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김치 소비 패턴 및 기능성 김치에 관한 소비자 인식
A Study on Kimchi Consumption Pattern and Consumer's Perception about the Functional Kimchi in Seoul and Gyeonggi-do Areas 원문보기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28 no.5, 2013년, pp.480 - 487  

김주현 (동서울대학교 관광학부 호텔외식조리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conducted to investigate to the consumption pattern of Kimchi and perception about the functional Kimchi of consumer. The survey was done between October 1 to October 15, 2011 among 294 male and female adults aged 19 and over in Seoul and Gyeonggi-do areas. The gender distribution of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설문지의 문항은 김치의 소비패턴에 관한 조사로는 김치 소비방법, 김치에 대한 조리방법 인지도, 시판 김치 구매 경험, 시판 김치의 구매량, 시판 김치의 구매 방법, 시판 김치 맛에 대한 만족도에 대해 조사되었다. 또한 기능성 김치에 대한 소비자 인식 조사에서는 기능성 김치에 대한 인지 여부, 기능성 김치에 대한 구매 의사, 기능성 김치의 특성에 대한 사항, 기능성 김치를 위한 첨가 식재료에 대한 선호도에 대해 조사되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서울 및 경기도 일부 소비자를 대상으로 김치의 소비패턴을 조사하고, 기능성 김치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국내 소비자의 김치 품질 개선 요구를 파악하고 기능성 김치의 개발 방향을 제시하여 김치산업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게 되었다.
  • 김치는 채소류를 소금에 절인 후 무, 파, 미나리, 고춧가루, 마늘, 생강 등 여러 가지 부원료와 젓갈류로 양념을 하여 발효와 숙성과정을 거치는 동안 독특한 향미를 만들어 내는 전통 발효식품으로 항암, 동맥경화와 혈전 억제효과, 항균작용, 정장작용을 통한 변비치료 등의 기능성을 가진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발효식품이다. 최근 시판 김치의 소비 시장이 증가하고 있으며 기능성 김치의 연구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바, 소비자의 김치소비 패턴 및 기능성 김치에 관한 인식도 조사를 실시하여 소비자 지향적 김치산업 발전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김치의 효능은? 김치는 비타민과 무기질을 풍부하게 공급해주는 특징을 가지며, 특히 현대인에게 부족할 수 있는 식이 섬유소를 보충해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양념으로 첨가되는 향신료로 인한 항암효과, 항산화 효과가 보고되고 있는데, 고추의 매운 성분인 캡사이신은 지방산의 산화를 방지하고, 마늘의 알리신은 강력한 살균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Kang 2001).
Koo의 연구에 의하면 시판 김치류를 이용하는 대상자는? Koo(1997)의 연구에 의하면, 시판 김치류를 이용하는 대상자는 전체의 3.8%로 나타났으며 주부의 연령이 낮아질수록 시판 김치의 구입 경향이 뚜렷하다고 보고한 바 있다. 한편 농협경제연구소(2011)의 연구 결과에 의하면 시판 김치를 구매하는 소비자는 전체의 10.
최근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 증가에 따라 기능성 김치 역시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는데 이를 알 수 있는 내용은? 최근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 증가에 따라 기능성 김치 역시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김치는 건강기능식품의 ‘선두주자’라고 보고한 특허청 보도자료(2011)에 의하면, 김치에 관한 특허출원이 10년간 해마다 평균 50건씩 증가하였으며 단순한 반찬의 개념에서 건강을 증진시키거나 질병을 예방하기 위한 기능성 김치로서의 개발이 증가하고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 특히 기능성 김치 중 김치의 풍미를 증진시키는 기술이 39%, 질병 예방이나 치료를 목적으로 특정한 재료나 성분을 첨가하여 기능성을 강화한 것이 30%로 특허 출원이 많았다고 보고하고 있다. 또한 소비자의 김치에 대한 다양한 수요를 잘 보여주는 김장시장 분석과 전망에 대한 연구에서, 소비자는 시판 김치 구입 시 ‘제조사·브랜드명’과 ‘원산지’를 확인하였으며, ‘맛’과 ‘안전성’을 중시하였으며, 특히 화학조미료 무첨가, 저염제품, 건강에 유익한 원료나 성분이 사용하여 품질이 향상된 ‘프리미엄 김치 제품’에 대해서는 소비자의 6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농협경제연구소. 2011. 2011 국내 김치 산업 동향 및 소비자 김장 계획 조사. NHERI 리포트 제159호 

  2. 이용선, 서대석. 2011. 2011년 김장시장 분석과 전망. 농업경제연구원. 

  3. Cheigh HS, Park KY. 1994. Biochemical, microbiological, and nutritional aspects of Kimchi. Critical reviews in food science and nutrition, 34:175-203 

  4. Cho EJ, Rhee SH, Lee SM, Park KY. 1997. In vitro antimutagenic and anticancer effects of kimchi fractions. J. Korean Assoc. Cancer Prev., 2: 113-121 

  5. Cho YB. 2008. The effects of Kimchi product selection attribute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 Korean J Culinary Research, 14:203-216 

  6. Cho YS, Lee SY, Lee EK. 2008. A Survey of university students' preference and awareness and uses of commercial Kimchi - in Daegu Area.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8(6):907-917 

  7. Choi HS. 2002. General characteristics and quality of commercial Kimchi products. Research Bulletin of Kimchi Science and Technology, 8:99-104 

  8.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9. KNHANES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al Examination Survey) IV 

  9. Jo YB, Choi HJ, Baik HS, Jun HK. 1997. Evaluation of optimum conditions for the electrofusion between Lactobacillus sp. JC 7 isolated from Kimchi and Lactobacillus acidophilus 88. Kor.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5:121-128 

  10. Kang SI. 2001. A survey on consumption pattern of kimchi and inhibitory effect of kimchi ingredient on lactic acid bacteria and harmful bacteria. MS Thesis, Kyunghee Universiy 

  11. Kim OS, Joo NM. 2007. A study on purchasing current status and promotion facts for commercial Kimchi of women in Seoul area. Korean J. Food Culture, 22:167-175 

  12. Koo NS. 1997. Housewives' Consumption Aspects of Korean Fermented Foods in Taejon. J Korean Soc Dietary Culture, 26(4):714-725 

  13. Kwon DJ, Chang YS, Jo KS, Kang YH. 1999. Effects of sugars addition on physi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sensory evaluation of Kimchi. Korean J. Food & Nutr., 12(6):608-614 

  14. Lee YJ, Chi MK, Kyun KH. 2008. Reappraisal of Stimulatory effect of garlic on Kimchi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40(4):479-484 

  15. Moon SW, Lee MK, Na TK. 2011. Kimchi Intake Patterns and preferences among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in rural areas - focusing on the school in Chungbuk Province. Korean J. Culinary Research, 17(1):142-154 

  16. Park WP, Kim ZU. 1991. The effect of seasoning and salted - fermented fish on Kimchi fermentation. J. Korean Agric. Chem. Soc., 34:242-248 

  17. Seo BS. 2001. A study on Korean, Japaneses, Chinese and American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 and preference for Korean kimchi. Doctoral degree thesis, Yongnam University 

  18. Yoon SI, Kim YC, Lee C. 1988. A consumer survey in Seoul area on marketed Kimchi products. J. Korean Soc. Dietary Culture, 3:369-376 

  19. You JH, Kwak EJ, Shin MJ. 2007. A study on kimchi preference and the types of kimchi purchased at markets ot improve kimchi marketing.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7:511- 519 

  20. 특허청보도자료. 2011. 07. 08. 김치, 이제는 건강기능식품의 선두주자다. http://www.kipo.go.kr/kpo/user.tdf? seq10532&c1003&auser.news.press1.BoardApp&board_idpress&catmenum03_01_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