ternate. Qilu Pharmaceutical Affairs. 2008 : 101-3. 

  4. Kim YJ, Shin YO, Ha YW, Lee S, Oh JK, Kim YS. Anti-obesity effect of PinelliaternataextractinZuckerrats.BiolPharmBull.2006;29(6):1278-81. 

  5. Lu H, Xue T, Zhang A, Sheng W, Zhu Y, Chang L, Song Y, Xue J. Construction of an SSH library of Pinellia ternata under heat stress, and expression analysis of four transcripts. Plant Mol Biol Rep. 2013 ; 31 : 185-94. 

  6. Herbology Editorial Committee of Korean Medicine Schools. Herbology[Boncho-hak]. Seoul : Young-Lim Press. 2004 : 487-8. 

  7. Li CJ, Xu YM, Sun YL. Research on anti-cervical cancer component of Pinellia pedatisecta schott. J Shanghai Medical University. 1981 ; 8 : 421-3. 

  8. Wua XY, Zhaob JI, Zhanga M, Lib F, Zhaob T, Yang LQ. Sedative hypnotic and anticonvulsant activities of the ethanol fraction from Rhizoma Pinelliae Praeparatum. J Ethnopharmacol. 2011 ; 135 : 325-9. 

  9. Wu KZ, Tao ZJ.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trypsin inhibitor from the rhizome of Pinelliaternata. Acta Biochim Biophys. 1981 ; 13 : 267-74. 

  10. Park JH. Effects of Pinellia ternata tuber on the emetic and sedative action of xylazine hydrochloride in cata. Korean J Vet Res. 1992 ; 32 : 341-5. 

  11. Maki T, Takahashi K, Shibata S. An anti-emetic principle of Pinellia ternata Tuber. Plant Med. 1987 ; 53(5) : 410-4. 

  12. Seo BI. A clinical study of Banhabaekchulcheonmatang on a patient with headache due to retention of phlegm. Kor J Herbology. 2007 ; 22(2) : 79-82. 

  13. Lim SH, Jeong HY, Won HY, Kim HW, Choi CW, Jeong HS, Kim YG, Cho SI. Effects of Banhahubak-tang Extract on Psychological Stress. Kor J Herbology. 2012 ; 27(4) : 81-8. 

  14. Li XD, Hu SL, Yang LJ. Analysis of amino acid and inorganic elements from Pinelliae Herbs. China. J Chin Mater Med (Zhongguo Zhongyao Zazhi). 1990 : 377-81. 

  15. Chen P, Li C, Liang S, Song G, Sun Y, Shi Y, Xu S, Zhang J, Sheng S, Yang Y, Li M. Characterization and quantification of eight water-soluble constituents in tubes of Pinellia ternate and in tea granules from the Chinese multiherb remedy Xiaochaihu-tang. J Chromatogr B Analyt Technol Biomed Life Sci. 2006 ; 843(2) : 183-93. 

  16. Gao WP, Zeng X, Chen JS. Determination and comparison of effective components in polyploidy Pinelliaternate and wild Pinelliaternate. Chin Pharma J. 2011 ; 46 : 1625-9. 

  17. Yun YP. Coloured Illustrations for Discrimination of Herbal Medicine. Seoul : Homi Publishing Company. 2009 : 59-61. 

  18. Seo BI. A study on origins of herbal oriental medicines in several nations pharmacopoeias and standard collection for editing of korea herbs pharmacopoeia(II). J East West Med. 2001 ; 26(4) : 50-65. 

  19. Yun YP. Coloured Illustrations for Discrimination of Herbal Medicine. Seoul : Homi Publishing Company. 2009 : 59-61. 

  20. Zhanga Jy, Guoa QS Guoa, Zhengb DS. Genetic diversity analysis of Pinelliaternata based on SRAP and TRAP markers. Biochem Syst Ecol. 2013 ; 50 : 258-65. 

  21. Xua T, Wanga B, Liua X, Fenga R, Donga M, Chen J. Microarray-based identification of conserved microRNAs from Pinelliaternata.Gene.2012;493(2):267-72. 

  22. Choi YS, Kil KJ, Lee YJ. A Study on a Morphological Identification of Pinelliae Tuber, Typhonii Flagelliformis Rhizoma and Arisaematis Rhizoma. Kor J Herbology. 2007 ; 22(2) : 103-8. 

  23. Kweon KT. A Research on Management System of Herbal Medicine in Common Use for Food and Medicine. Kor J Pharmacongn. 2012 ; 27(2) : 25-9. 

  24. Suzuki M. Irritating substance of Pinelliaternata. Arzneimittelforschung. 1969 ; 19 : 1307-9. 

  25. Kim SH, Jeong H, Kim YK, Cho SH, Min KU, Kim YY. IgE-mediated occupational asthma induced by herbal medicine, Banha (Pinellia ternata). Kor J Herbology. 2007 ; 22 : 103-8. 

  26. ICH Topic Q2B. validation of Analytical Procedures. Consensus Guideline, the European Agency for the Evaluation of Medicinal products. 1996. 

  27. Li L, Xu L, Peng Y, He Z, Shi R, Xiao P.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five phenylethanoid glycosides in small-leaved Kudingcha from the Ligustrum genus by UPLC/PDA. Food Chem. 2012 ; 131 : 1583-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