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RN-BSN 과정생들의 통제소재와 창의적 행동이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Creative Action and Locus of Control on Self-leadership among RN-BSN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4 no.10, 2013년, pp.5059 - 5068  

고명숙 (삼육대학교 간호학과) ,  석정원 (삼육대학교대학원 간호학과) ,  정현철 (삼육대학교 간호학과) ,  전경덕 (삼육대학교대학원 간호학과) ,  최대호 (삼육대학교 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 본 연구는 RN-BSN 과정에 있는 간호사들의 통제위와 창의적 행동이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조사연구로서 서울시내 두 대학의 RN-BSN 과정생 135명으로 과정이 시작되기 직전 설명을 통하여 본 연구에 동의한 자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평균은 통제소재 1.42점, 창의적 행동 3.26 점, 셀프리더십은 3.63 점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변수간 차이는 통제소재는 병원근무자가(t=-2.53, p=.012) 창의적 행동은 20대보다 30대가(t=-2.271, p=.024), 일반간호사보다 책임간호사가 유의하게 높았다(t=.012, p=.030). 셀프리더십은 20대보다 30대가 (t=-2.845, p=.005), 일반간호사보다 책임간호사가 유의하게 높았다(t=1.120, p=.031). 근무 년 수는 10년 이상군이 3년 이하 군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으며(F=3.083, p=.049), 내적통제위와 창의적 행동은 셀프리더십을 43.1% 설명하였다. 결론: 간호조직에서는 간호사들의 셀프리더십을 향상시키고자 할 때 내적통제소재와 창의적 행동을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learn the impact of creative action and locus of control on the self-leadership among RN-BSN students. 135 RN-BSN students participated after being told the research inform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mean of locus of control was 1.42, creative action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지금까지 보편적으로 진행되어 오던 전체 간호사대상의 연구들이 향후 학력상황을 고려하여 접근한다면 그 결과를 적용 및 응용하는데 훨씬 효과적일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간호인력 개발의 관점에서 일차적으로 3년제 졸업자의 통제소재와 창의적 행동이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RN-BSN과정에 있는 간호사들의 통제소재와 창의적 행동이 셀프리더십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기 위한 탐색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간호학 RN-BSN과정생의 통제소재와 창의적 행동, 셀프리더십의 정도를 파악하고, 통제소재와 창의적 행동이 셀프리더십에 영향이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이론 검증을 통하여 통제소재, 창의적 행동, 셀프리더십 세 변수의 관계를 설정하고 통제소재와 창의적 행동이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RN-BSN대상으로 조사를 하였으며 그 결과 통제소재와 창의적 행동이 셀프리더십에 영향이 있음을 파악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통제소재는 어떤 것을 의미하는가? 통제소재는 어떤 행동의 결과에 대해서 그 책임을 자신의 내부에 두는가 아니면 외부에 두는가에 대한 일반화된 기대나 믿음을 의미하며[4], 본 연구에서는 자신의 행동과 이에 따르는 인과관계를 지각하는 방식을 측정하기 위해 Yoo & Jeong [16]가 개발한 통제소재도구로 수정 보완하여 사용한 15문항을 이용하였다. 통제소재 유형은 내적통제 문항에 1점, 외적 통제 문항에 2점을 부여하여, 평균이1.
Prussia et al. [22]이 개발한 셀프리더십 도구는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 이 도구는 행동 지향적 전략 6개 문항, 자연적 보상 전략 6개 문항, 그리고 건설적 사고 전략 8개 문항 등 총 20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Likert식 5점 척도로 점수가 높을수록 셀프리더십 정도가 높은 것이다.
셀프리더십이란? 셀프리더십이란 구성원이 직무수행 기준에 따라 자율적으로 업무를 수행하며 그 결과에 대한 책임을 지는 것으로, 기존의 타율적인 성향에서 탈피하여 자기 스스로 리더십을 발휘하는 자율성[1]을 강조한다. 이런 성향은 간호조직에서도 매우 필요한데 오늘날 입원환자의 질병 위중 정도는 과거보다 훨씬 중하여 간호사들의 자율적 능력발휘가 환자의 위험순간을 극복할 수 있는 결정적인 요소가 되기 때문인데 연구에 의하면 셀프리더십은 개인의 내.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C. C. Manz (1983). The art of self-leadership ; Strategies for personal effectiveness in your life and work. Eagle wood Cliffs, N.J: Prentice-Hall Inc. 

  2. A. W. Holst (1990). Leadership Development as a Result of Self-Knowledge and Self-Control. Paper Presented at the National Council of States on Service Education. Fifteenth Annual National Conference Improving Education through Staff Development, Orlando, F.L. 

  3. S. W. Kim, H. J. Lee, & D.S. Shin (2010). The antecedents and outcomes of self leadership- focused on the mediation effect of self-efficacy. Daehan Journal of business, 23(3), 1287-1312. 

  4. J. B. Rotter (1966). "Generalized expectancies for internal vs. external control of reinforcement". Psychological Monographs. 80(1): 1-28. DOI: http://dx.doi.org/10.1037/h0092976 

  5. C. M. Taylor, J. M. Schepers, & F. Crous (2006). "Locus of control in relation to flow". Journal of Industrial Psychology, 32(3): 63-71. 

  6. E. S. Nelson, & K. E. Mathias (1995). "The relationships among college students locus of control, learning styles and self-prediction of grades". Education Research and Perspectives, 22(2), 110-117. 

  7. Y. J. Joo, S. M. Kim, S. Y. Park, & E. K. Kim (2009).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Internal Locus of Control, Organizational Support, Learning Flow and Learning Persistence in Corporate Cyber Education. Educational Research Institute College of Education, Ewha Womans University, 40(3), 239-263. 

  8. T. M. Amabile, & N.D. Gryskiewicz (1989). The creative environment scales: work environment inventory, Creativity Research Journal, 2, 231-253. DOI: http://dx.doi.org/10.1080/10400418909534321 

  9. T. M. Amabile, R. Conti, H. Coon, J. Lazenby, & M. Herron (1996). "Assessing the Work Environment for Creativity".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9: 1154-1184. DOI: http://dx.doi.org/10.2307/256995 

  10. C. E. Shalley (1995). "Effect of coaction, expected evaluation, and goal setting on creativity and productivity".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8(2): 483-503. DOI: http://dx.doi.org/10.2307/256689 

  11. S. Williams (1997). "Personality and self-leadership". Human Resource Management Review, 7(2), 139-155. DOI: http://dx.doi.org/10.1016/S1053-4822(97)90020-6 

  12. L. Watson (2004). "Self-leadership: becoming an exceptional leader". Radiol Technology, 75(6): 457-467. 

  13. Y. H. Han, Y. S. Son, K. O. Park, & K. H. Kang (2010). The Relationships between Professionalism, Job Involvement,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6(2), 17-31. 

  14. K. J. Kwon, & S. H. Lee (2012). Occupational Stress and Coping Styles as Factors Affecting the Burnout of Clinical Nurses.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18(4), 383-393. DOI: http://dx.doi.org/10.11111/jkana.2012.18.4.383 

  15. H. J. Kwon, B. H. Suk, S. J. Chee, Y. M. Ahn, Y. J. Kim, S. A. Park, K. S. Lee, S. J. Kwon, G. S. Oh, & M. A. Kim (2011).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Types of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Nurses' Satisfaction with Life, and Job Satisfaction.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17(1), 57-69. 

  16. K. O. Yoo, & J. W. Cheong (1998). Demographic and socio-psychological variables to adults' self-direction in learning. Korean Journal of adult & Continuing Education. 4(1), 119-149. 

  17. G. R. Oldham, & A. Cummings (1996). "Employee Creativity: Personal and Contextual Factors at Work".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9(3),607-634. DOI: http://dx.doi.org/10.2307/256657 

  18. S. M. Siegel, & W. F. Kaemmerer(1978). Measuring the perceived Supports for Innovation in Organization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63, 553-562. DOI: http://dx.doi.org/10.1037/0021-9010.63.5.553 

  19. M. Basadur, M. Wakabayashi, & G. B. Graen (1990). Individual problem-solving Styles and Attitudes toward Divergent thinking before and after Training,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1, 22-32. 

  20. G. E. Bae (1999). Mediating effects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on employees' creative actions. Ewha womans University Master's thesis. 

  21. C. C. Manz, & C. P. Neck (2004). Mastering selfleadership Empowering yourself for personal excellence, (3rd ed). Upper Saddle River, NJ : Pearson Prentice-Hall. 

  22. G. E. Prussia, J. S. Anderson, & C. C. Manz (1998). "Self-leadership and performance outcomes: The mediating influence of self-efficacy".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19(5): 523-538. DOI: http://dx.doi.org/10.1002/(SICI)1099-1379(199809) 19:5 3.0.CO;2-I 

  23. S. K. Hwang (2011). A Study on the Effects of Self-Leadership on Job Involvement: The Mediating Effects of Intrinsic Motivation. Korea Corporation Management Association, 18(2), 87-103. 

  24. H. K. Kim (2007). Influence of Interpersonal Relations, Communication Skills, Creative Behaviors and Nursing Service on Self-Leadership among Nurses in Hospitals. Clinical Nursing Research, 13(1), 25-36. 

  25. W. S. Ha, & J. K. Tak (2012). The effect of coaching leadership on Contextual Performance and Creative Behavior; The Moderat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Virtuousness and Goal Orientation.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25(1), 195-213. 

  26. M. H. Jung, & B. C. Min (2000). A Study on the Creative Activities of the Staff Working in Specialization-oriented Hospitals. J. Korean Public Health Assoc, 26(3), 267-275. 

  27. M. S. Lee, & Y. S. Kang (2003). Relationship between Creativity and Innovative Behavior; Moderat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Situations. Korean Academy of Organization and Management, 27(1), 251-272. 

  28. J. S. Lee (2010). The relationship on nurses' self-leadership, job satisfaction and nursing performance. Hanyang University Master's thesis. 

  29. K. M. Lim (2012). The Effects of Self-Leadership and Self-Efficacy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Koshin University doctoral dissertation. 

  30. C. C. Manz (1986). Self-leadership: "Toward an expended theory of self-influence processes in organization".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1: 585-600. 

  31. J. J. Kim (2011).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nd Self-Leadership. Ulsan University doctoral dissertation. 

  32. J. H. Ahn, & J. Y. Lim (2010). Creative Problem Solving Style, Self-leadership and Locus of control in the Korean Engineering College students. Korean Society for Engineering Education, 13(4), 122-129. 

  33. T. C. Diliello, & J. D. Houghong (2006). "Maximizing Organizational Leadership Capacity for the Future : toward a model of Self-Leadership, Innovation and Creativity". Journal of Managerial Psychology, 21(4):317-31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