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임상간호사의 직무소진 극복과정
The Process of Overcoming the Professional Burnout of Clinical Nurses 원문보기

간호행정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19 no.3, 2013년, pp.427 - 436  

강성례 (꽃동네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process of overcoming professional burnout among clinical nurse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12 clinical nurses through in-depth interviews about their actual experiences. The main question was "How do you describe your experience of the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오늘날 대부분의 휴먼서비스 종사자들처럼 임상간호사 역시 심각한 수준의 소진을 경험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최근 의료서비스 평가를 통해 병원의 경쟁력이 심화되어가는 추세에서 병원들은 질 높은 의료서비스를 통해 고객만족을 극대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고객과의 접점에서 고객만족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인력이 바로 간호사들이라 할 수 있다. 대부분의 병원에서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친절하고 질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요구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간호사들에게 부과되는 직무요구가 양적 혹은 질적으로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뿐만 아니라 간호사들은 병원조직 내에 위치하고 있는 다양한 의료인들과의 복잡한 상호관계로 인한 갈등, 의료사고나 과실에 대한 무거운 책무, 업무의 특성상 고도의 긴장과 주의집중으로 인해 과도한 스트레스에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오늘날 대부분의 휴먼서비스 종사자들이 그러하듯 임상간호사 역시 심각한 수준의 소진을 경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Siedine & Hester, 2010).
소진이란 무엇인가 1970년대 중반, 미국을 중심으로 의료인, 사회복지사, 심리상담가 등에게서 만연한 정서적 탈진상태에 주목한 한 연구자에 의해 그 현상이 드러난 이후 소진은 사회적으로 널리 알려진 용어가 되었다(Schaufeli & Buunk, 2002). 소진은 학자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되는데, 일반적으로 인간의 가치, 존엄성, 영혼, 의지가 침식된 상태를 말하며, 정서적 탈진, 비인격화, 그리고 성취도가 낮아진 상태를 의미한다(Maslach, Schaufeli, & Leite, 2001). 직무소진이 심화되면 심리적, 육체적으로 부정적 결과를 초래하는데 불안과 우울은 물론 심장병과 스트레스성 질환을 초래하며, 직무만족과 및 직무몰입 저하, 근무의욕과 생산성 감소, 그리고 이직 및 퇴직의도를 강화시킨다.
직무소진이 심화되면 어떠한 결과를 초래하는가? 소진은 학자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되는데, 일반적으로 인간의 가치, 존엄성, 영혼, 의지가 침식된 상태를 말하며, 정서적 탈진, 비인격화, 그리고 성취도가 낮아진 상태를 의미한다(Maslach, Schaufeli, & Leite, 2001). 직무소진이 심화되면 심리적, 육체적으로 부정적 결과를 초래하는데 불안과 우울은 물론 심장병과 스트레스성 질환을 초래하며, 직무만족과 및 직무몰입 저하, 근무의욕과 생산성 감소, 그리고 이직 및 퇴직의도를 강화시킨다. 소진은 그것을 경험한 사람으로부터 주변의 동료직원으로 쉽게 확산 될 뿐만 아니라 가정생활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이에 대한 예방과 조기 조치가 시급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June & Byun,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Cilliers, E. (2003). Burnout and salutogenic functioning of nurses. Curationis, 26 (1), 62-74. 

  2. Demir, A., & Ulusoy, M. (2003). Investigation of factors influencing burnout levels in professional and private lives of nurses.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40, 807-827. 

  3. Heather, K. S., Michael, L., Arla, D., & Debra, G. (2009). Workpla ce empowerment, incivility, and burnout: Impact on staff nurse recruitment and retention outcomes.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17, 302-311. http://dx.doi.org/10.1111/j.1365-2834.2009.00999.x 

  4. June, K. J., & Byun, S. W. (2009). Nurse's burnout research throughout the past 10 years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Administration, 15 , 305-313. 

  5. Maslach, C., Schaufeli, W. B., & Leiter, M. P. (2001). Job burnout. Annual Review Psychology, 52, 397-422. 

  6. Meltzer, L. S., & Huckabay, L. M. (2004). Critical care nurses' perceptions of futile care and its effect on burnout. American Journal of Critical Care, 13, 202-208. 

  7. Michael, P. L., & Christina, M. (2009). Nurse turnover: The mediat ing role of burnout.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17, 331-339. http://dx.doi.org/10.1111/j.1365-2834.2009.01004.x 

  8. Paige, L. B., & Jaynelle, F. S. (2010). Nursing work environment and nurse caring: Relationship among motivational factor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6, 1819-1831. http://dx.doi.org/10.1111/j.1365-2648.2010.05336.x 

  9. Sandelowski, M. (1986). The problem of rigor in qualitative research. Advances in Nursing Science, 8 (3), 27-37. 

  10. Schaufeli, W. B., & Buunk, B. P. (2002). Burnout: An overview of 25 years of research and theorizing. In M. J. Schabracq, J. A. M. Winnubst & C. L. Cooper (Eds.), Handbook of work and health psychology (pp. 383-425). Chichester: Wiley. 

  11. Sherman, D. W. (2004). Nurses' stress and burnout: How to care for yourself when caring for patients and their families experiencing life-threatening illness. American Journal of Nursing, 104 (5), 48-56. 

  12. Siedine, K. C., & Hester, C. K. (2010). Compassion fatigue within nursing practice: A concept analysis. Nursing and Health Sciences, 12, 235-243. http://dx.doi.org/10.1111/j.1442-2018.2010.00526.x 

  13. Strauss, A., & Corbin, J. (1998). Basic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Thousand Oaks: Sage Publications. 

  14. Wright, S. (2003). Feel the burn. Nursing Standard, 17 (25), 25-31. 

  15. Zhenyu, X., Aolin, W., & Bo, C. (2011). Nurse burnout and its association with occupational stress in a cross-sectional study in Shanghai.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7 (7), 1537-1546. http://dx.doi.org/10.1111/j.1365-2648.2010.05576.x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