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뇌졸중환자의 동적 균형 평가를 위한 sit-to-walk의 신뢰도 연구
A Reliability Study of Sit-to-walk for Dynamic Balance Assessment in Stroke Patient 원문보기

대한물리치료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Physical Therapy, v.25 no.5, 2013년, pp.303 - 310  

김다연 (대전대학교 대학원 물리치료학과) ,  최종덕 (대전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물리치료학과) ,  기경일 (대전대학교 대학원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he correlation of clinical tools for assessment of balance and ability of gait, in order to discriminate the phases of sit-to-walk movement of patients with stroke using the motion analysis system, and to investigate the reliability of the phas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최근 해외 몇몇의 연구들에서 젊은 대상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STW 동작이 STS 동작보다 낙상의 위험요인을 더많이 내포하고 있다고 밝히고 있지만, 국내에는 STW 동작에 대한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STW의 움직임과 임상적 평가 도구들과의 상관관계및 평가도구로써의 신뢰도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STW 단계 중 세 번째를 제외한 모든 단계에서 임상적 평가도구들과의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 본 연구에서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적 평가도구들과의 상관성과 STW 각각의 단계 간의 신뢰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모든 단계에서 급내상관계수는 매우 신뢰할 만한 수준인 0.
  • 본 연구의 목적은 STW 시 단계별 시간적 변수를 측정한 후 임상 평가 도구들(FRT, BBS, TUG, POMA, 10MWT)과의 신뢰도 분석하여, 만성 뇌졸중 환자의 동적 균형 능력을 평가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졸중이란 무엇인가? 뇌졸중은 출혈이나 경색 등의 혈관성 원인에 의해 국소 또는 전반적 뇌기능의 장애를 보이는 임상징후를 통칭하는 말이다. 심장혈관 질환과 암 다음으로 죽음을 야기시키는 세계적으로 가장 중요한 사망원인 중 하나이다.
뇌졸중 환자의 신경학적 손상은 무엇을 야기시키는가? 뇌졸중 환자들의 신경학적 손상으로 인한 근 약화, 강직, 감각 능력의 감소, 협응 능력의 손상 등은 균형 조절 능력의 손실을 야기시키며, 이는 곧 독립적인 일상생활 동작과 보행을 제한하는 주 원인이 된다.9,10,11 따라서 뇌졸중 환자들의 균형 능력의 평가는 그들의 기능의 회복을 평가 하는 중요한 지표가 되고 있다.
뇌졸중 환자의 마비 측 하지의 근력 약화는 어떤 어려움을 야기하는가? 2,3 뇌졸중 환자들의 정적 서기 자세 시 마비 측 하지의 부하가 감소되어 신체적 동요가 증가되는 등의 원인은 손상된 측의 하지의 근력약화에서 비롯된다고 보고되어지고 있다.4,5 마비 측 하지의 근력 약화는 비정상적인 체중 분배를 유발시키고7 ,보행 시 손상되지 않은 하지로 더 많은 체중부하를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양하지 입각기에서 마비 측 단하지 입각기로의 이동 능력의 어려움을 갖는다.4,8 이러한 이동 능력의 어려움으로 뇌졸중 환자들 중 73%는 낙상을 경험하게 되며, 그 중 37%는 의료적 치료가 요구되는 심각한 손상을 발생시킨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Lloyd-Jones D, Adams R, Carnethon M et al. Heart disease and stroke statistics-2009 update: A report from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statistics committee and stroke statistics subcommittee. Circulation. 2009;119(3):480-6. 

  2. Bourbonnais D, Vanden Noven S, Pelletier R. Incoordination in patients with hemiparesis. Canadian journal of public health. Revue canadienne de sante publique. 1992;83(2):58-63. 

  3. Shumway-Cook A, Anson D, Haller S. Postural sway biofeedback: Its effect on reestablishing stance stability in hemiplegic patients. Arch phys med Rehabil. 1988;69(6):395-400. 

  4. Winstein CJ, Gardner ER, McNeal DR et al. Standing balance training: Effect on balance and locomotion in hemiparetic adults. Arch phys med Rehabil. 1989;70(10):755-62. 

  5. Holt RR, Simpson D, Jenner JR et al. Ground reaction force after a sideways push as a measure of balance in recovery from stroke. Clin Rehabil. 2000;14(1):88-95. 

  6. Forster A, Young J. Incidence and consequences of falls due to stroke: A systematic inquiry. BMJ. 1995;311(6997):83-6. 

  7. Mehrholz J, Platz T, Kugler J et al. Electromechanical and robot-assisted arm training for improving arm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after stroke. Stroke. 2009;40(5):392-3. 

  8. Dettmann MA, Linder MT, Sepic SB. Relationships among walking performance, postural stability, and functional assessments of the hemiplegic patient. Am J phys med. 1987;66(2):77-90. 

  9. Olney SJ, Richards C. Hemiparetic gait following stroke. Part i: Characteristics. Gait posture. 1996;4(2):136-48. 

  10. on Schroeder HP, Coutts RD, Lyden PD et al. Gait parameters following stroke: A practical assessment. J Rehabil research and development. 1995;32(1):25-31. 

  11. Keenan MA, Perry J, Jordan C. Factors affecting balance and ambulation following stroke. Clin Orthop Relat Res. 1984(182):165-71. 

  12. Blum L, Korner-Bitensky N. Usefulness of the Berg Balance Scale in stroke rehabilitation: A systematic review. Phys Ther. 2008;88(5):559-66. 

  13. Won JI, Kim KS. Concurrent validity of the functional gait assessment, berg balance scale, and timed up and go test in patients with stroke. J Korean Soc Phys Ther. 2011;18(2):43-51. 

  14. Podsiadlo D, Richardson S. The timed" up & go": A test of basic functional mobility for frail elderly persons. J Am Geriatr Soc. 1991;39(2):142-8. 

  15. Lin MR, Hwang HF, Hu MH et al. Psychometric comparisons of the timed up and go, one-leg stand, functional reach, and tinetti balance measures in community-dwelling older people. J Am Geriatr Soc. 2004;52(8):1343-8. 

  16. Dite W, Temple VA. A clinical test of stepping and change of direction to identify multiple falling older adults. Arch phys med Rehabil. 2002;83(11):1566-71. 

  17. de Oliveira CB, de Medeiros IR, Frota NA, et al. Balance control in hemiparetic stroke patients: Main tools for evaluation. J Rehabil Res Dev. 2006;86(6):778-87. 

  18. Niam S, Cheung W, Sullivan PE et al. Balance and physical impairments after stroke. Arch phys med Rehabil. 1999;80(10):1227-33. 

  19. Cheng P, Liaw M, Wong M et al. The sit-to-stand movement in stroke patients and its correlation with falling. Arch Phys Med Rehabil. 1998;79(9):1043-6. 

  20. Chou SW, Wong AMR, Leong CP et al. Postural control during sit-to stand and gait in stroke patients. Clin Biomech. 2003;82(1):42-7. 

  21. Kerr A, Durward B, Kerr KM. Defining phases for the sit-towalk movement. Clin Biomech. 2004;19(4):385-90. 

  22. Dehail P, Bestaven E, Muller F et al. Kinematic and electromyographic analysis of rising from a chair during a "sit-to-walk" task in elderly subjects: Role of strength. Clin Biomech. 2007;22(10):1096-103. 

  23. Kerr A, Rafferty D, Kerr KM et al. Timing phases of the sitto-walk movement: Validity of a clinical test. Gait posture. 2007;26(1):11-6. 

  24. Vander Linden DW, Brunt D, McCulloch MU. Variant and invariant characteristics of the sit-to-stand task in healthy elderly adults. Arch phys med Rehabil. 1994;75(6):653-60. 

  25. Brunt D, Vander Linden DW, Behrman AL. The relation between limb loading and control parameters of gait initiation in persons with stroke. Arch phys med Rehabil. 1995;76(7):627-34. 

  26. Kerr A, Kerr KM, Durward B. Hesitancy during the sit-to-walk movement. Gait posture. 2006;24, Supplement 2(0):S262-S4. 

  27. Kouta M, Shinkoda K. Differences in bio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sit-to-walk motion between younger and elderly males dwelling in the community. J Phys Ther Sci. 2008;20(3):185-9. 

  28. Buckley T, Pitsikoulis C, Barthelemy E et al. Age impairs sit-towalk motor performance. J Biomech. 2009;42(14):2318-22. 

  29. Magnan A, McFadyen BJ, St-Vincent G. Modification of the sitto- stand task with the addition of gait initiation. Gait posture. 1996;4(3):232-41. 

  30. Frykberg GE, Aberg AC, Halvorsen K et al. Temporal coordination of the sit-to-walk task in subjects with stroke and in controls. Arch Phys Med Rehabil. 2009;90(6):1009-17. 

  31. Berg K, Wood-Dauphinee S, Williams JI. The balance scale: Reliability assessment with elderly residents and patients with an acute stroke. Scand J Rehabil Med. 1995;27(1):27-36. 

  32. Duncan PW, Weiner DK, Chandler J, et al. Functional reach: A new clinical measure of balance. J Gerontol. 1990;45(6):192-7. 

  33. Tinetti ME. Performance-oriented assessment of mobility problems in elderly patients. J Am Geriatr Soc. 1986;34(2):119-26. 

  34. Dean CM, Richards CL, Malouin F. Walking speed over 10 meters overestimates locomotor capacity after stroke. Clin Rehabili. 2001;15(4):415-21. 

  35. Dobkin BH. Short-distance walking speed and timed walking distance: Redundant measure for clinical trial. Neurology. 2006;66(4):584-6. 

  36. Morris S, Morris ME, Iansek R. Reliability of measurements obtained with the timed up & go test in people with Parkinson disease. Phys Ther. 2001;81(2):810-8. 

  37. Shumway-Cook A, Brauer S, Woollacott M. Predicting the probability for falls in community dwelling older adults using the timed up & go test. Phys Ther. 2000;80(9):896-903. 

  38. Richman J, Markrides L, Prince B. Research methodology and applied statistics. Part 3: measurement procedures in research. Phys. 1980;32:253-7. 

  39. Kim JH, Park JW. Concurrent validity between figure-of-8 walking test and functional tests included tasks for dynamic balance and walking in patient with stroke. J Korean Soc Phys Ther. 2012:24(5):325-33. 

  40. Frykberg GE. Movement control after stroke: studies on sit-to-walk and in the relations between clinical and laboratory measures. Uppsala University. Rechabilitation Medicine, Akademiska sjukhuset,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