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오디를 첨가한 막걸리의 발효기간 중 이화학적 및 미생물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and Microbial Properties of Korean Traditional Rice Wine, Makgeolli, Supplemented with Mulberry during Fermentation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2 no.10, 2013년, pp.1682 - 1689  

김은경 (경희대학교 조리외식경영학과) ,  장윤혁 (경희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고재윤 (경희대학교 조리외식경영학과) ,  정윤화 (단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오디를 첨가하여 제조한 막걸리의 이화학적 및 미생물학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발효 7일째의 알코올 함량은 오디 막걸리(17.1%)와 대조군(17.0%)간 유의적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pH는 발효 1일째 급격히 감소한 후 완만한 증가를 보이며 발효 7일째 각각 4.48 및 4.51로 유사하게 나타났다. 총산은 두 시료 모두 발효 1일째에 급격히 증가하고, 그 이후 완만히 증가하였다. 총 균수, 효모 수, 유산균 수는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점차 증가하였으며 오디막걸리의 발효 7일째 총 균수, 효모 수, 유산균 수는 대조군과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색도(L, a, b)는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대조군과 오디 막걸리 모두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유리당 중 glucose는 모든 막걸리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발효가 진행하면서 감소하였다. 유기산 함량은 succinic acid가 오디 막걸리와 대조군 모두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발효가 진행되면서 증가하였다. 오디막걸리와 대조군에서 검출된 47종의 휘발성 화합물 중 가장 많이 동정된 성분은 3-methyl-1-butanol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lucidate the physicochemical and microbial properties of Korean traditional rice wine, Makgeolli, supplemented with mulberry during the fermentation process. Four hundred grams of mulberries (20% of the total amount of rice) were ground and incorporated int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막걸리의 다양화와 고급화를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써 기호성과 식품영양학적 효용성이 높은 오디를 첨가하여 오디 막걸리를 제조하고 오디 막걸리의 이화학적 및 미생물학적 품질 특성을 평가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오디를 첨가하여 제조한 막걸리의 이화학적 및 미생물학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발효 7일째의 알코올 함량은 오디 막걸리(17.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오디는 무엇인가? 오디는 뽕나무의 열매로 지름은 약 2 cm로 처음에는 녹색 이다가 검은빛을 띤 자주색으로 익는다. 익으면 즙이 풍부해 지며 당분이 들어있어 맛이 새콤달콤하고 신선한 향기가 난다.
오디의 지름은 몇 cm인가? 오디는 뽕나무의 열매로 지름은 약 2 cm로 처음에는 녹색 이다가 검은빛을 띤 자주색으로 익는다. 익으면 즙이 풍부해 지며 당분이 들어있어 맛이 새콤달콤하고 신선한 향기가 난다.
오디는 익으면 맛이 어떤가? 오디는 뽕나무의 열매로 지름은 약 2 cm로 처음에는 녹색 이다가 검은빛을 띤 자주색으로 익는다. 익으면 즙이 풍부해 지며 당분이 들어있어 맛이 새콤달콤하고 신선한 향기가 난다. 주요성분으로는 포도당, 과당, 시트르산, 사과산, 탄닌, 펙틴을 비롯하여 비타민(A, B1, B2, D), 칼슘, 인, 철등이 들어 있고 산딸기나 포도에 비해 단백질 함량이 4~5배 높을 뿐만 아니라, 산딸기와 같은 과실에 비하여 섬유소의 함량이 높은 고영양 과실이며 내장, 특히 간장과 신장의 기능을 좋게 한다(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Park SS, Yoon JA, Kim JJ. 2010. Quality properties of Takju (rice wine) added with kidney bean.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0: 575-581. 

  2. Woo KS, Song SB, Lee JS, Ko JY, Kang JR, Oh BG, Nam MH, Ryu IS, Seo MC. 2010.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wine made from proso millet (Panicum miliaceum L.) at different addition rates with two kinds of nuruk. Korean J Crop Sci 55: 119-125. 

  3. Lee DH, Kim JH, Lee JS. 2009. Effect of pears on the quality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Makgeoly. Korean J Food & Nutr 22: 606-611. 

  4. Jeong JW, Park KJ, Kim MH, Km DS. 2006. Quality characteristics of Takju fermentation by addition of chestnut peel powder. Korean J Food preserv 13: 329-336. 

  5. Kim HR, Jo SJ, Lee SJ, Ahn BH. 2008.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zation of a Korean traditional rice wine prepared from different ingredie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551-557. 

  6. Kim JY, Yi YH. 2008. pH, acidity, color, reducing sugar, total sugar, alcohol and organoleptic characteristics of puffed rice powder added wheat flour takju during fermentation. Food Eng Prog 12: 71-77. 

  7. Kim JY, Sung KW, Bae HW, Yi YH. 2007. pH, acidity, color, reducing sugar, total sugar, alcohol and organoleptic characteristics of puffed rice powder added Takju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9: 266-271. 

  8. Shin SY, Suh SH, Cho WD, Lee HK, Hwang HJ. 2003. Analysis of volatile components in Korean rice wine by the addition of Yulmoo.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1206-1213. 

  9. Lee DH, Park WJ, Lee BC, Lee JC, Lee DH, Lee JS. 2005. Manufacture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Korean traditional wine by using Gugija (Lycii fructus).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789-794. 

  10. Woo SM, Shin JS, Seong JH, Yeo SH, Choi JH, Kim TY, Jeong YJ.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own rice Takju by different Nuruk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301-307. 

  11. Lee TS, Choi JY. 2005.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mash of Takju prepared by using Aspergillus kawachii nuruks.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944-950. 

  12. Lee HS, Park CS, Choi JY.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mashes of Takju prepared using different yeasts. Korean J Food Sci Technol 42: 56-62. 

  13. Kim JH, Lee SY, Kim KBWR, Song EJ, Kim AR, Kim MJ, Ji KW, Ahn IS, Ahn DH. 2007. Effects of Glycyrrhiza uralensis, Menthae herba, Schizandra chinensis and Chitosan on the shelf-life and quality of Takju.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1436-1443. 

  14. Kim AJ, Kim MW, Woo NRY, Kim MH, Lim YH. 2003. Quality characteristics of Oddi-Pyun prepared with various levels of mulberry fruit extract. Korean J Soc Food Cookerey Sci 19: 708-714. 

  15. Kim TW, Kwon YB, Lee JH, Yang IS, Youm JK, Lee HS, Moon JY. 1996. A study of the antidiabetic effect of mulberry fruits. Korean J Seric Sci 38: 100-107. 

  16. Lee JY, Moon SO, Kwon YJ, Rhee SJ, Park HR, Choi SW. 2004. Identification and quantification of anthocyanins and flavonoids in mulberry (Morus sp.) cultivars. Food Sci Biotechnol 13: 176-184. 

  17. KFDA. 2010. Food code. Korea Food and Drug Association, Seoul, Korea. 10-3-1-10-3-35. 

  18. Sturm K, Koron D, Stampar F. 2003. The composition of fruit of different strawberry varieties depending on maturity stage. Food Chem 83: 417-422. 

  19. Kerem Z, Bravdo BA, Shoseyov O, Tugendhaft Y. 2004. Rapid liquid chromatography-ultraviolet determination of organic acids and phenolic compounds in red wine and must. J Chromatogr A 1052: 211-215. 

  20. Lee TJ, Hwang DY, Lee CY, Son HJ. 2009. Changes in yeast cell number, total acid and organic acid during production and distribution processes of Makgeolli, traditional alcohol of Korea. Korean J Microbiology 45: 391-396. 

  21. Seo MY, Lee JK, Ahn BH, Cha SK. 2005. The changes of microflora during the fermentation of Takju and Yakju.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61-66. 

  22. Song JC, Park HJ, Shin WC. 2006. Suppression of solid matters precipitation of Takju and its quality improvement by carrageenan. Korean J Food & Nutr 19: 288-295. 

  23. Park CS, Oh EH, Jeong HS, Yoon HS. 2009.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germinated brown rice wine added with red pepp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1090-1096. 

  24. Park CS, Lee TS. 2002. Quality characteristics of takju prepared by wheat flour nuruk.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296-302. 

  25. Ryuzo U, Takeshi I, Yuzo I, Toshio O. 1972. Studies on changes in microflora and its metabolism during the process of making koji in soy sauce brewing. Seasoning Science 19: 31-38. 

  26. Lee TS, Choi JY. 1998.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Takju fermented with mashed glutinous rice and barley r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638-643. 

  27. Yuda J. 1976. Volatile compounds from beer fermentation. J Brew Soc Jpn 71: 819-830. 

  28. Hara S. 1967. A view of sake component: Alcohol. J Soc Brew Japan 62: 1195-1205. 

  29. Lee TS, Han EH. 2000.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mash of takju prepared by using Rhizopus japonicus nuruks.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691-698. 

  30. Kim E, Chang YH, Ko JY, Jeong Y. 2013. Physicochemical and microbial properties of the Korean traditional rice wine, Makgeolli, supplemented with banana during fermentation. Prev Nutr Food Sci 18: 203-209. 

  31. So MH, Lee YS, Han SH, Noh WS. 1999. Analysis of major flavor compounds in Takju mash brewed with a modified Nuruk. Korean J Food & Nutr 12: 421-42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