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임신한 간호사의 피로, 스트레스 및 소진에 관한 연구
Study on Fatigue, Stress and Burnout of Pregnant Nurses 원문보기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22 no.3, 2013년, pp.208 - 217  

김자숙 (동강대학교 간호학과.전남대학교 간호대학 대학원) ,  이영숙 (전남대학교 간호대학 대학원.간호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is a correlative study to assess the relationships of fatigue, stress, and burnout among the pregnant nurses in hospital. Method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03 nurses aged between 22 and 40 who were confirmed as pregnant by the OBGY (Obstetrics and Gynecology) hospital a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임신한 간호사의 피로, 스트레스 및 소진 정도를 규명하고 이들 변수간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상관관계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임신한 간호사의 피로, 스트레스 및 소진과의 관계를 파악하여 임신한 간호사의 소진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도움이 되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전문직 여성인 간호사의 임신과 관련된 피로, 스트레스 및 소진 간의 관계를 규명하여 간호조직 및 인적 자원 관리 방안을 마련하는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하였다. 본 연구 수행시 특정 지역에 한정된 대상자를 선정하였으므로 연구결과를 확대 해석하기에는 제한점이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임상 현장에서 일하고 있는 임신한 간호사를 대상으로 그들의 피로, 스트레스 및 소진 간의 관계를 파악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으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전문직 여성인 간호사의 임신과 관련된 피로, 스트레스 및 소진의 관계를 분석하여 임신한 간호사의 피로, 스트레스 및 소진을 감소시키기 위한 간호중재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게 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피로란? 피로란 일상적인 활동 이후의 비정상적인 탈진 증상, 기운이 없어서 지속적인 노력이나 집중이 필요한 일을 할 수 없는 상태, 일상적인 활동을 수행할 수 없을 정도로 기운이 없는 상태를 의미한다(Mattews, Manus, & Lane, 1991). 본 연구에서는 Tack (1991)이 개발한 다차원적 피로척도(Multidimensional of Assessment Fatigue[MAF])를 Lee와 Lee (2000)가 번역한 도구를 사용해 측정한 값을 의미하며, 피로정도, 피로영향의 하위개념으로 구성되어 있다.
스트레스란? 스트레스란 생리적, 심리적, 사회적 체계 내에서 부과되는 환경적 자극과 개인의 내적 요구를 자신이 지각하는 상태로서 개인의 적응능력을 넘어설 때 경험하는 현상으로(Lazarus & Folkman, 1984), 본 연구에서는 Park (1998)이 개발한 스트레스 측정도구를 사용해 측정한 값을 의미하며, 심리적 스트레스, 신체적 스트레스의 하위개념으로 구성되어 있다. 응답 범주는 전혀 없었다.
임상 현장에서 일하고 있는 임신한 간호사를 대상으로 그들의 피로, 스트레스 및 소진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실시한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 대상자의 피로, 스트레스 및 소진 정도를 파악한다. • 일반적 특성에 따른 피로, 스트레스 및 소진 정도의 차이를 파악한다. • 산부인과적인 특성에 따른 피로, 스트레스 및 소진 정도의 차이를 파악한다. • 대상자의 피로, 스트레스 및 소진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Brown, M. A. (1987). Employment during pregnancy: Influences on women's health and social support. Health Care for Women International, 8, 151-167. 

  2. Brunier, G., & Graydon, J. (1996). A comparison of two methods of measuring fatigue in patients on chronic hemodialysis: Visual analogue vs. likert scale.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33, 338-348. 

  3. Byun, D. S., & Yom, Y. H. (2009). Factors affecting the burnout of clinical nurse: Focused on emotional labo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5 , 444-454. 

  4. Choi, J. Y., & Kang, H. S. (2007). Influencing factors for fatigue in cancer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7, 365-372. 

  5. Jang, E. S. (1995). A study burnout and officer environment of psychiatric social worker.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ngsil University, Seoul, Korea. 

  6. Jeon, M. H. (2000). A study of pregnant nurse's working -focusing on difficulties of nursing process and the way to cope with that difficulti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gang University, Seoul, Korea. 

  7. Jeong, G. H., & Kim, S. J. (2000). Differences of women's perception of fatigue according to the period of pregnanc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0, 731-740. 

  8. June, K. J., & Byun, S. W. (2009). Nurse's burnout research throughout the past 10 years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5 , 305-313. 

  9. Kim, S. J. (1999). Subjective symptoms of fatigue in normal pregnant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9, 248-257. 

  10. Kim, Y. J. (2008). The effect of maternal stress on nutrient intake and pregnancy outcome in pregnant women. The Korean Journal Nutrition, 41, 776-785. 

  11. Kwon, M. K., & Bang, K. S. (2011). Relationship of prenatal stress and depression to maternal-fetal attachment and fetal growth.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1, 276-283. http:// dx.doi.org/10.4040/jkan.2011.41.2.276 

  12. Lazarus, R. S., & Folkman, S. (1984). Stress appraisal coping. New York: Springer Publishing. Co. 

  13. Lederman, R. P., Weigarten, C. G., & Lederman, E. (1984). Postpartum self-evaluation questionnaire, measures of maternal adaptation. Birth Defects, Original Article Series, 17 (6), 201-231. 

  14. Lee, J. I. (2011). The effects of self efficacy, educational organization characteristics and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on teacher burnout.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28, 57-82. 

  15. Lee, K. S., & Lee, Y. O. (2000). Prediction model of fatigue in women with rheumatoid arthritis. The Journal of Rheumatology Health, 8, 27-50. 

  16. Lee, W. H., & Kim, C. J. (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perceived stress, fatigue and anger in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6, 925-932. 

  17. Lier, D., Manterffel, B., Diloria, C., & Stalcup, M. (1993). Nausea and fatigue during early pregnancy. Birth, 20 (4), 193-197. 

  18. Maslach, C., & Jackson, S. E. (1986). Manual Maslach burnout inventory (2nd). Palo Alto. CA: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19. Mattews, D. A., Manus, P., & Lane, T. J. (1991). Evaluation and management of patients with chronic fatigue. American Journal of Medical Science, 32, 269-277. 

  20. Mercer, R. T., & Walker, L. O. (2006). A review of nursing interventions to foster becoming a mother. Journal of Obstetric, Gynecologic, and Neonatal Nursing, 35, 568-582. 

  21. Milligan, R. A., & Push, L. C. (1995). Fatigue during the childbearing period. Research on Nursing Practice, 33-49. 

  22. Mun, D. H. (2006). The comparative study with fatigue, anxiety and stress between full-term and preterm pregnancy.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Korea. 

  23. Noh, W. J., Song, M. S., Kim, K. N., Yoem, O. B., Han, Y. H., Park, S. H., et al. (2011). Survey on disposition of hospital nurse 2010. Seoul: Korea Hospital Nurse Association. 

  24. Park, C. S. (2002). Factors influencing on burnout experience on working nurses at hospital. Korean Journal of Woman Health Nursing, 8, 550-558. 

  25. Park, S. Y. (1998). A study on stress level and coping style of adolesc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huncheon, Korea. 

  26. Schwartz, A. L., Meek, P. M., Nail, L. M., Fargo, J., Lundquist, M., & Donofrio, M. (2002). Measurement of fatigue determining minimally important clinical differences. Journal of Clinic Epidemiology, 55, 239-244. 

  27. Tack, B. (1991). Self-reported fatigue in rheumatoid arthritis-a pilot study. Arthritis Care Research, 3 (3), 154-157. 

  28. Yang, Y. K. (2011). A study on burnout, emotional labor, and self-efficacy in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7, 423-431. 

  29. Yu, W. J., & Song, J. E. (2010). Effects of abdominal breathing on state anxiety, stress, and tocolytic dosage for pregnant women in preterm labo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0, 442-452. http://dx.doi.org/10.4040/jkan.2010. 40.3.44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