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통초(Tetrapanax papyriferus)와 희렴(Siegesbeckia pubescens)의 항산화 및 항비만 활성을 DPPH radical 소거능과 세포실험계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통초와 희렴의 DPPH radical 소거능의 50% 저해능($IC_{50}$)은 각각 65.23과 47.79 ${\mu}g/ml$로 나타났다. 또한 두 시료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lipase 효소 활성을 유의적으로 억제시켰으며, 3T3-L1 preadipocyte를 이용하여 지방세포 분화지방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통초와 희렴 모두 지방 세포 분화, 지방 축적, TG 함량 등을 독성 없이 농도의존적으로 억제함을 보였다. 이러한 통초와 희렴의 지방세포분화억제능은 핵심 작용 인자인 $C/EBP{\alpha}$, $C/EBP{\beta}$, 그리고 $PPAR{\gamma}$의 유전자 및 단백질 발현조절에서 기인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통초와 희렴 간의 항비만 시너지 효과를 분석한 결과 각 시료의 단독 처리시보다 병용 처리시 더 높은 지방세포분화억제능을 보여 두 시료간에 시너지 효과를 보유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통초 및 희렴의 항비만 활성 및 그 작용 기전을 밝힌 것이며 추후 계속적인 연구를 통해 활성 물질의 규명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anti-oxidative and anti-obesity activities of two medicinal herb extracts, Tetrapanax papyriferus (TP) and Siegesbeckia pubescens (SP), were evaluated using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ssay, lipase enzyme inhibition assay, and the cell culture model system. Both methanol ex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방에서 약재로 사용되고 있는 통초 및 희렴 추출물의 항비만 효과 및 그 기전을 알아보고 두 소재 간의 시너지 효과를 분석함으로써 기능성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Adipogenesis의 분자적인 기전의 조절 인자는 무엇입니까? Adipogenesis, 즉 지방세포형성은 지방세포가 만들어지는 분화과정으로서 세포의 형태의 변화 및 관련 유전자와 단백질의 발현 변화를 동반하는데[14, 23], 이러한 adipogenesis 연구를 위한 in vitro cell model system으로는 일반적으로 mouse embryo로부터 유래된 지방전구세포인 3T3-L1을 주로 사용하며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위해서는 insulin, dexamethasone (DEX), 3-isobutyl-1-methylxanthine (IBMX) 등의 분화유도인자를 필요로 한다[5, 11]. Adipogenesis의 분자적인 기전으로는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γ (PPARγ) 및 cytidine-cytidine-adenosine-adenosinethymidine (CCAAT)/enhancer binding proteins (C/EBPα, C/EBPβ, C/EBPδ) 등과 같은 adipogenic transcription factor 등이 중요한 조절자로서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8]. 분화된 지방세포에서는 백색지방세포(white adipose tissue) 에서 나타나는 TG의 축적과 같은 형태적 특징과 함께 지방세포 특이적 유전자의 발현이 나타나며, 효과적인 비만억제를 위해서는 지방세포 분화과정에 관여하는 전사인자들의 활성을 억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것으로 밝혀졌다[4, 24, 30].
희렴은 무엇입니까? 희렴(Siegesbeckia pubescens)은 희첨, 시첨, 저고 또는 진득찰이라고도 불리는 국화과 식물 또는 이의 전초를 건조시킨 한약재를 지칭한다. 풀의 냄새가 돼지와 비슷하고 맵고 쏘는 맛이 있다.
한방에서 본 통초의 효능은? 성분으로는 회분, 지방질, 단백질, 섬유질을 포함하며 맛은 싱겁고 독이 없으며 성질은 평하다. 한방에서는 해독, 해열, 이뇨작용이 강하여 몸 속의 독을 풀고 열을 내리며 소변을 잘 나오게 하여 부은 것을 내리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폐기를 내리고 대변과 소변, 젖을 잘 나오게 하며, 임질, 요도염, 방광염, 부종, 현기증, 상기증, 코막힘 등을 치료한다. 또한 눈을 밝게 하고 열을 내리며, 갖은 중독을 풀어주며, 황달을 낫게 하며 갖은 염증을 삭혀주는 등의 효능이 있다. 보고된 생리활성으로 통초 추출물의 세포사멸을 통한 암세포 독성 유도[17], 통초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항노화 효과[22] 등이 있으나 통초의 항비만 활성에 대해서는 연구된 바 없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rmitage P, Berry G, Matthews JNS. 2001. Statistical Methods in Medical Research, pp. 102-111. 4th Ed. Blackwell Publishing, Hoboken, New Jersey. 

  2. Chen HC, Farese RV. 2005. Inhibition of triglyceride synthesis as a treatment strategy for obesity: lessons from DGAT1-deficient mice. Arterioscler. Thromb. Vasc. Biol. 25: 482-486. 

  3. de Onis M, Blossner M, Borghi E. 2010. Global prevalence and trends of overweight and obesity among preschool children. Am. J. Clin. Nutr. 92: 1257-1264. 

  4. Fox KE, Fankell DM, Erickson PF, Majka SM, Crossno JT, Klemm DJ. 2006. Depletion of cAMP-response element-binding protein/ATF1 inhibits adipogenic conversion of 3T3-L1 cells ectopically expressing CCAAT/enhancer-binding protein (C/EBP) alpha, C/EBP beta, or PPAR gamma 2. J. Biol. Chem. 281: 40341-40353. 

  5. Green H, Meuth M. 1974. An established pre-adipose cell line and its differentiation in culture. Cell 3: 127-133. 

  6. Gupta R, Rathi P, Gupta N, Bradoo S. 2003 Lipase assays for conventional and molecular screening: an overview. Biotechnol. Appl. Biochem. 37: 63-71. 

  7. Haslam DW, James WP. 2005. Obesity. Lancet 366: 1197- 1209. 

  8. Heck AM, Yanovski JA, Calis KA. 2000. Orlistat, a new lipase inhibitor for the management of obesity. Pharmacotherapy. 20: 270-279. 

  9. Huh JE, Baek YH, Lee JD, Choi DY, Park DS. 2008. Therapeutic effect of Siegesbeckia pubescens on cartilage protection in a rabbit collagenase-induced model of osteoarthritis. J. Pharmacol. Sci. 107: 317-328. 

  10. Hwang JH, Kim JD. 2011. Inhibitory effects of Siegesbeckiae herba extract on angiogenesis and adipogenesis. Biotechnol. Bioprocess Eng. 16: 144-152. 

  11. Jessen BA, Stevens GJ. 2002. Expression profiling during adipocyte differentiation of 3T3-L1 fibroblasts. Gene 299: 95-100. 

  12. Jun H, Kim J, Bang J, Kim H, Beuchat LR, Ryu JH. 2013. Combined effects of plant extracts in inhibiting the growth of Bacillus cereus in reconstituted infant rice cereal. Int. J. Food Microbiol. 160: 260-266. 

  13. Kedare SB, Singh RP. 2011. Genesis and development of DPPH method of antioxidant assay. J. Food Sci. Technol. 48: 412-422. 

  14. Koutnikova H, Auwerx J. 2001. Regulation of adipocyte differentiation. Ann. Med. 33: 556-561. 

  15. Lau CW, Douketis JD, Morrison KM, Hramiak IM, Sharma AM, Ur E. 2007. 2006 Canadian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on the management and prevention of obesity in adults and children. CMAJ. 176: Sa-S13. 

  16. Leung WY, Thomas GN, Chan JC, Tomlinson B. 2003. Weight management and current options in pharmacotherapy: orlistat and sibutramine. Clin. Ther. 25: 58-80. 

  17. Moon SH, Lee JM, Kim HJ, Kang YK, Park HR. 2010. Cytotoxicity and apoptosis-induced activity of extracts from Tetrapanax papyriferus. Cancer Prevent. Res. 15: 241-247. 

  18. Morrison RF, Farmer SR. 2000. Hormonal signaling and transcriptional control of adipocyte differentiation. J. Nutr. 130: 3116S-3121S. 

  19. Ntambi JM, Kim YC. 2000. Adipocyte differentiation and gene expression. J. Nutr. 130: 3122S-3126S. 

  20. Park HJ, Kim IT, Won JH, Jeong SH, Park EY, Nam JH, et al. 007.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ent-16alphaH, 17-hydroxykauran- 19-oic acid isolated from the roots of Siegesbeckia pubescens are due to the inhibition of iNOS and COX-2 expression in RAW 264.7 macrophages via NF-kappaB inactivation. Eur. J. Pharmacol. 558: 185-193. 

  21. Park JA, Park C, Han MH, Kim BW, Chung YH, Choi YH. 2011. Inhibition of adipocyte differentiation and adipogenesis by aged black garlic extracts in 3T3-L1 preadipocytes. J. Life Sci. 21: 720-728. 

  22. Roh EJ, Kim BK, Kim DS. 2011. Antioxidative activity and antiaging effects of Tetrapanax papyriferum extract. J. Korean Oil Chemists' Soc. 28: 219-224. 

  23. Rosen ED, Spiegelman BM. 2000. Molecular regulation of adipogenesis. Annu. Rev. Cell Dev. Biol. 16: 145-171. 

  24. Schroeder-Gloeckler JM, Rahman SM, Janssen RC, Qiao L, Shao J, Roper M, et al. 2007. CCAAT/enhancer-binding protein beta deletion reduces adiposity, hepatic steatosis, and diabetes in Lepr(db/db) mice. J. Biol. Chem. 282: 15717- 15729. 

  25. Suzuki R, Tanaka M, Takanashi M, Hussain A, Yuan B, Toyoda H, et al. 2011. Anthocyanidins-enriched bilberry extracts inhibit 3T3-L1 adipocyte differentiation via the insulin pathway. Nutr. Metab. (Lond). 8: 14. 

  26. Wang H, Wang H, Xiong W, Chen Y, Ma Q, Ma J, Ge Y, Han D. 2006. Evaluation on the phagocytosis of apoptotic spermatogenic cells by Sertoli cells in vitro through detecting lipid droplet formation by Oil Red O staining. Reproduction 132: 485-492. 

  27. Wang JP, Xu HX, Wu YX, Ye YJ, Ruan JL, Xiong CM, et al. 2011. Ent- $16\beta$ , 17-dihydroxy-kauran-19-oic acid, a kaurane diterpene acid from Siegesbeckia pubescens, presents antiplatelet and antithrombotic effects in rats. Phytomedicine. 18: 873-878. 

  28. Wang JP, Ruan JL, Cai YL, Luo Q, Xu HX, Wu YX. 2011. In vitro and in vivo evaluation of the wound healing properties of Siegesbeckia pubescens. J. Ethnopharmacol. 134: 1033- 1038. 

  29. Wang J, Cai Y, Wu Y. 2008. Antiinflammatory and analgesic activity of topical administration of Siegesbeckia pubescens. Pak. J. Pharm. Sci. 21: 89-91. 

  30. Wang ND, Finegold MJ, Bradley A, Ou CN, Abdelsayed SV, Wilde MD, et al. 1995. Impaired energy homeostasis in C/ EBP alpha knockout mice. Science 269: 1108-1112. 

  31.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3. Obesity and overweight. Available from: http://www.who.int/mediacentre/factsheets/ fs311/en/index.html. Access June 20,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