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패턴인식 알고리즘을 적용한 임플란트 주변골 흡수 분석
Marginal Bone Resorption Analysis of Dental Implant Patients by Applying Pattern Recognition Algorithm 원문보기

大韓顎顔面成形再建外科學會誌 =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ons, v.35 no.3, 2013년, pp.167 - 173  

정민기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구강악안면외과학교실) ,  김성민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구강악안면외과학교실) ,  김명주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치과보철학교실) ,  이종호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구강악안면외과학교실) ,  명훈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구강악안면외과학교실) ,  김명진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구강악안면외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eries of panoramic radiograph of implant patients using the system to measure peri-implant crestal bone loss according to the elapsed time from fixture installation time to more than three years. Methods: Choose 10 patients having 45 implant fixtur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전산학의 패턴인식 알고리즘(pattern recognition algorithm)을 치의학 영역에 적용시켜서 임플란트 식립 환자의 방사선 사진에 적용 가능한 시스템을 구현하고자 하였다. 저자 등이 고안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임플란트 매식체, 주변골 및 구조물 들의 좌표를 분석하여 임플란트 주변 치조골의 치조정과 임플란트 매식체의 플랫폼(platform)까지의 거리를 계산하였다.
  • 저자 등이 고안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임플란트 매식체, 주변골 및 구조물 들의 좌표를 분석하여 임플란트 주변 치조골의 치조정과 임플란트 매식체의 플랫폼(platform)까지의 거리를 계산하였다. 이렇게 구현된 기능을 이용하여 임플란트 시술 환자의 기간별 파노라마 사진들을 분석하여 알고리즘에 의한 임플란트 변연골 소실량을 정확하고 간편하게 측정함으로써 기존의 다른 방법에 의한 임플란트 주변골 소실에 대한 연구 내용과 비교하여 패턴인식의 유효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 패턴인식을 치의학에 접목시키는 새로운 영역의 치의학 연구를 진행하고자 했던 본 연구의 목적은 구현된 시스템을 통한 임플란트와 그 주변골의 치조정에 대한 높은 인식률을 통해 어느 정도 달성되었으나 상대적으로 계획한 자료를 모두 구비한 증례 부족과 파노라마 방사선의 오차로 인해 실제 결과값에서 여러 아쉬운 결과를 동시에 보이기도 하였다. 그러나 중첩 구조물과 좁은 임플란트와 치조골 상부의 경계면 및 부위별 다른 확대율을 갖는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의 한계점에도 불구하고 높은 인식률을 보였고, 기존의 tracing을 통한 골흡수량 측정의 경우 재측정하거나, 다른 사람이 측정하는 경우 그 값이 달라질 수 있는 반면, 패턴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측정하는 경우 재측정 시나 측정자가 달라질 경우에도 항상 일정한 측정값을 보인다는 점에서 그 유용성을 기대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방사선 사진상의 길이를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측정하는 방식의 단점은? 이처럼 임플란트 식립 후 중요한 기준이 되는 임플란트 주변골이나 구조물 변화의 측정은 방사선 사진상의 길이를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측정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는데, 측정과정에서의 오류, 측정자 간의 치조골의 경계선 및 임플란트 주변골의 기준점의 차이 등으로 인한 측정 오차가 있을 수 있고, 또한, 같은 사진에서도 재측정 시 다른 값을 측정하게 되는 오차가 발생하는 단점들이 있어 왔다.
프로그램의 알고리즘에서 각 화소는 어떠한 값을 가지나? 프로그램의 알고리즘은 방사선 사진 bmp 파일의 header를 분석하여 이미지 파일의 크기와 해상도를 인식하고, 이를 통해 해상도와 같은 크기의 배열을 할당하여 각 배열에 상응하는 위치에 있는 화소의 정보를 담았다. 각 화소는 각각 256단계의 red (R), green (G), blue (B) 값을 가지는데, 방사선 사진은 흑백이므로 R, G, B 값이 모두 동일한 값을 가진다. 연구자가 컴퓨터 마우스를 통해 선택한 임플란트의 밝기를 기준으로 주변 인접 화소를 반복적으로 검색하고, 과정 중에 인접 화소와 비교하여 명도가 일정 값 이상으로 바뀔 때까지 범위를 확장시켜가면서 검색하였다.
측정자 수준의 오류를 줄이고 진단능력의 정확성을 높이려는 노력으로는 무엇이 있나? 측정자 수준의 오류를 줄이고 진단능력의 정확성을 높이려는 노력은 의학 분야에서 시작되었는데, Hughes 등[8]은 전산학의 패턴인식(pattern recognition)을 이용하여 흉부 방사선 사진에서 패턴인식을 통한 정보의 체계화 후에 진단 기술에서의 유효성이 우수함을 검증하였고, 또한, Geraets 등[9]은 수완부 방사선 사진에 대한 패턴인식을 통해 골밀도(bone mineral density)를 측정하기도 하였다. 이에 비해 치의학 영역에서 패턴인식의 적용에 대한 연구는 아직 활발히 이루어지지는 못하였는데, 치조골 결손부를 진단하거나[10], 법치의학 영역에서 방사선 사진에 대한 패턴인식을 통해 사체 검증(human identification)을 하는 데에 국한된 연구가 보고되었고[11], 국내에서는 아직 관련된 보고가 없어 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Adell R, Lekholm U, Rockler B, Branemark PI. A 15-year study of osseointegrated implants in the treatment of the edentulous jaw. Int J Oral Surg 1981;10:387-416. 

  2. Cochran DL, Nummikoski PV, Schoolfield JD, Jones AA, Oates TW. A prospective multicenter 5-year radiographic evaluation of crestal bone levels over time in 596 dental implants placed in 192 patients. J Periodontol 2009;80:725-33. 

  3. Adell R, Lekholm U, Rockler B, et al. Marginal tissue reactions at osseointegrated titanium fixtures (I). A 3-year longitudinal prospective study. Int J Oral Maxillofac Surg 1986;15:39-52. 

  4. Lekholm U, Adell R, Lindhe J, et al. Marginal tissue reactions at osseointegrated titanium fixtures. (II) A cross-sectional retrospective study. Int J Oral Maxillofac Surg 1986;15:53-61. 

  5. Henry P, Bower R, Woolridge J. Radiographic evaluation of marginal bone height around titanium implants. J Dent Res 1988;67:629. 

  6. Quirynen M, Naert I, van Steenberghe D, Dekeyser C, Callens A. Periodontal aspects of osseointegrated fixtures supporting a partial bridge. An up to 6-years retrospective study. J Clin Periodontol 1992;19:118-26. 

  7. van Steenberghe D, Klinge B, Linden U, Quirynen M, Herrmann I, Garpland C. Periodontal indices around natural and titanium abutments: a longitudinal multicenter study. J Periodontol 1993;64:538-41. 

  8. Hughes H, Hughes K, Hamill R. A study to evaluate the introduction of a pattern recognition technique for chest radiographs by radiographers. Radiography 1996;2:263-88. 

  9. Geraets WG, Van der Stelt PF, Netelenbos CJ, Elders PJ. A new method for automatic recognition of the radiographic trabecular pattern. J Bone Miner Res 1990;5:227-33. 

  10. van der Stelt PF, van der Linden LW, Geraets WG, Alons CL. Digitized pattern recognition in the diagnosis of periodontal bone defects. J Clin Periodontol 1985;12:822-7. 

  11. Nomir O, Abdel-Mottaleb M. A system for human identification from X-ray dental radiographs. J Pattern Recognition 2005;38:1295-305. 

  12. Duan D, Xie M, Mo Q, Han Z, Wan Y. An improved Hough transform for line detection. Beijing: ICCASM; 2010. 

  13. Du S, van Wyk BJ, Tu C, Zhang X. An improved Hough Transform neighborhood map for straight line segments. IEEE Trans Image Process 2010;19:573-85. 

  14. Molander B, Ahlqwist M, Grondahl HG, Hollender L. Agreement between panoramic and intra-oral radiography in the assessment of marginal bone height. Dentomaxillofac Radiol 1991;20:155-60. 

  15. Park KH, Han DH. Radiograghic study of marginal bone loss around osseointegrated implants after functional loading. J Korean Acad Prosthodont 1998;36:806-15. 

  16. Sewerin IP. Errors in radiographic assessment of marginal bone height around osseointegrated implants. Scand J Dent Res 1990;98:428-33. 

  17. Kim YK, Yun PY, Kim SG, Kim BS, Ong JL. Evaluation of sinus bone resorption and marginal bone loss after sinus bone grafting and implant placement.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Oral Radiol Endod 2009;107:e21-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