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통경관의 치유특질과 방문경험 - 경주 안압지 방문자의 평가를 중심으로 -
Restorative Quality of Traditional Landscape and Visiting Experience - Based on the Assessment of Visitors of An-Ap-Ji in Kyong Ju -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1 no.4, 2013년, pp.68 - 76  

이영경 (동국대학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의도된 집중력은 환경에 의해 장기간 요구되면 피로하게 된다. Kaplan과 Kaplan의 집중력 회복이론(ART)에서는 피로한 의도된 집중력은 치유경관에 의해 회복된다고 주장된다. 네 가지 치유특질은 탈출감, 경관의 매력, 경관의 공간감, 그리고 적합성이다. ART에서는 다양한 경관이 치유효과를 유발할 수 있다고 인정하고 있지만, 지금까지 경관의 치유효과는 자연경관과 도시경관의 두 가지 차원에서 연구되어 왔다. 본 연구의 목적은 본 연구의 목적은 두 가지로 첫째, 전통경관을 대상으로 한국형 PRS를 개발하고, 두 번째, 전통경관의 치유특질이 방문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안압지에서 수행되었으며, 200명의 안압지 방문자가 설문조사에 참여하였다. Hartig 등의 PRS(Perceived Restorativeness Scale)가 경관의 치유성을 평가하기 위한 측정도구로 사용되었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1) PRS는 역사지역에 대한 한국인의 평가에 매우 신뢰성 있는 측정도구로 밝혀졌다. 특히, 요인분석에서는 네 가지 요인이 도출되었는데, 이는 ART를 뒷받침하고 있다. 2) 경관의 장소성은 치유효과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경관의 아름다움은 비록 경관의 장소성이 경관치유에 미치는 영향보다는 작지만, 긍정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4) 네 가지 경관치유특질 중에서 세 가지 특질(경관의 매력, 탈출감, 적합성)이 방문만족과 재방문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대적인 중요도의 순서는 경관의 매력, 탈출감, 적합성으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에 근거하면,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PRS의 신뢰성을 재 검증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난다. 또한 장소성과 경관의 치유효과의 관계성을 밝히기 위한 연구도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ffortful directed attention becomes fatigued if it is demanded by environment. Kaplan and Kaplan's Attention Restoration Theory (ART) proposes that the fatigued directed attention can be restored by a restorative landscape. The four restorative components are being away, fascination, extent, and c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장소성이 높은 전통경관의 치유특질을 Hartig et al.(1997)의 PRS(Perceived Restorativeness Scale) 16개 항목을 이용하여 평가하고, 이러한 치유특질이 방문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두 가지로 첫째, 전통경관을 대상으로 한국형 PRS를 개발하고, 두 번째, 전통경관의 치유특질이 방문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PRS가 한국인에게도 측정도구로서의 신뢰성과 변별력이 있는 것을 입증하였으며, 이는 앞으로 국내 경관치유 연구에서 PRS를 활용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연구는 국내인을 대상으로 한 첫 번째 연구로서, 앞으로의 연구를 통해 이러한 결과에 대한 재검증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1997)의 PRS(Perceived Restorativeness Scale) 16개 항목을 이용하여 평가하고, 이러한 치유특질이 방문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두 가지로 첫째, 전통경관을 대상으로 한국형 PRS를 개발하고, 두 번째, 전통경관의 치유특질이 방문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지는 역사적 상징성과 장소성이 높은 경주 안압지이며, 안압지 실제 방문자가 연구에 참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ART와 SRT의 차이는 무엇인가? (1991)의 스트레스 감소 이론(Stress Reduction Theory: SRT)과 더불어 경관의 치유효과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고 있다. SRT에서는 정서와 생리적 측면을 포함하여 치유경관이 유발하는 스트레스 저감효과를 강조하는 반면에, ART는 인지적 측면을 중심으로 치유경관이 집중력 회복에 기여하는 점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ART에 의하면 과도한 인지적 노력에 의해 유발된 정신적 피로와 집중력 고갈은 치유경관을 경험하면서 해소되고, 집중력의 재충전이 이루어진다.
경관의 치유효과는 언제 발생하는가? 경관의 치유효과는 경관에 치료나 치유를 유발하는 특성이 있을 때 발생한다. 치유경관에 대한 연구는 Ulrich(1979)의 연구를 기점으로 시작되었으며, 대부분 자연경관의 치유효과에 집중되고 있다(Ulrich, 1979; Kaplan and Kaplan, 1989; Ulrich et al.
집중력 회복이론(ART)에서 말하는 치유경관의 치유 특질 4가지는 무엇인가? Kaplan과 Kaplan의 집중력 회복이론(ART)에서는 피로한 의도된 집중력은 치유경관에 의해 회복된다고 주장된다. 네 가지 치유특질은 탈출감, 경관의 매력, 경관의 공간감, 그리고 적합성이다. ART에서는 다양한 경관이 치유효과를 유발할 수 있다고 인정하고 있지만, 지금까지 경관의 치유효과는 자연경관과 도시경관의 두 가지 차원에서 연구되어 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이영경(2003) 심리적?생리적측정에근거한 산림경관의 스트레스완화 효과. 한국조경학회지 31(2): 70-82. 

  2. 이영경(2004) 자연경관의 특질분석: 자연성에 대한 조경전문가와 일반인의 평가를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31(6): 1-14. 

  3. 이영경(2006) 경관의 치유적 특질이 관광지 방문선호 및 만족에 미치는 영향 -경주 유산경관에 대한 미국인의 평가를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34(5): 1-13. 

  4. 이영경, 이병인(2006) 경관유형이 도시사무직근로자의 스트레스와 인지 수행에 미치는 영향: 자연경관과 도시경관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33(6): 1-11. 

  5. 정충영, 최이규(2009) SPSSWIN을 이용한 통계분석. 서울: 무역경영사. 

  6. Billig, M.(2006) Is my home my castle? place attachment, risk perception, and religious faith. Environment and Behavior 38: 248-265. 

  7. Bodin, M. and T. Hartig(2003) Does the outdoor environment mate for psychological restoration gained through learning?. Psychology of Sport and Excercise 4: 141-153. 

  8. Devine-Wright, P. and E. Lyons(1997) Remembering the pasts and representing places: The construction of national identities in Ireland.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17: 33-45. 

  9. English, J., K. Wilson and S. Keller-Olaman(2008) Health, healing and recovery: Therapeutic landscapes and the everyday lives of breast cancer survivors. Social Science and Medicine 1-11. 

  10. Geores, M.(1998) Surviving on a metaphor. How "healthhot springs" created and sustained a town. In R. Kearns and W. Gesler (Eds.) Putting Health into Place: Landscape, Identity and Well-being, Syracuse: Syracuse University Press. pp. 36-52. 

  11. Gesler, W.(1993) Therapeutic landscapes: theory and a case study of Epidauros. Greece Environment and Planning D: Society and Space 11: 2. 

  12. Han, K. T.(2003) A reliable and valid self-rating measure of the restorative quality of natural environments.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64: 209-232. 

  13. Hartig, T. A.(1993) Testing restorative environments theor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Irvine. 

  14. Hartig, T., K. M. Korpela, G. W. Evans and T. Garling(1997) A measure of restorative quality in environments. Scandinavian Housing Planning Research 14: 175-194. 

  15. Hauru, K., S. Lehvavirta, K. Korpela, and D. J. Kotze(2012) Closure of view to the urban matrix has positive effects on perceived restorativeness in urban forests in Hesinki, Finland,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107(4): 361-369. 

  16. Hay, R.(1998) Sense of place in developmental context.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18: 5-29. 

  17. Herzog, T. R., A. M. Black, K. A. Fountaine and D. J. Knotts(1997) Reflection and attentional recovery as distinctive benefits of restorative environments.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17: 165-170. 

  18. Herzog, T. R., Colleen P. Maguire, and M. B. Nebel(2003) Assessing the restorative components of environments.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23(2): 159-170. 

  19. Hipp, J. A., and O. A. Ogunseitan(2011) Effect of environmental conditions on percieved psychological restorativeness of the coastal parks.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31(4): 421-429. 

  20. Jorgensen, B. S. and R. C. Stedman(2001) Sense of place as an attitude: lakeshore owners attitude toward their properties.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21: 233-248. 

  21. Kaplan, R. and S. Kaplan(1989) The Experience of Nature: a Psychological Perspective. 

  22. Kaplan, S.(1995) The restorative benefits of nature: Toward an integrative framework.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15: 169-182. 

  23. Kaplan, S.(2001) Meditation, restoration, and the management of mental fatigue. Environment and Behavior 33: 480-506. 

  24. Karmanov, D. and R. Hamel(2008) Assessing the restorative potential of contemporary urban environments: Beyond the nature versus urban dichotomy,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86: 115-125. 

  25. Kearns, R. and D. Collins(2000) New Zealand children's health camps: therapeutic landscapes meet the contract state. Social Science and Medicine 51: 1047-1059. 

  26. Kline, R. B.(1998)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New York: Guilford Press. 

  27. Laumann, K., T. Garling and K. M. Stormark(2001) Rating scale measures of restorative components of environments.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21(1): 31-44. 

  28. Lewicka, M.(2008) Place attachment, place identity, and place memory: Restoring the forgotten city past.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28: 209-231. 

  29. Lindal, P. J. and T. Hartig(2013) Architectural variation, building height, and the restorative quality of urban residential streetscapes.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33: 26-36. 

  30. Low, S. M.(1992) Symbolic ties that bind. In I. Altman, and S. M. Low (Eds.), Place Attachment, New York: Plenum Press. pp. 165-185. 

  31. Parsons, R., L. G. Tassinary, R. S. Ulrich, M. R. Hebl and M. Grossman-Alexander(1998) The view from the road: Implications for stress recovery and immunization.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18: 113-140. 

  32. Peschardt, K. K. and U. K. Stigsdotter(2013) Associations between park characteristics and perceived restorativeness of small public urban green spaces.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112: 26-39. 

  33. Relph, E.(1976) Place and Placelessness. London: Pion Limited. 

  34. Stedman, R.(2003). Is it really just a social construction? The contribution of the physical environment to sense of place. Society and Natural Resources 16: 671-685. 

  35. Tenngart, Ivarsson, C. and C. M. Hagerhall(2008) The perceived restorativeness of gardens-Assessing the restorativeness of a mixed built and natural scene type. Urban Forestry and Urban Greening 7(2): 107-118. 

  36. Ulrich, R. S.(1979) Visual landscape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Landscape Research 4(1): 17-23. 

  37. Ulrich, R. S.(1981) Natural versus urban scenes: Some psychophysiological effects. Environment and Behavior 13: 523-556. 

  38. Ulrich, R. S.(1983) Aesthetic and affective response to natural environment. In I. Altman and J. F. Wohlwill, (eds.), Behavior and the Natural Environment. New York: Plenum Press. pp. 85-125. 

  39. Ulrich, R. S., R. F. Simons, B. D. Losito, E. Fiorito, M. A. Miles and M. Zelson(1991) Stress recovery during exposure to natural and urban environments.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11: 201-230. 

  40. Ulrich, R. S. and R. Parsons(1992) Influences of passive experiences with plants on individual well-being and health. In: Relt, P.(Ed.), The Role of Horticulture in Human Well-being and Social Development. Portland. Portland: Timber Press. pp. 93-105. 

  41. Wilkie, S. and A. Stravridou(2013) Influence of environmental preference and environment type congruence on judgements of restoration potential. Urban Forestry and Urban Greening 12(2): 163-170. 

  42. Williams, D. R. and J. J. Vaske(2003) The measurement of place attachment: Validity and generalisability of a psychometric approach. Forest Science 49(6): 830-84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